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rvey on the Disabled

검색결과 393건 처리시간 0.024초

장애인 복지시설의 급식 및 영양관리실태 (Foodservice Management in Institutions for the Disabled in Korea)

  • 김연수;김기남;장남수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87-193
    • /
    • 2001
  • The residents of institutional settings for the disabled people are likely to be a potentially nutritional at-risk groups.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nutrition and foodservice management in institutions for the disabled using a survey questionnaire. The majority (85%) of the institutions was using a simple pre-set menu that consists of rice, soup or stew, kimchi, and two other side dishes. Some twelve percent of the institutions served only one side dish. The residents were consuming a diet of a low diversity with insufficient amounts of micronutrient rich foods. As a protein source, legumes and soybean curds, and eggs were served 90% and 94% of the time, while beef, pork or poultry, a better iron source, was served less than 2-3 times per month. Fruits were most infrequently served food items in these facilities with 38% of the facilities serving fruits only 2-3 times per month. With regard to the nutrition and health care management, the physical examination on the residents was conducted annually in 88.8%, routine hemoglobin measurement peformed in 66%, and nutrition education was conducted in 10.9% of the surveyed facilities. The foodservice and nutrition management manual will help ensure a safe and better quality foodservice for the disabled people, which is necessary for the improvement of health and nutrition of these people.

  • PDF

장애인의 언어장애 유무에 따른 사회인구학적 특성, 수단적 일상생활, 필요한 보건의료서비스의 차이 (Differences betwee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Healthcare Needs in Disabled Persons with and without Language)

  • 강소라;문종훈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37-45
    • /
    • 2019
  • Purpos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ADL), and healthcare needs among disabled persons with and without language disorder. Methods : Using raw data from the National Survey of the Disabled Person (2017), this study compared 6,320 disabled persons without language disorder and 229 disabled person with language disorder among 6,549 persons with disabilities. The dependent variables include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IADL, and healthcare needs. Results : People with language disorder were younger (p<.001), illiterate (p<.001), and had higher family income (p=.003) than people without language disorder. In addition, people with language disorder had a higher disability grade than people without language disorder (p<.001), and the percentages of brain injury, hearing impairment, and intellectual disability were higher among type of disability (p<.001). People with language disorder showed significantly higher dependence on all items of IADL than people without language disorder (p<.001). As the first-ranked healthcare need, people without language disorder had the highest percentage of "chronic illness management," and people with language disorder had the highest percentage of "disability management" (p<.001). Conclusion : The findings of the current investigation suggest that health care services are needed to improve IADL in people with language disorder and that the development of a disability management program for people with language disorder is required.

[논문표절]지적장애인의 자기결정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가족기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Retracted]The Effect of Self-determination on Quality of Life by the Intellectual Disability Person- Focusing on the effect of controlling family functions -)

  • 최장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448-465
    • /
    • 2020
  • 본 연구는 성인초기 지적장애인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가족기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지적장애인의 자기 결정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성인초기 지적장애인으로, 지적 장애진단을 받은 만 18세에서 만 25세인 지적장애인으로 정하고, 지역사회에서 생활하고 있는 장애인을 선정하였으며, 설문 진행의 어려움을 감안하여 성인초기 지적장애인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는 주요 복지기관을 선정하여 편의표집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적장애인의 "자기결정(자율성, 심리적 역량, 자아실현)"은 "삶의 질(신체적 안녕, 물리적 안녕, 사회적 안녕, 생산적 활동 및 발달, 심리·정서적 안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적장애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성별, 종교유무, 근로여부)"에 따라 "자기결정(자율성, 심리적 역량, 자아실현)"의 차이는 발생하지 않았다. 셋째, 지적장애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성별, 종교유무, 근로여부)"에 따른 "삶의 질(신체적 안녕, 물리적 안녕, 사회적 안녕, 생산적 활동 및 발달, 심리·정서적 안녕)"은 차이가 발생하였다. 넷째, 지적 장애인의 "자기결정"과 "삶의 질"의 관계에서 가족기능의 조절효과가 발생하였다. 본 연구는 성인초기 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당사자의 관점에서 바라본 자기결정과 가족기능, 삶의 질에 대한 관계를 검증함으로써 장애인복지 실천현장에서 이들에게 제공되어야 하는 서비스 실천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장애노인의 특성과 장애로 인한 추가소요 의료비 지출간의 관련성 연구 (A Study of the Relations between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and Extra Health Care Costs Caused by Disability)

  • 이종화;정현식;황홍구;김성우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09-220
    • /
    • 2014
  • This study found a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and extra health care monthly costs caused by disability and suggests methods for effectively managing health care spending of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2011 Survey on the Disabled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dicate that the relations between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and extra health care monthly costs caused by disability of the elderly are influenced by factors such as gender, age, members of the household, average monthly income and type of health insurance. Elderly people with disabilities spend too much for their medical care. To solve this problem, the government needs to find a variety of policy approaches to improve administrative procedure, establish a medical delivery system and enhance health care services.

