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N removal

검색결과 609건 처리시간 0.024초

Comparison of Membrane Currents in Xenopus Oocytes in Response to Injection of Calcium Influx Factor (CIF) and Depletion of Intracellular Calcium Stores

  • Kim, Hak-Yong;Hanley, Michael R.
    • BMB Reports
    • /
    • 제33권3호
    • /
    • pp.202-207
    • /
    • 2000
  • The depletion of intracellular calcium stores by thapsigargin treatment evoked extracellular calcium-dependent membrane currents in Xenopus laevis oocytes. These currents have been compared to those evoked by microinjection of a calcium influx factor (CIF) purified from Jurkat T lymphocytes. The membrane currents elicited by thapsigargin treatment (peak current, $163{\pm}60$ nA) or CIF injection (peak current, $897{\pm}188$ nA) were both dependent on calcium entry, based on their eradication by the removal of extracellular calcium. The currents were, in both cases, attributed primarily to well-characterized $Ca^{2+}-dependent$ $Cl^-$ currents, based on their similar reversal potentials (-24 mV vs. -28 mV) and their inhibition by niflumic acid (a $Cl^-$ channel blocker). Currents induced by either thapsigargin treatment or CIF injection exhibited an identical pattern of inhibitory sensitivity to a panel of lanthanides, suggesting that thapsigargin treatment or CIF injection evoked $Cl^-$ currents by stimulating calcium influx through pharmacologically identical calcium channel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IF acts on the same calcium entry pathway activated by the depletion of calcium stores and most lanthanides are novel pharmacological tools for the study of calcium entry in Xenopus oocytes.

  • PDF

마이크로파와 초음파가 키틴 추출시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icrowave and Ultrasonication on Chitin Extraction Time)

  • 권기남;최희숙;차보숙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8-13
    • /
    • 2009
  • Effects of microwave and ultrasonication on chitin extraction time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Chitin was extracted from ground crab shell by demineralization in 1.0 N HCl solution at 25$^{\circ}C$ with or without ultrasonication and deproteinization in 1.0 NaOH solution at 100$^{\circ}C$ without ultrasonication and at 70$^{\circ}C$ with ultrasonication. Microwave treatment was also used for deproteinization with 5 min heating and 5 min standing without microwave. The changes in color difference, the contents of ash, calcium and nitrogen were measured during demineralization and deproteinization. Ultrasonication of 4 hr in 1.0 N HCl solution for removal of calcium and 1.5 hr of microwave heating in 1.0 N NaOH for deproteinization corresponded to 6 hr in 0.1 N HCl and 2 hr in 1.0 N NaOH of heating at 100$^{\circ}C$ without those treatments, respectively. The data obtained showed that these treatments were effective reduction of chitin extraction time by 25${\sim}$33% for chitin preparation. The chitin obtained from these ultrasonication and microwave treatments resulted 0.55% of ash, 0.25% of calcium, 2.47% of nitrogen and 20.64% of yield ratio. Those treatments selected were also reduced the darkness development time of the chitin solution during demineralization and deproteinization.

암모니아 탈기공정을 이용한 침출수의 암모니아성 질소제거(I) (Removal of Ammonia-Nitrogen Contained in Landfill Leachate by Ammonia Stripping(I))

  • 이병진;조순행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2권10호
    • /
    • pp.1893-1904
    • /
    • 2000
  • 질소제거를 위한 처리기술은 아직까지는 주로 생물학적인 처리기술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생물학적인 처리기술은 하수 등과 같은 저농도 암모니아성 질소성분을 함유한 폐수에 대해서는 비교적 광범위하게 정립되어 있는 반면, 질소성분외에 난분해성 및 독성물질을 고농도로 함유하고 있는 침출수 및 산업폐수에 생물학적 처리기술을 적용하는 방법은 처리효율면에서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질소 처리기술이 비교적 정립되어 있지 않은 고농도의 암모니아성 질소 성분을 함유한 침출수를 대상으로 생물학적 처리공정의 이전에 질소제거를 위한 암모니아 탈기공정의 적용가능성을 타진하고 자원 재활용 측면을 고려하여 처리된 질소성분의 회수 가능성을 조사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실험결과 암모니아 탈기공정을 위하여 pH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NaOH보다 $Ca(OH)_2$를 사용하는 것이 적정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암모니아 탈기에 적정한 pH는 10.5로 조사되었으며, 목표치인 500 mg/L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소요되는 반응시간은 $35^{\circ}C$, 10 L/L/min의 조건에서는 2시간, $55^{\circ}C$, 10.0 L/L/min의 조건에서는 1시간이 소요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따라 생물학적 처리공정의 전단에 air diffused system을 이용한 암모니아 탈기공정의 적용은 고농도의 암모니아성 질소를 함유한 침출수의 처리에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결론지울 수 있었다. 그러나 생물학적 처리공정인 MLE 공정(T-N 최대 제거율: 78%,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율: 98~99%)과 혐기성 소화조, 폭기식 라군산화조에서 질소성분을 완전히 제거하기 위하여 이들 공정전에 적용한 암모니아 탈기공정의 운전에 소요되는 약품비를 각각 산출하여 비교한 결과 암모니아 탈기공정이 MLE 공정에 비해 약품 소모비가 약 16% 정도 더 많이 소요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므로 암모니아 탈기공정의 경제성을 높이기 위하여 슬러지를 재이용하는 방안 등을 검토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오존처리와 생물활성탄 공정에 의한 상수원수 중의 용존유기물 제거 (Removal of Dissolved Organic Matter by Ozone-biological Activated Carbon process)

