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ynchronous Online Education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35초

패션디자인 CAD의 온라인 교육 방법 연구 - 포토샵, 일러스트레이터, 텍스프로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Online pedagogical strategies of a fashion design CAD course - Focused on Adobe Photoshop, Illustrator, and Texpro programs -)

  • 권상희
    • 복식문화연구
    • /
    • 제30권5호
    • /
    • pp.717-731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effective online pedagogical strategies for a fashion design CAD course to enhance student learning and satisfaction. The study investigated student experience of online learning and compared online learning with a face-to-face learning experience. Student concentration, participation, perceptions of effectiveness of teaching, utilization of learning materials, and satisfaction were analyzed using a 5-point Likert scal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online learning as well as advantages of face-to-face learning were also analyzed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Student concentration, participation, and perception of effectiveness of teaching were greater for face-to-face learning with significantly higher concentration on individual practice. Students utilized video recording of synchronous online lectures more actively than PDF lecture notes. The advantages of face-to-face learning were plentiful communication and feedback and easy questioning process as well as high levels of understanding and concentration. Meanwhile, major disadvantages of online learning were the speed of the lecture, lower levels of understanding and concentration, limited peer interaction, and technical problems. Major advantages of online learning were flexibility and convenience, repetitive learning through videos, and instant communication and feedback. Students preferred a blended learning approach for the fashion design CAD course. For effective online learning, it is suggested that instructors frequently question and check student practice through screen share in a private online meeting room and engage activities that are demanding of student interaction. The video recording of synchronous online lectures is also suggested as a supplemental learning material for repetitive learning.

실시간-비실시간 온라인플랫폼을 통한 역량강화중심 대학영어 교수-학습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a college English teaching and learning model in online synchronous/asynchronous platforms to enhance Competencies)

  • 이명관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4호
    • /
    • pp.35-42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실시간-비실시간 온라인플랫폼을 통한 역량강화중심 대학영어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의 대학영어 교수-학습 모형은 의사소통, 자기주도성, 협동성 등의 역량증진을 위한 딕토글로스 활동을 다양한 온라인플랫폼 기능 활용을 고도화하여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것이다. 딕토글로스는 의사소통의 네가지 기능(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을 통합하여 사용하는 언어 교수-학습 활동이다. 본 연구에서의 대학영어 수업은 의사소통 중심 통합적 영어교육에 중점을 두고 있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의 교수-학습 모형은 구성주의 이론에 입각한 온라인기반 영어통합 교수-학습 방법으로서, 각 단계별로 학습자와 교수자의 역할을 제시하였다.

온라인 국제교류 협력학습 설계모형 탐구 (Research on Instructional Design Models for Cross-Cultural Collaborative Online Learning)

  • 박상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0호
    • /
    • pp.1-9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첨단 ICT의 활용도를 높이고 국가 간 교육 교류협력 활성화에 기여하는 온라인 국제교류 협력학습의 개념과 유형에 대해서 살펴보고, 유형별 수업 설계모형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온라인 국제교류 협력학습 관련 시범사업 및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 온라인 국제교류 협력학습은 첨단 ICT를 기반으로 언어적, 문화적으로 이질적인 학생, 교사, 현장전문가가 상호작용하고 협력함으로써 지식을 탐구하고 구성해가는 구성주의 기반의 교육방법임을 확인하였다. 유형으로는 원격 화상 수업 중심의 실시간 교류학습과 웹사이트 기반 과제 중심의 비실시간 교류학습이 있었고, 이러한 유형별 특징을 고려한 PPIE(Plan-Preparation-Interaction-Evaluation) 수업 설계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가 온라인 국제교류 협력학습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Discourse Socialization in Synchronous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 Ha, Myung-Jeong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9권3호
    • /
    • pp.19-28
    • /
    • 2013
  • This paper, based on a qualitative ethnographic study among college of education students, examines the online interactional processes surrounding academic discourse socialization. Data for this paper come from a larger study of an academic classroom community of graduate students and their instructor. In this study, I looked into the ways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CMC) contexts factor into graduate students' academic literacy experience in a graduate classroom, therein enculturating them into their new academic community. I focus on cases of nonnative graduate students in a content course in the department of educational psychology at a large southwestern university in the U.S. I explore the agency of the focal participants in terms of the roles they played in the classroom discourse highlighting the dialectical and interactional perspective of academic discourse socialization. This paper focused on the construction of varied participant roles of the focal students. It further examines student reactions and responses to these constructions during synchronous CMC activity.

