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 probe

검색결과 96건 처리시간 0.028초

Effects of FasL Expression in Oral Squamous Cell Cancer

  • Fang, Li;Sun, Lin;Hu, Fang-Fang;Chen, Qiao-Er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1호
    • /
    • pp.281-285
    • /
    • 2013
  • Purpose: To probe the role of FasL in cell apoptosis in oral squamous cell carcinomas (OSCCs). Methods: The expression of Fas/FasL was assessed in 10 cases of normal oral epithelium, 38 cases of OSCC and tumor infiltrating lymphocytes (TIL), and 11 cases of metastatic lymph nodes by immunohistochemistry. Apoptosis of tumor cells and TIL was detected by terminal deoxynucleotidyl transferase-mediated dUTP-biotin nick end labeling assay (TUNEL). FasL-induction of T cell apoptosis was tested by co-culture assay in vitro with SCC-9 and Jurkat T cells. Results: The 10 cases of normal oral epithelium all demonstrated extensive expression of Fas, the positive rate being largely down-regulated in OSCC (21/38) (P<0.05) compared to the normal (10/10). At the same time, the positive rate of FasL significantly increased in OSCC (P<0.05) especially those with lymph node metastasis (P<0.05). The positive rates of Fas in well and middle differentiated OSCC were higher than those in poor differentiated OSCC (P<0.05). The AI of tumor cells in Fas-positive OSCC was remarkably higher than that in Fas-negative OSCC (P<0.01), with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Fas expression and cell differentiation as well as apoptosis (r=0.68, P<0.01). The AI of tumor cells in FasL positive OSCC was remarkably lower than that in control while the AI of TIL was higher than in FasL negative OSCC (P<0.05). The AI of tumor cells reversely correlated with that of TIL (r = -0. 72, P<0.05). It was found that SCC-9 cells expressing functional FasL could induce apoptosis of Jurkat cells as demonstrated by co-culture assays. As a conclusion, it is evident that OSCC cells expressing FasL can induce apoptosis in Fas-expressing T cells. Conclusions: In progression of OSCC, expression of the Fas/FasL changes significantly. The results suggest that FasL is a mediator of immune privilege in OSCC and may serve as an marker for predicting malignant change in oral tissues.

소 Adipocyte Differentiation Related Protein (ADRP) 유전자의 Genomic Organization 및 Promoter Region의 특성 규명 (Genomic Organiz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Promoter Region of Bovine ADRP (Adipocyte Different Related Protein) Gene)

  • 장요순;윤두학;김태헌;정일정;조진기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2호
    • /
    • pp.169-182
    • /
    • 2003
  • ADRP 유전자가 24개월령 한우 등심조직에서 발현량이 급격히 증가하여 30개월령 등심조직에서는 발현량이 다소 감소하는 발현양상 분석결과로부터 이전 연구에서는 ADRP 유전자를 한우 성장단계 특이발현 유전자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ADRP 유전자의 발현조절 기작을 분석하기 위하여 promoter 영역을 포함하는 ADRP 유전자 전체영역을 cloning하였으며, 구조를 분석하고 promoter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한우 ADRP cDNA 단편을 probe로 합성하여 Southern blot 분석을 실시한 결과로부터 ADRP 유전자가 한우 genome 상에서 single copy로 존재하고 크기는 대략 12 kb에 해당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Genomic DNA library screening을 실시하여 promoter 영역을 포함하는 ADRP 전체 유전자에 해당하는 clone을 확보하고 HwADRPg-1으로 명명한 후, 염기서열을 결정하고 분석하였다. 한우 ADRP 유전자, HwADRPg-1은 8개의 exon과 7개의 intron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모든 exon-intron 경계는 GT/AG 원칙을 따르고 있었고, coding 영역은 7,633 bp로서 6개의 intron에 의해 7개의 exon으로 나누어져 있었다. HwADRPg-1의 promoter 영역에서는 TATAA box는 발견되지 않았으며, -70 위치에 근육 특이적 transcription activator인 Myo G 서열이 존재하였고, -629 위치에는 지방세포의 분화를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진 C/EBP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 서열이 존재하였다. HwADRPg-1의 조절영역에 있는 Myo G factor가 근육조직에서 ADRP 유전자가 발현될 수 있도록 하며, 근육의 발달정도를 신호로써 감지하여 근육조직에서 성장단계에 따른 ADRP 유전자의 발현량을 조절할 것으로 추정되고, 다른 종류의 지방세포 특이적인 전사인자 및 지방세포의 분화정도를 신호로 인식하는 전사단계 조절인자를 조사하기 위하여 promoter 영역의 추가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한우 성장단계 특이발현 유전자의 발현양상 분석 (Expression Patterns of the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During Growth Stages of Hanwoo(Korean Cattle))

