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plate

검색결과 1,307건 처리시간 0.033초

측정장치의 compliance 유무가 복합레진의 중합수축음력의 측정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STRUMENT COMPLIANCE ON THE POLYMERIZATION SHRINKAGE STRESS MEASUREMENTS OF DENTAL RESIN COMPOSITES)

  • 서덕규;민선홍;이인복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4권2호
    • /
    • pp.145-153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측정장치의 compliance유무가 복합레진의 중합수축응력 측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변위센서, cantilever load cell과 부궤환 (negative feedback) 시스템을 적용하여 compliance를 허용하는 것과 허용하지 않는 두 가지 모드로 중합수축응력의 측정이 가능한 stress-strain analyzer를 제작하였다. 한 종의 flowable (Filtek Flow: FF) 복합레진과 두 종의 universal hybrid (Z100: Z1 and Z250: Z2) 복합레진이 사용되었다. Load cell의 끝과 base plate에 고정된 직경 3.0 mm의 금속 막대에 silane을 처리하였다. 1.0 mm의 거리로 고정한 두 개의 금속 막대 사이 에 복합레진을 적용한 후 광중합을 하였다. 복합레진의 수직 중합수축률과 중합수축응력을 10 분 동안 기록하였고 인장탄성계수도 구하였다. 통계처리는 일원분산분석과 paired t-test를 시행하였고 95% 유의수준에서 Tukey's test로 사후 검정하였다. 측정된 중합수축 응력은 재료와 compliance의 유무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 Compliance를 허용한 모드에서 중합수축응력은 FF: 3.11 (0.13)이 가장 컸으며 Z1: 2.91 (0.10), Z2: 1.94 (0.09) Mpa의 순서였다. 측정장치의 compliance를 허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Z1 17.08 (0.89)이 가장 컸고 FF: 10.11 (0.29), Z2: 9.46 (1.63) MPa의 순이었다. 또한 Z1, Z2, FF의 인장탄성계수는 각각 2.31 (0.18), 2.05 (0.20), 1.41 (0.11) GPa 이었다. 중합수축응력은 compliance mode에서는 복합레진의 수직 중합수축률이 주요 영향 요인이었으며, compliance를 배제한 모드에서는 탄성계수의 효과가 지배적이었다.

Cloning and Expression of the Cathepsin F-like Cysteine Protease Gene in Escherichia coli and Its Characterization

  • Joo, Han-Seung;Koo, Kwang-Bon;Park, Kyun-In;Bae, Song-Hwan;Yun, Jong-Won;Chang, Chung-Soon;Choi, Jang-Won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5권2호
    • /
    • pp.158-167
    • /
    • 2007
  • In this study, we have cloned a novel cDNA encoding for a papain-family cysteine protease from the Uni-ZAP XR cDNA library of the polychaete, Periserrula leucophryna. This gene was expressed in Escherichia coli using the T7 promoter system, and the protease was characterized after partial purification. First, the partial DNA fragment (498 bp) was amplified from the total RNA via RT-PCR using degenerated primers derived from the conserved region of cysteine protease. The full-length cDNA of cysteine protease (PLCP) was prepared via the screening of the Uni-ZAP XR cDNA library using the $^{32}P-labeled$ partial DNA fragment. As a result, the PLCP gene was determined to consist of a 2591 bp nucleotide sequence (CDS: 173-1024 bp) which encodes for a 283-amino acid polypeptide, which is itself composed of an 59-residue signal sequence, a 6-residue propeptide, a 218-residue mature protein, and a long 3'-noncoding region encompassing 1564 bp. The predicted molecular weights of the preproprotein and the mature protein were calculated as 31.8 kDa and 25 kDa, respectively. The results of sequence analysis and alignment revealed a significant degree of sequence similarity with other eukaryotic cysteine proteases, including the conserved catalytic triad of the $Cys^{90},\;His^{226},\;and\;Asn^{250}$ residues which characterize the C1 family of papain-like cysteine protease. The nucleotide and amino acid sequences of the novel gene were deposited into the GenBank database under the accession numbers, AY390282 and AAR27011, respectively. The results of Northern blot analysis revealed the 2.5 kb size of the transcript and ubiquitous expression throughout the entirety of the body, head, gut, and skin, which suggested that the PLCP may be grouped within the cathepsin F-like proteases. The region encoding for the mature form of the protease was then subcloned into the pT7-7 expression vector following PCR amplification using the designed primers, including the initiation and termination codons. The recombinant cysteine proteases were generated in a range of 6.3 % to 12.5 % of the total cell proteins in the E. coli BL21(DE3) strain for 8 transformants. The results of SDS-PAGE and Western blot analysis indicated that a cysteine protease of approximately 25 kDa (mature form) was generated. The optimal pH and temperature of the enzyme were determined to be approximately 9.5 and $35^{\circ}C$, respectively, thereby indicating that the cysteine protease is a member of the alkaline protease group. The evaluation of substrate specificity indicated that the purified protease was more active towards Arg-X or Lys-X and did not efficiently cleave the substrates with non-polar amino acids at the P1 site. The PLCP evidenced fibrinolytic activity on the plasminogen-free fibrin plate test.

