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stimation of Water Purification Ability with Applying Porous Concrete to Weir and Riverbed Materials

다공성 콘크리트의 보 및 하상재료 적용에 따른 하천 수질정화 능력 평가

  • 최이송 (경희대학교 환경연구센터) ;
  • 김진홍 (중앙대학교 토목공학과) ;
  • 최계운 (중앙대학교 토목공학과) ;
  • 오종민 (경희대학교 환경응용화학대학 환경학과)
  • Published : 2003.12.01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mprove water quality of stream by applying hydraulic structures (weir and river bed material) made of porous concrete. The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porous concrete were measured to estimate application possibility of it in hydraulic structures and it was considered as a proper material for the hydraulic structures. In the results of comparison for the component of matters attached on the hydraulic structures made of porous and ordinary concrete, DW (dry weight) amount attached on porous concrete was 1.6 times higher than that on ordinary concrete under the condition of the same flow rate but influence by flow rate (difference of 10 times) was not shown. Therefore, we could understand that the material of media was more important in DW amount than flow rate. The rate of AFDM (ash free dry mass) to DW also was more at porous concrete than at ordinary concrete. Especially, the high rates of nitrogen and phosphorous in matters attached on porous concrete verify that they were removed by assimilation, adsorption and metabolism of periphyton. The removal percentage of SS, BOD, COD, T-N and T-P by hydraulic structures applying porous concrete compared with ordinary concrete was increased by 34.6%, 36.9%, 33.9%, 18.3% and 21.6%, respectively. Therefore, applying porous concrete to hydraulic structure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improvement of stream water quality.

본 연구에서는 최근 환경재료로서 관심이 모아지고 있는 다공성 콘크리트를 하천구조물(보 및 하상재료)에 적용함으로써 수질을 개선하고자 수행하였다. 먼저, 물리ㆍ화학적 특징을 평가해 본 결과, 공극률 10% 및 30%의 다공성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일반 콘크리트의 최저 압축강도(180 kgf/$cm^2$)를 상회하여 하천구조물에 적용 가능하였고, 알칼리 용출에 의한 부착 미생물에의 영향도 거의 없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일반 콘크리트와 다공성 콘크리트로 하천구조물을 제작하여 부착물의 성상을 비교ㆍ검토한 결과, 같은 유속조건에서 부착물의 DW량은 일반 콘크리트에 비해 다공성 콘크리트가 1.6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면에 유속을 10배 달리한 실험의 결과에서는 거의 같은 부착물의 DW량을 보여 부착매질에 의한 영향이 유속에 의한 영향보다도 더 크게 작용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부착물의 성상에서도 건조물중 AFDM의 비가 다공성 콘크리트에서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N, P의 비가 높은 것은 부착 생물에 의한 흡수 및 흡착, 물질대사에 의해 유기물 제거가 더 컸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수질개선 효과에 있어서 전 구간을 종합한 결과, 다공성 콘크리트를 적용한 하천구조물에서의 SS, BOD, COD, T-N, T-P의 제거효율은 일반 콘크리트 보다 각각 34.6%, 36.9%, 33.9%, 18.3%, 21.6% 씩 증가하여 하천 수질개선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공동수, 천세억 (1999). '인공수로내 사상성 부착조류의 증식속도 및 영양물질 제거능,' 한국육수학회지,'한국육수학회, 제32권, 제3호, pp. 207-215
  2. 김무한, 김규용, 백용관, 김재환 (2000). '포러스 콘크리트의 배합요인 및 골재혼합비율의 강도 및 투수성능에 미치는 영향,'콘크리트 학회지, 한국콘크리트학회, 제12권 제6호, pp. 91-98
  3. 김진춘, 김기수, 최광일, 오희갑 (1996).'다공성 콘크리트의 기초적 특성과 녹화실험,'한국콘크리트학회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콘크리트학회, pp. 153-159
  4. 김화중 (1996). '에코콘크리트에 대한 소개,' 콘크리트 학회지, 한국콘크리트학회, 제8권 제6호, pp. 74-82
  5. 문충규 (2002). 재생골재를 이용한 수질정화용 Eco-concrete 개발 및 적용성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6. 박승범, 임찬덕 (2000).'식생콘크리트,'콘크리트 학회지, 한국콘크리트학회, 제12권 제5호, pp. 38-42
  7. 신재기, 조경제 (1998). '대청천에서 부착조류의 1차 생산성.' 한국육수학회지, 한국육수학회, 제31권 제4호, pp. 294-302
  8. 진서형 (1999). 다공질 여재에 부착한 생물막의 기질제거특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9. 최예환, 유능환, 최중대, 김기성 (1999). '취입보의 소하천에서의 환경적 기능과 역할', 강원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논문집, 제10권, pp. 38-46
  10. 최창우, 정문영, 이형우 (1999). '투수 콘크리트의 물리적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한국콘크리트학회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콘크리트학회, pp. 166-171
  11. 한국건자재 시험연구원 (1997). 시험업무안내, pp. 7-15
  12. 한국표준협회 (2001). KS 핸드북 (2001-2002 콘크리트.레미콘), pp. 105-123
  13. 홍일, 최이송, 오종민 (2003). '전형적 도시하천의 특성을 가진 오산천의 물질수지 및 자정능력 규명'물환경학회논문집, 한국물환경학회, 제19권 제3호, pp. 339-348
  14. 尹藤昌昭 (1995). '透水コンクリ―トの槪要およびエコマテリアルとしての用途' セメン.コンクリ-ト, No. 576, pp. 11-16
  15. 玉井元治, 河合章 (1992). '水質淨化用多孔質コンクリ―ト' 土木學會誌, 日本土木學會, Vol. 77, No. 11, pp. 14-16
  16. 日本コンクリ一ト工學協會 (1995), エココンクリ一ト硏究委員會報告書
  17. 水口裕之, 尹藤禎彦, 村上仁士, 入創雅人 (1996). '沿岸水中に浸漬した連續空隙を特つポラスコンクリ一トにおける付着生物の發達特性,' セメント.コンクリ一ト工學年次論文報告集, Vol. 18, No. 1, pp. 1023-1028
  18. Choi, I. S. and Oh, J. M. (2002). 'Physical characteristics of porous concrete and water purification ability by applying it to constructions in the river.' Korean Journal of Limnology, Vol. 35, No. 4, pp. 312-319
  19. Fumio, K. (1991). 'Water purification system using bio-polacon.' Science and Technology in Japan, Vol. 61, pp. 35-37
  20. Redifield, A. C. (1958). 'The biological control of chemical factors in the environment,' American Scientist, Vol. 46, pp. 205-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