  • 장요순;윤두학;김태헌;정일정;조진기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6호
    • /
    • pp.677-684
    • /
    • 2002
  • 한우 성장단계 특이발현 유전자 탐색에 관한 연구(장 등, 2002)에서 선정된 후보유전자 중, EPV 20, TCTP 및 aldolase A를 비롯하여 24개월령 cDNA probe에 대하여 강한 signal을 나타낸 ADRP 유전자의 발현양상을 분석하기 위하여 성장단계별 한우 등심조직 시료를 사용하여 semiquantitative RT-PCR 및 northern blot 분석을 실시하였다. EPV 20 유전자는 한우 등심조직에서 성장단계에 따른 발현량 차이가 거의 없는 결과를 근거로, 근육조직에서 항상 발현되는 유전자로 판단하였다. 또한 발달단계에 따라 발현량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고된 aldolase A 유전자 역시 뚜렷한 발현량 차이는 없었으며, aldolase A의 muscle specific promoter와 근육분화 관련 transcription factor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근육분화 및 근육수축에 있어 aldolase A의 역할 및 조절작용을 밝힐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성장관련 단백질로 알려져 있는 TCTP의 발현양상을 분석한 결과, 한우 등심조직에서 성장함에 따라 발현량이 약간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발현양상 분석결과로 TCTP 유전자는 성장과 관련된 기능이 있지만 동물의 성장에 있어 직접적으로 관여하지는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지방세포 분화의 초기단계에서 발현량이 급증하고 lipid droplet 형성에 관여하며 지방축적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된 ADRP 유전자의 transcript의 크기는 약 1.82 kb 이었고, 24개월령 한우 등심조직에서 발현량이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30개월령 조직에서는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ADRP 유전자를 한우 성장단계 특이발현 유전자로 선정하였으며, ADRP 유전자의 발현양상은 근육내 지방축적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이후에는 발현조절 기작의 해명 및 근육내 지방축적과의 관련성 분석을 위하여 ADRP 유전자의 전체적인 구조 및 전사조절 인자 분석을 비롯하여 다른 지방대사 및 지방축적 관련 유전자와의 상호작용 및 다형성 탐색분석에 관한 연구가 필요 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무전해 니켈도금된 탄소섬유강화 에폭시기지 복합재료의 전자파 차폐특성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ing Behaviors of Electroless Nickel-loaded Carbon Fibers-reinforced Epoxy Matrix Composites)

  • 홍명선;배경민;이해성;박수진;안계혁;강신재;김병주
    • 공업화학
    • /
    • 제22권6호
    • /
    • pp.672-678
    • /
    • 2011
  • 연구에서는 니켈 함량에 탄소섬유강화 에폭시 기지 복합재료의 전자파 차폐효과에 대해 고찰을 위해 탄소섬유표면에 시간의 변수에 따른 무전해 도금을 실시하였다. 탄소섬유 표면의 특성은 주사전자현미경과 X-선광전자분광법으로 측정하였고 전기적 특성은 4단자법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복합재료의 전자파 차폐효과는 흡수와 반사 두 가지 방법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로부터 전자파 차폐효과는 탄소섬유 표면에 코팅된 니켈 함량이 증가됨에 따라 순차적으로 증가되는 것이 확인되었으나, 고주파 영역에서는 과량의 니켈 도금이 더 이상의 전자파 차폐효율을 증가시키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니켈 함량이 탄소섬유 복합재료의 전자파 차폐효과를 결정하는 요소가 될 수 있다고 판단되나, 특정 주파수마다 최적화된 금속도입 함량에 대한 변수가 있을 수 있다고 판단된다.