전나무 정유의 항진균 효과와 유효성분의 시너지효과 평가 (Evaluation on Anti-fungal Activity and Synergy Effects of Essential Oil and Their Constituents from Abies holophylla)

  • 김선홍;이수연;조성민;홍창영;박미진;최인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1호
    • /
    • pp.113-123
    • /
    • 2016
  • 본 연구는 전나무 정유의 Epidermophyton floccosum, Trichophyton mentagrophytes, Trichophyton rubrum과 같은 피부사상균에 대한 항진균 활성을 구명하고 피부염 치료제로서의 전나무 정유의 잠재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전나무 정유와 분획물, 유효성분의 표준시약을 이용하여 한천희석법, paper disc 확산법, TEM을 이용한 세포 변화 관찰 등을 통해 항진균 활성을 평가하였고, 주성분은 GC-MS로 분석하였다. 유효성분들의 시너지효과는 체커보드법을 통해 평가하였다. 그 결과,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낸 물질은 ${\alpha}$-bisabolol을 함유하고 있는 분획 G4였으며 다른 분획 보다 뛰어나게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체커보드법을 통해 ${\alpha}$-bisabolol과 bornyl acetate를 병용시 뛰어난시너지 효과를 나타냈고 세포 변화 관찰을 통해 분획 G4에 노출된 E. floccosum과 T. rubrum 균사는 정상세포와 달리 세포막과 세포소기관이 파괴됨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전나무 정유와 그 구성성분들은 높은 항진균 효과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피부염 치료제의 원료로 이용이 가능할 것이라 기대되며, 특히 ${\alpha}$-bisabolol의 우수한 항진균 활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편측성 완전 구순 구개열 환자의 구개열 형태 및 치궁의 분석 (A Study Model Analysis of Complete Unilateral Cleft Lip & Palate Patients)

  • 임대호;김승룡;신효근
    • 대한구순구개열학회지
    • /
    • 제2권1_2호
    • /
    • pp.5-14
    • /
    • 1999
  • The aim of treatment of cleft lip and palate is to correct the cleft and associated problems surgically and thus hide the anomaly so that patients can lead normal lives. This correction involves surgically producing a face that does not attract attention, a vocal apparatus that permits intelligible speech, and a dentition that allows optimal function and esthetics. In neonatal periods, gross distortion of tissues surrounding the cleft requires considerable effort and time due to post operative functional defect and scarring and induces milk feeding problem, malocclusion of deciduous or permanent dentition, congenital missing teeth, skeletal dysplasia. The occurrence of a cleft deformity is a source of considerable shock to the parents of an afflicted baby, and the most appropriate approach is very important things. Thus we tried to analysis of dental arch, shape and size of deformity in cleft patients.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1. When the cast measurements of UCLP subjects at first visit it was found that the mean length was 9.29mm at the alveolar cleft width, also that was 11.7mm at the anterior width and 14mm at the posterior cleft width. 2. Comparison of UCLP group at first visit and just lip surgery, it was found that the older group showed a insignificant reduction in the width of the cleft in the alveolar, canine, and tuberosity regions. 3. The maxillary casts of the UCLP group at 6 months differ Significantly from those of the at 3 months in both length and width.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except anterior ridge length of nonclefted site. 4. Comparison at 6 months and 18 months, there was a greater change in length of the alveolar cleft width, intercanine width, and anterior cleft width. Maxillary arch became wider at both the canine region and intertuberosity region. also posterior anteroposterior length was increased but anterior AP length was decreased from 8.1mm to 7.7mm. There was meaningful increase at intertuberosity length; however, a significant reduction in width t-t'

  • PDF

수온, 염분 및 먹이에 따른 기수산 cyclopoid 요각류, Apocyclops royi의 생산력 (Effects of Temperature, Salinity and Diet on the Productivity of the Cyclopoid Copepod, Apocyclops royi)