면대면과 실시간 온라인 환경이 통합된 하이브리드 수업의 효과적 운영을 위한 요소 탐색: 초등교사의 경험을 중심으로 (Exploring Factors for the Effective Operation of Hybrid Learning Integrating Face-to-Face with Online Synchronous Environment: Focusing on the Experien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 한형종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79-88
    • /
    • 2022
  • 본 연구는 초등교육에서 오프라인 환경과 실시간 온라인 환경이 통합된 하이브리드 교육을 운영함에 있어서 어떠한 요소를 중점적으로 고려해야 하는지를 탐색하는 목적을 지닌다. 이를 위해 하이브리드 교육을 운영해 본 경험을 지닌 8명의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면담 등을 통해 주요 고려 요소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운영에 앞서 하이브리드 교육의 특성이 무엇인지에 대한 개념에 대해 구체적인 안내나 교육을 통해 이해 수준을 높일 필요가 있음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기반 구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효과적인 운영이 어려웠기에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테크놀로지를 포함한 환경 재설계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특히, 환경 간의 동시성과 상호작용성을 기반으로 두 환경에서 학습자들이 연결되어 참여할 수 있는 활동을 고려해야 한다. 향후 교수학습 운영을 안내하는 설계 전략의 개발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Latest Information Technologies in the UK Adults Education System

  • Tverezovska, Nina;Bilyk, Ruslana;Rozman, Iryna;Semerenko, Zhanna;Orlova, Nataliya;Vytrykhovska, Oksana;Oros, Ildiko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8호
    • /
    • pp.25-34
    • /
    • 2022
  • Today, further education of adults in the UK is one of the developing areas of continuing education. The Open University with distance learning, in the process of which innovative forms and methods based on computer and telecommunication technologies are used, is particularly successful in the organization of additional education of the adult population. The advantages of distance learning, multimedia - the latest information technologies, which provide the combination of graphic images, video, sound with the help of modern computer tools, are noted. The basic principles and forms underlying the technologies and forms of work with the elderly are defined. The international experience of implementing "Universities of the Third Age" is summarized. The most widespread approach in adult education in Great Britain is informational. The use of computer technologies motivates a new paradigm in educational methods and strategies, which requires new approaches, forms of learning, and innovative ways of delivering educational materials to adult learners. Information technologies have gained great popularity in such activities as distance learning, online learning, assistance in the education management system, development of programs and virtual textbooks in various subjects, online search for information for the educational process, computer testing of students' knowledge, creation of electronic libraries, formation of a single scientific electronic environment, publication of virtual magazines and newspapers on pedagogical topics, teleconferences, expansion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the field of Internet education. The information technology of synchronous distance learning "online" has gained considerable popularity in the educational process today. A promising direction is the use of multimedia technologies in educational activities to create a design of a virtual computer environment by decoding audiovisual information.

웹기반 온라인 토론에서 집단구성방식이 토론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Group Composition on the Discussion in Web-Based Online Discussion)

  • 류수영;강오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4권2호
    • /
    • pp.31-39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웹기반 실시간 온라인 토론에서 학습자 성격유형에 따른 집단구성방식이 토론 내용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였다. 이를 위하여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MBTI(Myers Briggs Type Indicator) 성격유형 검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학습자들을 내향성 집단, 외향성 집단, 내향성/외향성 혼합집단으로 분류하였다. 실험을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고 온라인 토론을 수행한 후, 토론 내용을 Henri의 메시지 분석 모델을 토대로 작성한 지표를 기준으로 각 차원별 의미단위로 분석하였다. 그 차원들 중 사회적 차원과 상호작용적 차원을 토론 내용의 상호의존성으로, 인지적 차원과 메타인지적 차원을 토론 내용의 과제관련성으로 범주화하였다. 토론 내용의 총 의미단위수, 상호의존성, 과제관련성 모두에서 이질적으로 구성된 내향성/외향성 혼합집단이 가장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대상 실시간 비대면 상호적 노래부르기 프로그램 실행 가능성: COVID-19에 따른 새로운 접근 (Feasibility of Synchronous Videoconferencing Interactive Singing Program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During COVID-19)