Expression Analysis of the Ligand to Ly-6E.1 Mouse Hematopoietic Stem Cell Antigen

  • Hwang, Dae-Youn;Min, Dul-Lei;Sonn, Chung-Hee;Chang, Mi-Ra;Lee, Mi-Hyun;Paik, Sang-Gi;Kim, Young-Sang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권1호
    • /
    • pp.157-164
    • /
    • 1997
  • Ly-6E.1 antigen was proposed as a regulatory molecule of T lymphocyte activation, a hematopoietic stem cell marker, a memory cell marker, and an adhesion molecule. Though there were several reports suggesting the presence of Ly-6 ligand, the characterization of the ligand was not yet performed, As an attempt to screen the expression of Ly-6E.1 ligand, we prepared a probe for detecting Ly-6E.1 ligand by producing a fusion protein between Ly-6E.1 and $hlgC_{r1}$, A mammalian cell expression vector with Ly-6E.$1/hlgC_{r1}$ chimeric cDNA was transfected in SP2/0-Ag14 myeloma cells, and stable transfectants were selected. The fusion protein was produced as a dimer and maintained the epitopes for monoclonal antibodies specific for Ly-6E.1 and for anti-human lgG antibody. The purified fusion protein through Gammabind G column was used for FACS analyses for the expression of Ly-6E.1 ligand. The fusion protein interacted with several cell lines originating from B cells, T cells, or monocytes. The fusion Protein also strongly stained bone marrow, lymph node, and spleen cells, but thymic cells weakly, if any. The staining was more obvious in C57BL/6 $(Ly-6^b)$ than Balb/c $(Ly-6^a)$ mi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interaction of Ly-6E.1 with Ly-6E.1 ligand may function both in the stem cell environment and in the activation of mature lymphocytes. The fusion protein may be a valuable tool in characterization of biochemical properties of the Ly-6E.1 ligand and, further, in isolating its cDNA.

  • PDF

타우 PET영상을 위한 18F-THK5351의 표지방법 개발 (Development of Radiosynthetic Methods of 18F-THK5351 for tau PET Imaging)

  • 박준영;손정민;전중현
    • 핵의학기술
    • /
    • 제22권1호
    • /
    • pp.51-54
    • /
    • 2018
  • 본 연구는 타우 PET용 방사성의약품으로 개발된 $^{18}F-THK5351$의 임상적용을 위하여 상용화된 자동 합성장치에 적용한 표지방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18}F-THK5351$의 표지법 개발은 HPLC 분리정제 전 표지반응물의 유기용매, 불순물 및 미반응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고체상 추출 카트리지를 사용하여 정제하는 과정을 포함한 방법(method I)과 전처리 정제과정을 포함하지 않은 방법(method II)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18}F-THK5351$ 표지는 $Sep-Pak^{(R)}$ QMA 카트리지를 사용하여 흡착한 불소-18 음이온을 $K_{2.2.2}/K_2CO_3$으로 용출한 후 $100^{\circ}C$에서 진공상태와 헬륨의 흐름하에 건조한 후 표지 전구체와 $110^{\circ}C$에서 10분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 1 N HCl을 첨가하여 보호기를 제거한 후 0.8 M $CH_3COOK$를 사용하여 표지 반응물을 중화하였다. 이후 전처리 정제의 유무에 따라 method I과 method II로 진행하였다. Method I에서 전처리 정제 과정의 최적화를 위해 $Sep-Pak^{(R)}$ tC18과 $Oasis^{(R)}$ HLB 고체상 추출 카트리지를 사용하여 비교한 결과 $Sep-Pak^{(R)}$ tC18 카트리지는 57.2%의 표지 반응물이 빠져 나갔고, $Oasis^{(R)}$ HLB 카트리지는 40.6%의 표지 반응물이 빠져나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Method I 표지방법의 방사화학적 수율은 $23.8{\pm}1.9%$(decay-corrected, n=4) 이었고, method II 표지방법의 방사화학적 수율은 $31.9{\pm}6.7%$(decay-corrected, n=10) 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전처리 정제과정을 거쳐 HPLC로 분리정제하는 방법과 전처리 정제과정을 거치지 않고 표지반응물을 바로 HPLC 정제하는 표지방법을 상용화된 자동합성장치를 사용하여 성공적으로 개발하였다. 하지만 전처리 정제과정을 포함한 표지방법은 표지반응물의 손실이 많아 방사화학적 수율이 낮아지는 단점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전처리 정제과정이 생략된 $^{18}F-THK5351$의 표지방법은 향후 통상적으로 생산 시 보다 유용한 표지방법으로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Digital을 이용한 치면세균막 검사법의 임상적 활용 가능성 평가 (Assessment of Clinical Applicability of a New Plaque Scoring System Using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Digital)