  • 이균우;권오남;박흠기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52-59
    • /
    • 2005
  • 본 연구는 Apocyclops royi를 양식에서 초기 먹이생물로 적용시키기 위해 이들의 대량배양을 위한 수온과 염분의 최적범위 및 최적 성장을 위한 먹이를 구명하고자 실시되었다. A. royi 성체 암컷의 총 nauplius 생산력은 수온 $32^{\circ}C$에서 188 개체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성체 암컷 당 일간 nauplius 생산수도 총 생산수와 같은 경향을 보여 $32^{\circ}C$에서 13.4개체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Nauplius 부화 후 최초 포란할 때까지 발달 기간은 $32^{\circ}C$가 7.2일로 가장 빠른 발달을 보였으며 수온이 감소할수록 발달기간이 느린 경향을 보였다. A. royi 성체 암컷의 총 nauplius 생산력은 염분 10 ppt에서 169 개체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성체 암컷 당 일일 평균 nauplius 생산수는 10 ppt가 9 개체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Nauplius 부화 후 최초 포란할 때까지 발달 기간은 10 ppt와 15 ppt이 각각 7.1일, 7.7일로 빠른 발달을 보였으며 염분이 높을수록 발달기간이 길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A. royi 성체 암컷의 총 nauplius 생산력은 I. galbana와 T. suecica 공급구에서 각각 142, 127 개체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성체 암컷 당 일일 평균 nauplius 생산수는 I. galbana 공급구가 8.2개체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Nauplius 단계에서 copepodid 단계까지의 발달 기간은 I. galbana, T. suecica, P. tricornutum 공급구가 각각 3.4, 3.6, 3.7일로 담수산 농축 Chlorella와 빵 효모 공급구보다 빠른 발달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cyclopoid 요각류인 A. royi는 대량배양의 잠재성이 있으며 최적 대량배양을 위해서는 수온 $32^{\circ}C$, 염분 10 ppt에서 먹이로 I. galbana를 공급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극 초음속 경계층 해석을 위한 γ-Reθt모델 개선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γ-Reθt Model for Hypersonic Boundary Layer Analysis)

  • 강선오;오세종;박동훈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8권5호
    • /
    • pp.323-334
    • /
    • 2020
  • 경계층 천이는 극초음속 비행체의 열공력 성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성능 해석과 설계를 위해 천이지점의 정확한 예측 능력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극초음속 경계층 천이 예측을 위한 γ-Reθt 모델을 개선하고 검증하였다. 천이 시작 위치 결정에 영향을 주는 간헐도 수송방정식 생성항의 계수를 압축성 경계층 상사해를 기반으로 마하수와 벽면온도, 자유류 정체온도 등에 대한 함수 형태로 구성하고 적용하였다. 기본 모델의 Reθc와 Flength 상관관계식에 마하수에 따른 천이 시작 운동량두께 레이놀즈수와 천이구간의 길이 변화를 반영할 수 있도록 마하수에 대한 관계식을 추가로 결정하여 적용하였다. 실용적인 사용을 고려하여 제안 모델을 상용 CFD 코드에 적용하였으며, 검증을 위해 모델을 사용하여 극초음속 평판과 원뿔 경계층 해석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마하수와 단위 레이놀즈수 변화에 대한 개선된 예측성능을 확인하였다.

한국산 메기(Silurus asotus)의 질병에 관한 연구 II. 비브리오병에 관하여 (Studies on disease of catfish(Silurus asotus) in Korea II. Pathology on vibriosis)

  • 김영길;이근광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10
    • /
    • 1993
  • 발병한 양식 메기로 부터 vibrio속 균주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균주는 생물학적 생화학적 특성에 기초하여 동정한 결과 V. ordalii로 동정 되었다. 분리균은 glucose, lactose, maltose 와 salicine으로 부터 산을 생산 하였으며, arabinose, galactose, inocitol과 xylose는 이용하지 못하였다. 분리된 V. ordalii를 각각 KL-1, KL-2라 명명하였다. KL-l과 KL-2는 생리학적 특성이 유사하였다. 즉, pH 5-10, NaCl 0%~6.0%에서 발육하였으며, 또한 NaCl 7.0%, pH 10이상 그리고 pH5이하에서는 발육하지 않았다. KL-1 균주를 건강한 메기에 인공 감염시킨 결과 양식장에서 발병된 증상과 동일한 출혈성 궤양이 유발되었다. 감염 24시간 후에 나타난 흙은 반점은 접종 부위 주변에서 부터 확장되기 시작했으며, 감염 120시간 후부터는 배지느러미 부위까지 궤양이 확장되었다. 각각 온도에 따른 실험에서는 $25^{\circ}C$에서 폐사율이 70%로 나타났다. 약제 감수성 시험에서 KL-1 과 KL-2 균주는 모두 GM, K, N, S와 SxT에 감수성을 나타내었으나, CF 및 $L_2$와 VA에는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 PDF

1축 회전판형 UF 모듈의 투과모델 및 Oil Emulsion 분리 특성 (Flux Model of One-shaft Rotary Disc UF Module for the Separation of Oil Emulsion)

