• 제목/요약/키워드: TaN

검색결과 652건 처리시간 0.045초

한국산 도꼬마리로부터 항암물질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titumor Agents from Xanthium strumarium L.)

  • 김현수;이인선;여수환;성림식;유대식
    • KSBB Journal
    • /
    • 제18권4호
    • /
    • pp.324-328
    • /
    • 2003
  • 도꼬마리 추출물의 발암성의 유무를 검토하기 위하여 시험균 S. typhimurium TA98 및 TA100에 대한 변이원성 실험 결과, 추출물 XE-N과 XEA-N의 농도가 증가해도 TA 98 및 TA100 두 균주의 복귀변이 colony 수가 대조구에 비해 변화가 크지 않은 점을 미루어 보아 각 추출물은 변이원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꼬마리 추출물 XEA-A, XEA-B 및 XE-A)의 $H_2O$$_2$로 유도된 세포 독성에 대한 억제효과는 각각 58%, 53%, 63%로서 생존율이 2배 이상 증가하였다. 면역 증강 활성은 TNF의 경우 XE-N 추출물에서 2.7배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XEA-N 추출물에서도 2.3배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IL-1$\beta$의 생성은 XE-B 추출물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IL-2의 생성에는 뚜렷한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도꼬마리 추출물 및 정제물을 이용하여 동물에 강력한 발암물질인 MNNG를 투여한 후 항산화 효소계를 측정한 결과, 조직의 해독물질인 glutathione (GSH)의 함량이 도꼬마리 정제물 0.2% 투여군에서 약 44.6%, 도꼬마리 추출물 투여군에서 약 41.5% 증가되었다. 또한 도꼬마리 추출물 및 정제물질은 암억제 유전자인 p53의 발현을 매우 증가시켰다. 이상의 결과에서 도꼬마리 추출물은 전반적으로 항산화능, 면역증강효과, 암 예방효과 등의 기능성이 있는 것으로 입증되었으며, 각 기능에 따른 다양한 물질을 분리하여 신소재로의 개발 가능성이 큰 약제임이 확인되었다.

항진균성 6-[(N-Halophenyl)amino]-7-Chloro-5, 8-Quinolinedione의 유전독성 평가 (The Evaluation of Genotoxicities of Antifungal 6-[(N-Halophenyl)amino]-7- Chlore-5,8-Quinolinediones)

  • 유충규;허문영;박윤미;윤여표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3권3호
    • /
    • pp.182-187
    • /
    • 1995
  • The clastogenecity and mutagenicity of antifungal 6-[(N-halophenyl)amino]-7-chloro-5, 8-quinolinedione (RCK 3, 7, 13, 14, and 15) had been evaluated. Salmonella typhimurium reversion assay (Ames test) was used to test the mutagenicity of RCKs. RCK14 was mutagenic in S. typhimurium(TA98 and TA100) with and without rat liver microsomal activation. Whereas RCK3, 7, 13 and 15 were negative in Ames test with Salmonella typhimurium(TA98 and TA100), The clastogenecity was tested on the RCKs with in vivo mouse micronucleus assay. All of RCKs tested did not show any clastogenic effect in mouse peripheral blood. Thus RCKs were not supposed to cause any chromosomal damage termed micronuclei. These results indicate that RCK 3, 7, 13 and 15 have no genotoxic potential under these experimental condition.

  • PDF

산소결핍 탄탈륨 산화물을 활용한 탄탈륨 산질화물 및 질화물 합성 (Synthesis of Tantalum Oxy-nitride and Nitride using Oxygen Dificiency Tantalum Oxides)

  • 박종철;피재환;김유진;최의석
    • 한국분말재료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489-495
    • /
    • 2008
  • Colored tantalum oxy-nitride (TaON) and tantalum nitride ($Ta_{3}N_{5}$) were synthesized by ammonolysis. Oxygen deficient tantalum oxides ($TaO_{1.7}$) were produced by a titration process, using a tantalum chloride ($TaCl_5$) precursor. The stirring speed and the amount of $NH_{4}OH$ were important factors for controling the crystallinity of tantalum oxides. The high crystallinity of tantalum oxides improved the degree of nitridation which was related to the color value. Synthesized powders were characterized by XRD, SEM, TEM and Colorimeter.

Thioacetamide의 아미노 양성자의 화학적 이동과 N-C (S) 결합 주위의 부자유 회전에 미치는 n-알코올 용매 효과 (Effects of n-Alcohols on the Amino-Proton Chemical Shift and on the Hindered Rotation About N-C (S) Bond of Thioacetamide)

  • 최종호;최영상;윤창주
    • 대한화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49-155
    • /
    • 1989
  • n-알코올 용매에서 티오아세테이트아미드(TA)의 아미노 양성자의 nmr 화학적 이동과 선모양이 온도를 변화시켜가면서 구하였다. 아미노 양성자의 화학적 이동변화를 용매의 극성 파라미터 중에서 Reichardt의 $E_T(30)$과 연관지어 고찰하였으며, 그들 사이에는 다음의 관계가 있음이 밝혀졌다. ${\delta}_{obs}=a{\cdot}E_T(30)+b{\cdot}(E_T(30))_2$ 여기서 a는 알코올 용액에서의 용질의 고유한 특성이며, b는 용질-용매 분자간 상호작용의 특성을 나태내고 있다. 또한 선모양 분석에서 얻은 N-C(S) 결합 주위로의 부자유 회전 장애도 아미노 양성자의 화학적 이동의 행동과 유사하게 $E_T(30)$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