  • 황혜림;조영식;김백일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50-157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임상에서 염색제를 사용한 치면세균막검사와 periodental probe를 사용한 치은지수 평가방법대신 새로운 디지털 형광 장비인 QLF-D를 이용한 검사법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염색제를 이용하여 치면세균막지수를 산출하여 연구 대상자를 위험군별로 구분하여 일반적 특성을 확인하였고, 분석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산출되는 QLF-D score와 전체 및 전치부 치면세균막지수, 치은지수의 상관성을 확인하였다. 정상치은과 치은염에 따른 QLF-D score를 비교하였고, 각 QLF-D score에 따른 치면세균막지수와 치은지수의 평균값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연구대상자의 염색제를 이용한 평균 치면세균막지수는 $42.28{\pm}17.90$이었고, 6개의 선택치아의 치은지수는 $1.05{\pm}20.38$로 나타났으며, QLF-D score는 $1.26{\pm}1.50$이었다. 상하악전치부 QLF-D score와 치면세균막염색을 이용하여 평가한 전치부 치면세균막지수의 상관 분석 결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r=0.638, p<0.001). 또한 상하악 전치부 QLF-D score와 periodontal probe를 이용한 치은지수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에서도 두 가지 평가 지표 간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562, p<0.001). 치면세균막지수와 치은지수에 따른 QLF-D score의 차이를 저위험군과 고위험군으로 분류하여 비교한 결과, 치면세균막지수(p<0.0001)와 치은지수(p=0.007) 모두 저위험군에 비해 고위험군 집단에서 QLF-D score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QLF-D score에 따른 치면세균막지수 및 치은지수 평균값을 비교한 결과, QLF-D score가 증가할수록 두 가지 지수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p<0.0001).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QLF-D로 치면세균막을 평가함으로써 치은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것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임상 현장에서 QLF-D를 활용한다면, 비교적 간편하게 구강 이미지를 획득하고 구강 상태를 점수화하여 제시함으로써 술자의 진단 절차가 간편해지고 환자와의 의사소통이 원활해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nalysis of Genomic Structure of an Aflatoxin Biosynthesis Homologous Gene Cluster in Aspergillus oryzae RIB Strains

  • Lee, Yun-Hae;Tominaga, Mihoko;Hayashi, Risa;Sakamoto, Kazutoshi;Yamada, Osamu;Akita, Osamu
    • 한국균학회소식: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균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 /
    • pp.32-44
    • /
    • 2006
  • To investigate non-aflatoxin-production of A. oryzae at the molecular level, an aflatoxin biosynthesis gene homolog cluster of RIB 40 was analyzed. Although most genes in the corresponding cluster exhibited from 97 to 99 % similarity to those of Aspergillus flavus, three genes shared 93 % similarity or less. In addition, although slight expression of aflR, positive transcriptional regulator gene, was detected in some A. oryzae strains having seven aflatoxin biosynthesis homologous genes, other genes related to aflatoxin production were not detected. RIB strains were mainly divided into group 1, having seven aflatoxin biosynthesis homologous genes (aflT, nor-i, aflR, norA, avnA, verB, and vbs), and group 2, having three homologous (avnA, verB, and vbs). Partial aflatoxin homologous gene cluster of RIB62 from group 2 was sequenced and compared with that of RIB40 from group 1. RIB62 showed a large deletion upstream of ver-1 with more than half of the aflatoxin homologous gene cluster missing including aflR, a positive transcriptional regulatory gene. Adjacent to the deletion of the aflatoxin homologous gene cluster, RIB62 has a unique sequence of about 8kb and a telomere. Southern analysis of A. oryzae RIB strains with four kinds of probe derived from the unique sequence of RIB62 showed that all group 2 strains have identical hybridizing signals. Polymerase chain reaction with specific primer set designed to amplify the junction between ver-1 and the unique sequence of RIB62 resulted in the same size of DNA fragment only from group 2 strains. Based on these results, we developed a useful genetic tool that distinguishes A. oryzae group 2 strains from the other groups' strains and propose that it might have differentiated from the ancestral strains due to chromosomal breakage.