  • 유가을;임주연;하은진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8권1호
    • /
    • pp.29-62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COVID-19 상황에서 자폐스펙트럼장애(ASD) 아동 대상 상호적 노래부르기 중심 실시간 비대면 프로그램의 실행 가능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총 4단계로 연구가 진행되었는데, 1단계에서는 선행 문헌 고찰을 통해 상호적 노래부르기 과제의 범위를 분석하였고, 분석된 과제를 토대로 2단계에서는 노래부르기 과제 및 반주 유형에 따라 실시간 온라인으로 송출되는 소리가 지각되는 수준이 다른지 비교하였다. 또한 3단계에서는 다양한 자원의 확장, 다양한 맥락에서의 언어/노래 자원 적용, 상호적 구조 안에서의 자발적 표현 시도의 단계로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최종 구성된 프로그램은 4단계에서 평균 연령 9.3세의 ASD 아동 3명에게 30분씩 주 2회, 총 4회 동안 시행되었다. 회기가 지날수록 대상자들의 프로그램 참여 행동과 노래부르기 행동 모두 증가하였고, 보호자들은 프로그램의 적용 가능성에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다만, 참여 행동의 변화 양상이나 참여 유도를 위한 전략 등에 있어서는 대상자간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실시간 비대면 상호적 노래부르기 프로그램이 ASD 아동에게 실행 가능함을 보여주지만, 비대면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과제와 음악의 유형, 보다 많은 치료적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아동의 특성이 다를 수 있음도 시사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비대면 음악치료 프로그램 실행 방향과 고려사항에 대해 제안하였다.

블렌디드러닝의 외적 수업형태 및 내적 수업전략이 학업성취도와 학습자 인식에 미치는 영향 탐색 (Exploration of the Impact of Blended Learning's External Classroom Formats and Internal Teaching Strategie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ers' Perception)

  • 홍예윤;임연욱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8호
    • /
    • pp.1-12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COVID-19 팬데믹으로 인해 대학 수업에서 시행하게 된 블렌디드러닝의 외적 수업형태가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에 미친 영향, 그리고 블렌디드러닝의 내적 수업전략이 학습자의 인식에 미친 영향은 어떠한지를 분석하여 온라인수업의 바람직한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2022년 1학기 G대학에서 미적분학I 수업을 수강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실험반 117명과 비교반 707명에 대한 대면수업 및 온라인수업 그리고 교수 방법의 혼합을 통한 블렌디드러닝을 실시하고 학업성취도와 학습자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온라인수업만으로 한 학기를 진행했을 때보다 중간고사 이전에는 온라인수업을 진행하고, 이후에는 대면수업으로 운영하는 블랜디드 수업방식을 수행하였을 때 학업성취도가 하향되는 결과를 얻게 되었다. 미리 준비되지 않은 단순한 외적 수업형태의 블렌디드러닝은 비효과적이었으나 온라인수업으로만 이루어진 수업형태에서 동영상 및 실시간 수업의 혼합 모형은 긍정적인 학습자 인식을 보여주었다. 테크놀로지를 혼합하여 실시한 교수전략 또한 긍정적인 결과로 나타났다.

발달장애 아동·청소년 대상 실시간 비대면 음악치료에서의 보호자 역할에 대한 인식 조사 (Parents' Perceptions on Their Experiences and Roles in a Synchronous Videoconferencing Music Therapy Intervention for Thei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류진선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20권1호
    • /
    • pp.99-115
    • /
    • 2023
  • COVID-19 팬데믹 이후 비대면 음악치료에 대한 논의가 지속되고 있는 시점에 비대면 치료 시 보호자의 참여 및 역할의 중요성을 고려해 본 연구에서는 발달장애 아동·청소년에 제공되고 있는 실시간 비대면 음악치료에서 보호자가 어떠한 경험을 했고, 자신의 역할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2-18세의 발달장애 아동·청소년(이하 아동) 자녀를 둔 보호자 32명을 대상으로 비대면 음악치료 경험과 이에 대한 인식 등의 68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조사를 온라인으로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한 기술통계를 실시하였고, 비대면 음악치료에서 보호자가 수행한 역할에 대한 만족도, 비대면 음악치료에서 경험한 심리적 부담감, 향후 비대면 음악치료 참여 의사 수준 간 상관관계를 Pearson's correlation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발달장애 아동 보호자들은 비대면 음악치료와 관련된 많은 정보를 가지고 있고, 비대면 음악치료의 혜택에 대해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신이 참여적 보조 및 중재적 보조 역할을 수행한 것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비대면 음악치료에서 가진 심리적 부담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비대면과 대면 음악치료의 이점을 다르게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의 실시간 비대면 음악치료가 장애아동과 장애아동의 가족에게 의미하는 바에 대한 구체적인 자료를 제시할 수 있었으며, 이는 보호자들에게 보다 구체적이고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방향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