학령전기 장애 아동 부모와 비장애 아동 부모의 놀이 인식과 놀이 참여 비교 연구 (Comparison of Play Perception and Play Participation of Parents of Disabled Children and Non-disabled Children in Preschool Age)

  • 박다솔;이은영;이선희;박혜연
    • 재활치료과학
    • /
    • 제9권1호
    • /
    • pp.69-78
    • /
    • 2020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학령기 전 장애아동과 비장애아동 부모들에게 자녀의 놀이에 관한 포괄적인 설문을 시행하여 놀이 인식을 알아보고 각 부모에게 실질적으로 필요한 놀이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 :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제작된 설문지를 설문요청에 동의한 대상자 700명에게 발송하였다. 미회수 및 불성실한 설문을 제외하고 총 596부의 설문지가 분석되었으며 이 중 106부가 장애아동 부모의 설문지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Window 23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빈도분석과 독립표본 T 검정이 시행되었다. 결과 : 장애 아동 부모는 비장애 아동 부모에 비해 자녀와의 놀이를 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자녀와의 놀이에 대한 즐거움 인식은 장애 아동과 비장애 아동 부모 간에 큰 점수 차이를 보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p=0.053). 자녀와의 놀이 참여시간은 장애아동과 비장애 아동 모두 부 보다 모와의 참여시간이 많았다. 모의 경우 장애아동의 모가 놀이참여 시간이 더 많았고, 부의 경우 비장애 아동의 부가 더 많았다. 장애아동과 비장애 아동 부모 모두 장난감을 사주는 빈도는 '보통' 정도가 가장 많았으며 두 집단 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장애아동과 비장애 아동 부모 모두 놀이 정보를 습득하기 위해 인터넷을 주로 이용하였으며, 놀잇감을 살 때 고려사항은 흥미 유발, 발달수준, 안전 순이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학령전기 장애 아동과 비장애 아동 부모의 놀이 인식 및 참여 실태를 비교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토대로 부모들이 놀이 시 실질적으로 필요한 부분을 알 수 있고, 추후 아동을 대상으로 한 놀이 연구의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종사자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The Study on the Factors of the Job Satisfaction among Workers of Independent Living Support Centers for the Disabled)

  • 김자영;최윤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336-349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종사자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인구학적 요인, 조직요인, 직무요인, 심리정서적 요인을 중심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장애인자립생활센터 108개소의 236명의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서베이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센터 종사자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인구학적 요인 중에서 건강상태가, 직무요인에 해당하는 업무적합도 그리고 심리정서적 요인 중에서 자기효능감이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종사자의 직무만족도에 각각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들을 토대로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종사자의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과 제언을 제시하였다.

일부 특수학교 교사의 구강보건교육 유무에 따른 구강건강관리 조사 (Survey on the Oral Health Care according to the Oral Health Education Experience of the Special School Teachers)

  • 유자혜;이민영;김정희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81-93
    • /
    • 2014
  •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find status of the oral health care, the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utilization and the oral health guidance according to the experience status of oral health education of special school teachers.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133 teachers at special schools in Seoul, Gyeonggi, Chungbuk and Jeonbuk regions. Results: 32.8% of the male and 67.2% of the female teachers have the oral health education experience. Barriers for the dental treatment to teachers with the education experience show in the order as 'disabled children's noncooperation' 49.2%, 'economic reasons' 37.7% and 'medical institution's rejection' 6.6% and, to teachers without the education experience, 'disabled children's noncooperation' 45.8%, 'economic reasons' 19.4% and 'not emergency situation' 13.9%(p<0.01). Regarding the necessity of arranged institution to manage the oral health, 91.8% of teachers with the oral health education answer as 'necessary'(p<0.05). Regarding the barriers on the performance of oral health program 27.9%, the majority of teachers with the education experience answer as 'insufficient administrative & financial support' and 36.1%, the majority of teachers without the education experience answer as 'insufficient understanding and expertise on the oral health education'. 86.9% of the teachers with the education experience and 62.5% of the teachers without the education experience are found to 'guide students on the oral health'(p<0.01). Conclusions: It was considered that various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s positively influential to the oral health care and education for disabled children should be developed according to the status of oral health education experience of special school teachers.