  • PDF

A COSMOLOGICAL PAH SURVEY WITH SPICA

  • Wada, Takehiko;Egami, Eiichi;Fujishiro, Naofumi;Goto, Tomotsugu;Imanishi, Masatoshi;Inami, Hanae;Ishihara, Daisuke;Kaneda, Hidehiro;Kohno, Kotaro;Koyama, Yusei;Matsuhara, Hideo;Matsuura, Shuji;Nagao, Tohru;Ohyama, Youichi;Onaka, Takashi;Oyabu, Shinki;Pearson, Chiris;Sakon, Itsuki;Takeuchi, Tsutomu T.;Tomita, Keisuke;Yamada, Toru;Yamagishi, Mitsuhosi
    • 천문학논총
    • /
    • 제32권1호
    • /
    • pp.317-319
    • /
    • 2017
  • We propose a cosmological survey to probe star formation and nuclear activity in galaxies at redshifts of z=2-4 by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 (PAH) features using the SPICA mid-infrared instrument (SMI) with a spectral resolution of R=20. We will cover a wavelength range of $20-36{\mu}$ that corresponds to z=2-4 for the PAH features (11.3, 7.7, and $6.2{\mu}$). The sensitivity will be $1{\times}10^{-19}W/m^2(5{\sigma})$ in case of a reference survey that covers 4 arcmin2 field in a one-hour observation. It corresponds to $L_{IR}=2{\times}10^{11}L_{\odot}$ at z=3 and will give us more than 10000 galaxies in a 450 hour survey.

비정질-결정질 가역적 상변환 소자용 Ge8Sb2Te11 박막의 W 도핑에 따른 상변환 특성 평가 (Evaluation on the Phase-Change Properties in W-doped Ge8Sb2Te11 Thin Films for Amorphous-to-Crystalline Reversible Phase-Change Device)

  • 박철진;여종빈;공헌;이현용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30권3호
    • /
    • pp.133-138
    • /
    • 2017
  • We evaluated the structural, electrical and optical properties of tungsten (W)-doped $Ge_8Sb_2Te_{11}$ thin films. In a previous work, GeSbTe alloys were doped with different materials in an attempt to improve thermal stability. 200 mm thick $Ge_8Sb_2Te_{11}$ and W-doped $Ge_8Sb_2Te_{11}$ films were deposited on p-type Si (100) and glass substrates using a magnetron co-sputtering system at room temperature. The fabricated films were annealed in a furnace in the $0{\sim}400^{\circ}C$ temperature range. The structural properties were analyzed using X-ray diffraction (X'pert PRO, Phillips). The results showed increased crystallization temperature ($T_c$) leading to thermal stability in the amorphous state. The optical properties were analyzed using an UV-Vis-IR spectrophotometer (Shimadzu, U-3501, range : 300~3,000 nm). The results showed an increase in the crystalline material optical energy band gap ($E_{op}$) and an increase in the $E_{op}$ difference (${\Delta}E_{op}$). This is a good effect to reduce memory device noise. The electrical properties were analyzed using a 4-point probe (CNT-series). This showed increased sheet resistance ($R_s$), which reduces programming current in the memory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