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V media

검색결과 1,725건 처리시간 0.034초

트위터의 매체 간 의제설정 : TV 토론 방송과 트위터의 여론 형성 과정에 관한 연구 (Intermedia Agenda-setting Effects: Political Debates on TV and Twitter)

  • 이승희;임소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139-149
    • /
    • 2014
  • 본 연구는 기존의 대중매체를 통한 정보전달의 두 번째 단계로서의 트위터의 여론형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로서, 정당의 대중매체를 통한 메시지가 화자, 발언의 목적, 발언의 주제에 따라 트위터 이용자들이 어떤 여론을 형성하며 메시지를 재확산 시키고 있는지를 2012년 3차 대선토론 프로그램을 통해 탐구하고자 했다. 연구결과, TV토론이 트위터 이용자로 하여금 "대선후보 토론"이라는 공통된 의제에 주목시키고 트위터 상에서 관련 논의를 증가시켰다는 점에서 광의적으로는 매체 간 의제설정이 기능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 TV토론에서 정책 주제가 주로 다루어진 데 반해 트위터에서는 후보의 인간적 특성에 대한 논의가 주로 이루어졌으므로, TV토론과 관련된 세부적인 주제에 있어서 트위터는 TV토론과 독립적으로 분리된 별개의 여론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트위터의 여론은 상대후보의 정치적 이상이나 인간적 자질에 대한 공격을 통해 다른 이용자들의 공감을 얻는 과정으로 형성이 되고 있었으며, 이데올로기와 도덕성이 주요 이슈인 것으로 나타났다.

OWC based Smart TV Remote Controller Design Using Flashlight

  • Mariappan, Vinayagam;Lee, Minwoo;Choi, Byunghoon;Kim, Jooseok;Lee, Jisung;Choi, Seongjhi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0권1호
    • /
    • pp.71-76
    • /
    • 2018
  • The technology convergence of television, communication, and computing devices enables the rich social and entertaining experience through Smart TV in personal living space. The powerful smart TV computing platform allows to provide various user interaction interfaces like IR remote control, web based control, body gesture based control, etc. The presently used smart TV interaction user control methods are not efficient and user-friendly to access different type of media content and services and strongly required advanced way to control and access to the smart TV with easy user interface. This paper propose the optical wireless communication (OWC) based remote controller design for Smart TV using smart device Flashlights. In this approach, the user smart device act as a remote controller with touch based interactive smart device application and transfer the user control interface data to smart TV trough Flashlight using visible light communication method. The smart TV built-in camera follows the optical camera communication (OCC) principle to decode data and control smart TV user access functions according. This proposed method is not harmful as radio frequency (RF) radiation does it on human health and very simple to use as well user does need to any gesture moves to control the smart TV.

TV홈쇼핑과 스마트 미디어 재구매 의도의 관계 요인 분석 연구 - 관계결속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Relationship Factors of TV Home Shopping and Smart Media's Repurchase Intention : Focuing on Mediating Effect of Relationship Bonding)

  • 김복준;장석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127-147
    • /
    • 2018
  • 본 연구는 홈쇼핑과 이용자 간 지속적이고 호의적인 관계를 구축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고자 TV 홈쇼핑과 애플리케이션 홈쇼핑에 대한 서비스 품질 요인이 관계결속을 매개로 스마트 미디어를 통한 홈쇼핑 상품의 재구매 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홈쇼핑에 대한 관계결속은 특정 서비스 품질 요인과 재구매 의도 사이에 형성된 영향관계를 완전 매개 혹은 부분 매개하여 브랜드자산 구축과정을 따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때 관계결속의 매개효과는 홈쇼핑 플랫폼에 따라 상이하게 제시되었는데, TV+애플리케이션 집단의 TV 홈쇼핑 이용에 대한 관계결속은 아무런 매개효과를 갖지 않았다. 또한, 이용자의 평소 미디어 이용 습관에 따라 홈쇼핑에 대한 서비스 품질 요인이 관계결속을 매개로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가 상이하였다. 본 연구는 이상의 결과에 대해 신기술 채택 및 브랜드자산과 관련된 이론 및 개념을 적용하여 홈쇼핑 상품 구매 시 이용되는 플랫폼 특성과 이용자의 평소 미디어 습관에 따라 기술수용 과정 및 브랜드자산 구축 과정이 달라질 수 있음을 검증했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를 찾고자 한다. 홈쇼핑 사업자들이 자사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 유인 방안을 고민하며 홈쇼핑 플랫폼별로 적합한 전략을 수립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실무적 의의 역시 가지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여자고등학생의 대중매체 소비에 따른 성태도, 성허용성, 성행동의 차이 (Differences in Sexual Attitudes, Sexual Permissiveness and Sexual Behaviors among Female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Mass Media Consumption)