  • PDF

서울 소재 고등학교의 장애인편의시설 적용 현황분석 연구 - 설립시기 및 특수학급 유무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pplication Status of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at High Schools in Seoul - Focusing on the Timing of Establishment and the Presence of Special Classes -)

  • 이규일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21권1호
    • /
    • pp.1-10
    • /
    • 2022
  • 기존 고등학교 공간 내의 무장애환경이 어느 정도의 수준으로 조성되어 있는지에 관해 파악하기 위해 본 연구는 서울시에 위치한 고등학교 177개소를 대상으로 장애인편의시설 적용 수준을 평가하여 이를 바탕으로 고등학교의 물리적 환경 개선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2장에서 학교의 세부적인 시설관련 기준인 장애인 등 편의법과 장애인차별금지법의 기준과 선행연구를 고찰한 후, 3장에서는 장애인 등 편의법 규정을 토대로 고등학교 환경의 현장 실태조사를 실시하여 장애인 편의시설의 전반적인 적용수준과 장애인등 편의법 시행 전후 시기별 및 특수학급의 유무별로 적용수준을 평가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장애인 가구의 소득과 소비지출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사회·경제적 지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The Effect of Income and Expenditure of Households on Disabled Households' Life Satisfaction - Focus on Mediating effect of socio-economic status -)

  • 이수용;송창근
    • 재활복지
    • /
    • 제21권2호
    • /
    • pp.139-167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 가구의 소득과 소비지출 수준에 따라 생활만족도 간 어떠한 영향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 이들의 영향관계에서 사회 경제적 지위가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장애인고용패널 8차 자료를 활용 하였으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구소득은 엥겔계수와 슈바베지수에 부적(-)영향, 사회 경제적 지위와 생활만족도에는 정적(+)영향을 주었다. 또한, 엥겔계수는 사회 경제적 지위에는 부적(-)영향, 생활만족도에는 정적(+)영향을 주었고, 슈바베지수는 사회 경제적 지위에 부적(-)영향을 주었지만, 생활만족도에는 영향을 주지 못했으며 사회경제적지위는 생활만족도에 정적(+)영향을 주었다. 한편, 사회 경제적 지위는 가구소득과 생활만족도, 엥겔계수와 생활만족도 간 경로에서는 부분매개를, 슈바베지수와 생활만족도 간 경로에서는 완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장애인의 생활만족도에 있어 주관적 계층의식을 나타내는 사회 경제적 지위의 역할과 중요성 그리고 소득보장을 위한 경제활동의 필요성을 강조하였으며 이를 위해 필요한 정책적 방향을 논의하였다.

중증장애인의 온라인 서비스 이용에 대한 디지털 정보격차의 영향: 온라인 접근성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Digital Divide on the Use of Online Services in the Severely Disabled People: Focusing on Online Accessibility)

  • 장창기;성욱준
    • 정보화정책
    • /
    • 제27권3호
    • /
    • pp.56-81
    • /
    • 2020
  • 본 연구는 중증장애인을 대상으로 온라인 서비스 이용에서 동기적 요인과 기술적 역량의 영향을 실증적으로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디지털 정보격차의 영향 이외에도 중증장애인이 가지고 있는 신체적 및 정신적 부자유에 따른 영향을 모두 고려하여 온라인 활동에 조력이 필요한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을 구분하고 집단간 조절 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데이터는 한국정보화진흥원의 2018년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데이터를 이용하였다. 연구방법은 인터넷 이용에 대한 연속적 접근 모형을 적용한 경로분석과 다집단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장애인의 경우에도 동기적 요인이 기기 운용과 인터넷 이용을 위한 기술적 역량에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기술적 접근 역량이 온라인 서비스 이용에 연속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장애인의 온라인 서비스 이용에는 동기적 요인이나 기기에 대한 단순한 운용기술보다 인터넷 이용을 위한 전략적 기술 역량의 효과가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애인 집단 내에서도 인터넷 이용에 조력이 필요한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온라인 서비스 이용에 더 소극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물리적 접근에 대한 역량 강화와 더불어 인터넷 이용을 위한 책임과 위험에 대한 보호 능력을 강화하는 전략적 기술 역량의 지원 필요성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