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moval of Ammonia-Nitrogen Contained in Landfill Leachate by Ammonia Stripping(I)

암모니아 탈기공정을 이용한 침출수의 암모니아성 질소제거(I)

  • Lee, Byung-Jin (School of Environmental and Urban System Engineering, Ajou University) ;
  • Cho, Soon-Haing (School of Environmental and Urban System Engineering, Ajou University)
  • 이병진 (아주대학교 환경도시공학부) ;
  • 조순행 (아주대학교 환경도시공학부)
  • Received : 2000.04.25
  • Accepted : 2000.08.18
  • Published : 2000.10.30

Abstract

Nitrogen compounds are one of the major pollutants which cause eutrophication problems of the river or lake and red tides problems of the ocean. Currently available technologies for the removal of nitrogen compounds are mostly biological treatment. However, biological treatment is only effective for the wastewater which contains low concentration of nitrogen compounds. Leachate from solid waste landfill or industrial wastewater which contains high concentration of nitrogen can not be effectively treated by most of the currently available biological treatment technologies. With this connec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ammonia stripping technology for the removal of high concentration of ammonia nitrogen compounds of the leachate from solid waste landfill. It can be concluded that ammonia stripping technology which was placed before the biological treatment process was very effective for the removal of high concentration of ammonium compounds. The chemical cost for the ammonia stripping was 16 percent higher than MLE process, so other methods like sludge recycling are needed for the reduction of operation cost. Further details are discussed in this paper.

질소제거를 위한 처리기술은 아직까지는 주로 생물학적인 처리기술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생물학적인 처리기술은 하수 등과 같은 저농도 암모니아성 질소성분을 함유한 폐수에 대해서는 비교적 광범위하게 정립되어 있는 반면, 질소성분외에 난분해성 및 독성물질을 고농도로 함유하고 있는 침출수 및 산업폐수에 생물학적 처리기술을 적용하는 방법은 처리효율면에서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질소 처리기술이 비교적 정립되어 있지 않은 고농도의 암모니아성 질소 성분을 함유한 침출수를 대상으로 생물학적 처리공정의 이전에 질소제거를 위한 암모니아 탈기공정의 적용가능성을 타진하고 자원 재활용 측면을 고려하여 처리된 질소성분의 회수 가능성을 조사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실험결과 암모니아 탈기공정을 위하여 pH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NaOH보다 $Ca(OH)_2$를 사용하는 것이 적정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암모니아 탈기에 적정한 pH는 10.5로 조사되었으며, 목표치인 500 mg/L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소요되는 반응시간은 $35^{\circ}C$, 10 L/L/min의 조건에서는 2시간, $55^{\circ}C$, 10.0 L/L/min의 조건에서는 1시간이 소요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따라 생물학적 처리공정의 전단에 air diffused system을 이용한 암모니아 탈기공정의 적용은 고농도의 암모니아성 질소를 함유한 침출수의 처리에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결론지울 수 있었다. 그러나 생물학적 처리공정인 MLE 공정(T-N 최대 제거율: 78%,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율: 98~99%)과 혐기성 소화조, 폭기식 라군산화조에서 질소성분을 완전히 제거하기 위하여 이들 공정전에 적용한 암모니아 탈기공정의 운전에 소요되는 약품비를 각각 산출하여 비교한 결과 암모니아 탈기공정이 MLE 공정에 비해 약품 소모비가 약 16% 정도 더 많이 소요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므로 암모니아 탈기공정의 경제성을 높이기 위하여 슬러지를 재이용하는 방안 등을 검토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