  • 김제우;노수홍
    • 멤브레인
    • /
    • 제6권2호
    • /
    • pp.86-95
    • /
    • 1996
  • 본 연구에서는1축 회전판형 한외여과막 모듈의 순수 투과율 예측모델과 기름 에멀션의 분리 특성 및 투과율 예측모델을 유도하였다. 1축 RDM은 한외여과막(UOP사, 직경 0.22m)으로 제작된 회전판막을 장착하여 $25^{\circ}C$에서 압력, 각속도($\omega$), 농도 변화에 따라 분리특성을 조사하였다. 회전판막의 각속도가 0에서 52.36rad/s로 증가할수록 회전판내 유체가 받는 원심력에 의한 압력 강하와 분리막 표면의 미끄럼 흐름에 의한 압력 강하로 순수 투과율은 최대 각속도에서 3.9% 감소하였다. 원심력과 미끄럼 흐름에 의한 압력 강하는 선속도(${\omega}r$)의 자승에 비례하였다. 회전판의 각속도가 52.36에서 2.62rad/s로 감소할 때 5% 절삭유의 투과율은 30.16% 감소하였고 농도가 낮을수록 막회전과 투과율에 미치는 영향은 적었다. 절삭유의 투과율(J; $kg/m^{2} \cdot s$)은 회전에 의한 압력 강하를 고려한 유효압력차($\Delta P_{T}$ ; Pa), 벌크농도($C_{B}$; %), 선속도($\omega$r; m/s) 등에 영향을 받으며 실험 결과에 저항 모델을 적용하여 다음과 같은 식을 유도하였다.

  • PDF

Gate 및 Drain 바이어스 제어를 이용한 3-way Doherty 전력증폭기와 성능개선 (Performance Enhancement of 3-way Doherty Power Amplifier using Gate and Drain bias control)

  • 이광호;이석희;방성일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8권1호
    • /
    • pp.77-83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차세대 무선통신 중계기 및 기지국용 50W급 Doherty 전력증폭기를 설계 및 제작하였다. Doherty 전력증폭기의 보조증폭기를 구현하기 위하여 Gate 바이어스 조절회로를 사용하였다. Gate 바이어스 조절회로는 보조증폭기를 구현할 수 있으나 Doherty 전력증폭기의 출력특성을 개선하기에는 제한된 특성을 가졌다. 이를 해결하고자 Drain 바이어스 조절회로를 첨가였다. 그리고 Doherty 전력증폭기의 효율을 개선하고자 일반적인 2-way 구조가 아닌 3-way 구조를 적용하여 3-way GDCD(Gate and Drain Control Doherty) 전력증폭기를 구현하였다. 비유전율(${\varepsilon}r$) 4.6, 유전체 높이(H) 30 Mill, 동판두께(T) 2.68 Mill(2 oz)인 FR4 유전체를 사용하여 마이크로스트립 선로와 칩 캐패시터로 정합회로를 구성하였다. 실험결과 3GPP 동작 주파수 대역인 2.11GHz ~ 2.17GHz에서 이득이 57.03 dB이고, PEP 출력이 50.30 dBm, W-CDMA 평균전력 47.01 dBm, 5MHz offset 주파수대역에서 -40.45 dBc의 ACLR로써 증폭기의 사양을 만족하였다. 특히 3-way GDCD 전력증폭기인 일반전력증폭기에 비해 동일 ACLR에 대하여 우수한 효율 개선성능을 보였다.

식품폐수처리 RABC system의 생물막과 포기조 대사지문 비교 (Comparison of Metabolic Fingerprintings between Biofilm and Aeration Tanks of RABC System for Food Wastewater Treatment)

  • 이동근;유기환;성기문;박성주;이재화;하배진;하종명;이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49-355
    • /
    • 2009
  • 돈 도축 식품폐수를 처리하는 생물막 시스템인 RABC (rotating activated Bacillus contactor) 공정의 생물막과 점감식으로 운영되는 포기조의 동일한 시료를 대상으로 Biolog GN2 plate를 이용한 호기/혐기 대사지문 분석으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대응표본 상관관계 분석과 pairs t-test를 통하여 매일 측정값보다 일별변화량이 전반적인 군집구조의 유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둘째 생물막이 포기조 시료들에 비해 높은 탄소원 이용도를 보여(p<0.01) 생물막의 높은 유기물 제거 능력을 알 수 있었고 포기조 시료사이는 이용된 탄소원의 상관관계가 높았고(78%) 활성정도도 비슷하였다(p=0.287). 셋째 활발하게 이용된 탄소원의 종류는 시료별로 차이를 보여 활성을 보이는 군집이 각 처리단계 별로 변화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마지막으로 같은 시료라도 호기/혐기 조건에 따라 대사지문에 차이를 보여 미호기성 및 혐기성 군집구성원에 의한 활성 차이를 확인하였다. 향후 대사지문(metabolic fingerprinting)을 통한 활성군집 비교에 일별변화량과 혐기조건 분석을 병행하면 더욱 풍부한 분석이 가능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