  • 정승민;김혜진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9
    • /
    • 2020
  • Purpose: sexual permissiveness, sexual behaviors and the consumption of mass media in female high school students. Methods: 306 students, from three different girls' high schools in Seoul, who understood the purpose of the study, participated as subjects in the research. The research tools were the mass-media consumption scale, the sexual attitudes survey, the sexual permissiveness survey, and the sexual behaviors scal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analysis, t-test, ANOVA with SPSS/WIN. 18.0 program. Results: The subjects' daily mass media consumption was 143.7 minutes of TV watching on weekdays, while 253.9 minutes on weekends, 88.5 minutes of Internet surfing, 57.8 minutes of listening to pop music. Watching TV music programs was 68.3 minutes a week. Watching TV 'alone' was 30.7% and Internet surfing in one's 'own room' was the highest at 39.9%. The average score of sexual attitudes, sexual permissiveness, and sexual behaviors was 25.7/55, 35.4/64 and 0.7/10, respectively. Sexual attitudes and sexual permissiveness varied according to how much time they spent surfing the Internet, with whom they watched TV, and how much time they spent listening to popular music; and sexual behavior differed according to the time spent on the Internet. Conclusion: Educational programs need to be developed to help young people control their media consumption behaviors. In addition, political attention and a proper system are needed to promote a healthier and sounder pop culture through a public review system.

크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사례 연구 -웹툰 <미생>의 드라마 <미생>으로의 재매개- (A Case Study of Cross-Media Storytelling : Remediation of Webtoon to Drama Series )

  • 김미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130-140
    • /
    • 2015
  • 미디어 플랫폼이 증가하고 콘텐츠 시장의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성공한 콘텐츠를 다른 미디어 장르로 재매개하는 크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이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웹툰이 원천 콘텐츠(source genre)로 급부상하고 있는 가운데 본 연구는 웹툰 <미생>이 TV드라마로 재매개 되는 과정에서 어떤 방식으로 서사가 확장되고 개조되었는지 분석하고, 이러한 변형을 불러온 미디어의 특성과 수용자와의 관련성을 논의하였다. 분석결과 상대적으로 특정 대상층을 목표로 하는 웹툰 <미생>이 바둑의 기보를 바탕으로 종합상사 비정규직 계약사원을 중심으로 직장인의 삶과 애환을 담담하게 그려냈다면, 보다 폭넓은 시청자를 확보해야 하는 TV드라마에서는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비정규직의 애환', '직장내 성차별과 성희롱', '워킹맘의 애환' '신입 동기들간의 로맨스' 등 대중적 서사를 강화한 '확장' 전략을 사용하였다. 또 극적 재미를 위해 명확히 선악이 구분되는 인물 구도를 통한 갈등의 고조, 휴머니즘과 희극성의 강화를 드라마의 스토리텔링 전략으로 사용하였다.

예능프로그램의 보조자막 오남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subtitles abuse cases of entertainment programs)

  • 윤나라;강효순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869-871
    • /
    • 2011
  • '미디어 홍수' 시대를 살고 있는 현대인들에게 미디어와의 접촉은 불가피하다 못해 필수불가결의 것이 되었다. 다양한 매스미디어 중에서 특히 TV는 남녀노소에 관계없이 이용과 접근이 용이하기 때문에 가장 친숙하면서도 영향력 있는 매체이다. 하지만 최근 많은 TV 프로그램에서 자막의 오용 및 남용에 대한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특히 드라마와 더불어 높은 시청률을 나타내는 예능프로그램에서의 문제점은 가장 심각하다. 예능프로그램은 대체로 황금 시간대에 편성되고 가족단위 시청자들이 많은 만큼 자막 노출에 따른 파장과 그에 따른 책임이 함께 동반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예능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요소로서 자막의 쓰임을 통해 자막 사용의 오남용 사례에 대해 분석했다. 본 연구는 예능프로그램에서 자막의 오용을 줄이고 적정선의 노출을 통해 재미와 웃음 창출이라는 자막의 순기능을 극대화 시키는 데 목적이 있다.