  • 이상훈;문순식;신종철;최광근;심상준;박대원;이진원
    • KSBB Journal
    • /
    • 제18권3호
    • /
    • pp.211-216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오존과 생물활성탄 연계공정의 효율성을 비교하고자 원수, 원수오존처리, 원수오존응집 침전 공정 처리수를 생물확성탄에 유입시켜 용존 유기물질의 제거효과를 비교ㆍ연구하였다. 또한 생물활성탄의 생물학적 처리능을 조사하기 위하여 총질소, 총인, 암모니아성 질소의 제거경향을 파악하였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오존 생물활성탄 처리시의 평균 제거율은 30.7%로 다른 처리 공정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용존 유기물질 제거율을 나타냈는데, 이것은 생물황성탄 컬럼 상에서 용존산소의 농도를 증가시킴과 오존의 산화로 인하여 유기물의 생분해도를 증가시킴으로서 활성탄 컬럼 내의 용존 유기물질 제거를 증가시킨 것으로 사료되며, 생물활성탄 컬럼의 DOC 저감율이 가장 높은 EBCT 10분을 최적의 EBCT로 판단하였다. 또한 각 공정별 유기물의 성상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specific ultra violet adsorbance 성상 변화를 조사하였으며 오존처리에 의해 다량의 hydrophobic 성분이 hydrophilic 성분으로 전환되었으며 생물활성탄 처리에 의해 28%의 SUVA 값의 제거가 발생하였다. 이것은 오존 처리에 의해 다량의 hydrophobic 성분이 hydrophilic 성분으로 전환되었으며, 이러한 hydrophilic 성분이 생물활성탄 처리에 의해 제거된 것으로 사료된다. 원수를 유입시킨 생물 활성탄 처리수는 45.3%, 오존 처리수를 유입시킨 컬럼에서는 44.6%, 오존응집ㆍ침전처리수를 유입시킨 컬럼에서 58.4%의 UV$_{254}$ 제거율을 나타내었으며, 암모니아성 질소의 경우 66%, 81%, 29%의 제거율을 나타내어 생물학적 제거가 활발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오존산화처리와 황성탄의 연계처리는 용존 유기물질의 저감 뿐만 아니라 생물활성탄의 생물학적 처리능을 향상시키는 효율적인 공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id의 효과와 거의 대등한 것을 나타났다. 이것으로 쇠비름 조추출물이 항산화효과 (in vitro)가 있음이 증명되었으며, 이 항산화활성은 극성이 비교적 큰 화합물들에 의한 것임을 추정할 수 있다. 현재 쇠비름 추출물로부터 항산화활성성분을 분리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는 exp-onential phase 동안 급격한 균체성장으로 용존산소가 부족하여 NADH balance에 의해 astaxanthin 생합성 경로 중 탈수소화 단계가 저해되기 때문으로 사료되었다. 최종 세포농도는 43.3 g/L, 단위부피당 carotenoids 함량은 149.4 mg/L, astaxanthin 함량은 110.6 mg/L로서 산업적인 생산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변이주 B76 및 이의 대량 발효를 위한 최종조건의 정립은 향후 astaxanthin의 산업적 생산공정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색총말내에 소형의 도형, 소형의 장형 연접소포 및 DENSE CORE VESICLE의 3가지 연접소포를 가지고 있었고 출현빈도수는 촉각엽에서 가장 큰 33%이었다. 제5형 신경연접은 축색종말내에 중등도크기의 원형, 대형의 원형연접소포 및 DENSE CORE VESICLE을 포함하였고 13%의 출현빈도수로 관찰되었다. 배추횐나비의 촉각에 있는 지각신경세포가 뇌의 촉각엽으로 뻗어 들어가 위의 5가지 신경연접중 어느 형을 형성하는지를 관찰하기 위하여 좌측 촉각의 기부를 제거하여 지각신경세포를 절단하였는데 그 결과, 좌측 촉각엽에서 제4형의 신경연접이 퇴행성 변화를 나타내었다. 그러므로 촉각의 지각신경세포는 뇌의 같은 족 촉각엽에 뻗어와 제4형 신경연접을 형성한다고 결론되었다.$/ 값이 210 $\mu\textrm{g}$/$m\ell$로서 효과적인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빈랑으로부터 분리한 phenol 성 물질은 피부

알팔파의 예취 후 재생시 저장질소의 재이동과 목부 삼출액의 분석 (Remobilization of Nitrogen Reserves and Analysis of Xylem Exudate during Regrowth of Alfalfa (Medicago sativa))

  • 김태환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6권4호
    • /
    • pp.363-370
    • /
    • 1993
  • 예취 후 재생시 저장질소의 재이동과 재생기관으로서의 전이를 양적 평가하고 xylem을 통한 환원유기질소의 이동형태를 규명하기 위해 알팔파(Medicago sativa L. cv. Europe)를 수경재배하였다. 근류균을 형성하지 않은 알팔파에 예취 전 $^{15}N$ labeling을 실시하여 재생기간 중 각 기관내 분포된 $^{15}N$ dmlexcess를 분석하고 xylem sap을 채취하여 아미노산의 조성 및 함량을 분석하였다. 예취 후 잔여기관내의 $^{15}N$ 함량은 재생이 진행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감소된 $^{15}N$은 질소의 전이에 의해 새로 재생되는 잎과 줄기에서 발견되었다. 저장기관으로부터 전이된 $^{15}N$의 약 2/3가 잎으로, 나머지가 줄기로 분포되어 잎이 줄기보다 저장질소에 대한 수용력(sink strength)이 높았다. 예취 후 재생초기 10일 동안 잎과 줄기의 재생에 이용된 무기질 질소의 함량은 낮은 반면, 이 기간동안 총 저장질소의 약 72%가 잎과 줄기로 전이되었다. 재생이 진행됨에 따라 무기질 질소의 이용율은 점차 증가하였다. 재생초기 10일 동안 뿌리조직(주근과 지근)의 아미노산태 및 단백질태 질소함량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주근과 지근에서 공히 단백질태 질소함량이 아미노산태 질소함량 보다 높았으나, 재생 10일 동안 전이된 비율은 아미노산태가 월등히 높았다. 이는 저장질소는 아미노산태로 우선적으로 이동하여 재생에 이용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Asparagine이 xylem sap내 총 아미노산의 75%로서 환원태 유기질소의 주요 이동형태였다. 재생 10일 동안 asparagine의 상대적 함량은 59%까지 감소하였는데, 이러한 감소는 asparatate의 glutamine의 상대적 함량의 보충적 증가를 동반하였다.

  • PDF

다공성 콘크리트의 보 및 하상재료 적용에 따른 하천 수질정화 능력 평가 (Estimation of Water Purification Ability with Applying Porous Concrete to Weir and Riverbed Materials)

  • 최이송;김진홍;최계운;오종민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6권6호
    • /
    • pp.1013-1023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최근 환경재료로서 관심이 모아지고 있는 다공성 콘크리트를 하천구조물(보 및 하상재료)에 적용함으로써 수질을 개선하고자 수행하였다. 먼저, 물리ㆍ화학적 특징을 평가해 본 결과, 공극률 10% 및 30%의 다공성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일반 콘크리트의 최저 압축강도(180 kgf/$cm^2$)를 상회하여 하천구조물에 적용 가능하였고, 알칼리 용출에 의한 부착 미생물에의 영향도 거의 없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일반 콘크리트와 다공성 콘크리트로 하천구조물을 제작하여 부착물의 성상을 비교ㆍ검토한 결과, 같은 유속조건에서 부착물의 DW량은 일반 콘크리트에 비해 다공성 콘크리트가 1.6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면에 유속을 10배 달리한 실험의 결과에서는 거의 같은 부착물의 DW량을 보여 부착매질에 의한 영향이 유속에 의한 영향보다도 더 크게 작용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부착물의 성상에서도 건조물중 AFDM의 비가 다공성 콘크리트에서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N, P의 비가 높은 것은 부착 생물에 의한 흡수 및 흡착, 물질대사에 의해 유기물 제거가 더 컸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수질개선 효과에 있어서 전 구간을 종합한 결과, 다공성 콘크리트를 적용한 하천구조물에서의 SS, BOD, COD, T-N, T-P의 제거효율은 일반 콘크리트 보다 각각 34.6%, 36.9%, 33.9%, 18.3%, 21.6% 씩 증가하여 하천 수질개선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갈대사상여과법(砂床濾過法)을 이용한 축산폐수정화(畜産廢水淨化);I. 처리일수(處理日數) 및 계절별(季節別) 변화(變化) (Purification of Animal Wastewater Using a Reed-Sand-Filter System;I. Retention Period and Seasonal Variation)