  • PDF

TV 다큐멘터리의 배경음악이 수용자의 회상 기억, 몰입도, 흥미유발, 평가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ackground music of TV documentary on audience's recall memory, flow, arousal of interest, evaluation)

  • 박덕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0호
    • /
    • pp.411-417
    • /
    • 2017
  • 본 연구는 미디어 효과 연구 분야에서 채널 요인으로 분류될 수 있는 배경음악의 사용이 TV다큐멘터리 수용자의 회상 기억, 몰입, 흥미 유발, 작품 평가 등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을 통해 살펴본 연구이다. 미디어 효과에 관한 선행 연구들은 송신자 요인과 메시지 요인 등이 수용자의 기억과 이해, 지식 습득, 태도, 행위 등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연구들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미디어의 채널요인으로 볼 수 있는 배경 음악이 수용자의 다양한 종속변인에 미칠 수 있는 영향력에 관한 연구는 대단히 제한적이며, 특히 텔레비전 다큐멘터리의 배경음악이 수용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TV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에 사용된 배경 음악이 수용자의 회상 기억, 몰입도, 흥미 유발, 작품 평가 등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서 대학생 피험자들을 대상으로 배경음악의 유무에 따라 2개의 집단으로 구분하고, 이들에게 TV 다큐멘터리 영상물을 시청하게 한 후, 이들의 회상기억, 몰입도, 흥미 유발, 작품 평가 등을 물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모두 101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설문 조사를 분석한 결과, TV 다큐멘터리의 배경 음악이 수용자들의 몰입도와 흥미 유발 정도를 증가시켰으며, 작품 평가도 더 높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TV 다큐멘터리의 배경음악이 수용자들의 회상 기억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P망을 이용한 통신과 방송의 융합서비스 (Communication and Broadcasting Conversion Service Using IP Network)

  • 서상용;김선정;김희찬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 2004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204-208
    • /
    • 2004
  • 인터넷 기술의 발달로 기존의 ADSL망에서 VDSL 및 메트로 이더넷으로 진화함에 따라 PSTN망에 의한 전화서비스가 인터넷폰으로 점차 대체되어가며, 수 Kbps 대역폭의 웹캐스팅서비스는 수 Mbps 고화질 인터넷방송이 가능하며, 이러한 통신과 방송의 융합은 하나의 대세로 간주되어, 케이블 사업자의 케이블 모뎀을 이용한 방송 및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에 이어, 통신사업자들도 VOD 및 IP-TV, 인터넷폰을 동시에 제공하는 방안을 준비중에 있다. KT도 홈게이트웨이 기반의 상용 VOD 서비스가 2004년 6월에 개시되어 TV를 통한 홈엔터테인먼트의 초석을 다지게 되었으며 앞으로 IP-TV 및 인터넷폰 서비스를 계속적으로 제공할 예정에 있다. 본고에서는 통신사업자 측면에서 통신 및 방송서비스가 어떻게 융합될 것이며 최신 이슈가 되고 있는 트리플 플레이 서비스 및 전망 그리고 해외 사례를 알아보고, KT에서 제공중인 IP망관련 서비스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 PDF

사용자 패턴의 자동추출을 통한 TV-Anytime 기반 사용자 선호정보 관리 시스템 (Metadata based digital broadcasting with TV-Anytime specification)

  • 신사임;이종설;이석필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6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3 No.2 (B)
    • /
    • pp.34-37
    • /
    • 2006
  • 디지털 방송에서의 맞춤형 서비스란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만을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에 볼 수 있게 해 두는 서비스를 말한다. 본 연구는 맞춤형 방송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별 선호정보를 자동으로 추출하여 관리하는 사용자 선호정보 관리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 시스템은 맞춤형 방송 서비스를 위한 표준인 TV-Anytime에서 제안하고 있는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 선호정보와 사용자 히스토리 정보를 사용하여 맞춤형 방송 서비스를 위한 선호 프로그램과 채널을 예상하여 사용자에게 제시한다. 이 과정에서 사용하는 사용자 선호정보는 사용자 별로 청취 과정에서 채널, 시간대, 방송에 따른 반응 행동기록을 토대로 자동으로 추출하고 업데이트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 PDF

초·중·고등학생들이 지각하는 간호사 이미지에 관한 연구 (Nurse's Image Perceived by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 김유미;강영실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84-395
    • /
    • 2013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nurse's image and role projected in media and perceived by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544 students in J city, Korea during December 2010 to February 2011. The nurse's image was measured by the instrument developed by Yang (1998). Nursing experiences and nurse's role in media was measured by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ith 8 questions. Statistical analysis was made with t-test and ANOVA using SPSS win 18.0. Result: The score on personal image was the highest, while the score on social image was the lowest.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ported a positive image compared with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Male students had a more positive image than female students. Of various media, students had more experiences related to nurses from TV rather than internet sites, books and newspaper/magazines. Especially, the nurse's role on TV 'seemed to be an assistant of a doctor' was rated the highest by the students.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trategy to improve the social image of the nurse through TV by providing correct information on the nurse's role. For this purpose, it is required to consistently monitor and analyze the nurse's role shown in m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