  • 이덕배;김종구;강종국;김선관;소재돈;이경수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31-239
    • /
    • 1994
  • 축산폐수의 경제적 정화기술을 개발하고자 사상여과조(砂床濾過漕)(모래층 20cm+자갈층 30cm)에 갈대를 재배한 뒤 혐기발효된 양돈폐수의 투입 1, 3, 5, 7일 후 정화 효과를 계절별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축산폐수 처리일수가 길수록 갈대에 의한 질소 및 인산의 흡수 이용량이 많아지고 근부에서 발생된 산소로 BOD, COD도 낮아져서 정화 효과가 향상되었다. 2. 갈대의 건물생산량은 7일 처리가 가장 높았고 양분흡수량도 처리기간이 경과할수록 중가하는 경향이었다. 3. 갈대사상여과조는 사상여과조 보다도 오염 물질제거율이 높아 여름의 경우 T - N : 30%, $PO_4^{-3}$: 37%, COD : 42%, 부유물은 30% 더 높은 정화율을 나타내었다. 4. 계절별 축산폐수정화율은 여름철이 가장 높고 가을, 봄 순이었다.

  • PDF

양돈장 분뇨의 혐기성 부숙 과정에서 첨가제에 따른 오염물질 및 악취 저감 효과 (The Effect of Reduction of Contaminants and Odor according to the Additives in the Anaerobic Maturation Process of Piggery Slurry)

  • 강경호;감상규;허철구;이민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69-175
    • /
    • 2006
  • The changes of contaminants and odor corresponding to anaerobic maturation process of piggery slurry were investigated by applying the additives, such as different kinds of complex microorganism products and deodorants containing microorganism activating agents. The pHs during 20-day anaerobic maturation were operated stably without great change regardless of the additives, although they were rather lower in the case that the additives were contained than the case that they were not contained. The effects of removing CODcr, $NH_3-N$, T-N, and T-S in case that the additives were not contained, were not so great during the 20-day operation and so it would be difficult to remove the organic materials and nitrogen ingredients simply with anaerobic maturation process. However, in case of anaerobic maturation process that the additives were contained, their average removal rates were improved with the values of $49\%,\;63.5\%,\;48.5\%,\;and\;30.7\%$ for above each of items, even if the 20-day of short-term maturation period was applied. Especial1y, odor intensity with the additives was lowered continuously during the operation period and it had more than two times of lowering effect compared to that without those.

퇴적물의 영양염류 용출과 호기적 조건과의 상관성 분석 (Correlation of Releases of Nutrient Salts in Sediment with Vicinal Oxic Conditions)

  • 조대철;이은미;박병기;권성현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0권7호
    • /
    • pp.845-855
    • /
    • 2011
  • The aim of this paper is to correlate the release characteristics of marine and lake sediment with their vicinal oxic conditions. We performed lab-scale simulation experiments using field sediment and water in order to compare the release concentrations and the release rates one another. To provide a few different kinds of oxic environments we used natural air flow and some oxygen releasing compounds such as $CaO_2$ and $MgO_2$. In case of phosphates, in each oxic condition, removal of phosphorus via biological activity and that via salt precipitation with the metal ions lowered the release rates. The behavior of the nitrogen-origin salts seemed to greatly depend on the typical biological actions - growth of biomass, nitrification, and partial denitrification. Generally speaking, the control of releases of $NH_3$-N, $PO_4$-P, T-N and T-P was successful under the oxic conditions meanwhile COD, nitrates and nitrites were difficult to reduce the releases into the bulk water because of the considerable microbial oxidation. Based on typical diffusive mass transfer kinetics the changes of concentrations of the nutrients were computed for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comparisons.

피혁폐수 고도처리시설의 통계학적 특성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An Advanced Wastewater Treatment Plant for Leather Industry)

  • 양형재;권오상;김재훈;김상훈;이성종;정동일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740-747
    • /
    • 2007
  • The advanced wastewater treatment plant of leather industry was selected to evaluated with its effluent water quality and statistical characteristics. Most of pollutants removal efficiencies were over 90% as well. And 95% reliability of effluent concentration were 106.8 mg/L of $COD_{mn}$, 72.04 mg/L of TN. However Effluent quality of TN exceeds the regulated limit. The range of coefficient of variation (CV) were between 0.18 and 2.49. Also, coefficient of reliability (COR) were between $0.03(BOD_5){\sim}0.63(COD_{mn})$ and 0.43 in terms of T-N, $Z_{l-a}$(Normalized Percentiles) value were 55.7 and 2.25 in terms of $BOD_5$ and T-N as shown in the following t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