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upercritical Methanol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362초

초임계 유체에서 L-Lactide의 Scale-up 중합 (Scale-up Polymerization of L -Lactide in Supercritical Fluid)

  • ;김세윤;최동훈;김수현
    • 폴리머
    • /
    • 제35권4호
    • /
    • pp.284-288
    • /
    • 2011
  • 초임계 유체에서 poly(L-Lactide) (PLLA)의 산업화 생산 공정 개발을 위한 예비 연구로 1-dodecano/stannous 2-ethyl-hexanoate(DoOH/Sn(Oct)$_2$)를 개시제로 하여 chlorodifluoromethane 초임계 용매 하에서 락티드의 개환 중합을 실시하였다. 중합은 3 L 반응기를 사용하였으며 중합시간, 온도, 압력 및 단량체와 초임계 용액 농도에 따른 중합거동을 관찰하였다. 중합시간이 5시간 경과할 경우 얻어진 중합체의 반응 수율 및 분자량은 각각 72%, 68000 g/mol이었다. 단량체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중합체의 수율 및 분자량은 증가하였으며 최대 각각 97%, 144000 g/mol이 얻어졌다. 반응기의 압력이 130에서 240 bar로 증가할 경우 PLLA의 수율 및 분자량이 증가하였다. 얻어진 중합체의 열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메탄올 처리 및 진공 처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두 가지 방법 모두 PLLA의 열안정성을 향상시켰다.

초임계유체 추출에 의한 초피나무 과피 중 신미성분의 추출조건 (The extraction condition of pungent compounds from Zanthoxylum piperitum D.C pericarps by using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 이창주;김명석;신경우;김용두;심재한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9-23
    • /
    • 2003
  • 초임계추출(SFE)를 이용한 초피나무 과피 중 신미성분의 최적추출조건을 조사하였다. 최적 추출 압력은 $300kg/cm^2$ 이었으며 온도는 $60^{\circ}C$, 추출 부피는 $12\;m{\ell}$, flow rate는 3m/min 그리고 modifier로 사용한 methanol의 함량비율은 20%였다. 추출시간은 초반 20분 안에 대부분의 신미성분이 추출되었다. 또한 용매추출법과 비교한 결과 추출효능이 약 40%정도 향상되었고 시간은 20분으로 단축되었으며 유기용매 methanol은 12 ml밖에 소요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주요한 추출용매로 무독성 액화$CO_2$를 사용하기에 독성 유기용매의 다량 사용을 피할 수 있는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인 방법으로 생각되어 진다.

초임계 이산화탄소와 에탄올 보조용매를 이용한 포도씨로부터의 페놀성 화합물의 추출 (Extraction of Phenolic Compounds from grape Seed Using Supercritical $CO_2$ and Ethanol as a Co-solvent)

  • 이원영;장규섭;최용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77-183
    • /
    • 2000
  • A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was performed for the extraction of phenolics from grape seeds which up to now have been discarded. The optimum condition for extraction process was predicted through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using central composit experimental design. The extraction amount of grape seed phenolics was increased by increasing extraction temperature, pressure, and concentration of co-solvent (ethanol). The optimum extraction conditions were 84.83$^{\circ}$C, 51.50MPa and 1.27% ethanol. The yield of phenolics using SFE was higher with 3 folds than ethanol and 4 folds than hexane but less than 80% methanol. In the respects of food poisoning, the approved solvents were restricted to ethanol and hexane. So, SFE for extraction of phenolics could be powerful alternative method for solvent extraction.

  • PDF

Enhancement in the Textural Properties and Hydrophobicity of Tetraethoxysilane-based Silica Aerogels by Phenyl Surface Modification

  • Dhavale, Rushikesh P.;Parale, Vinayak G.;Kim, Taehee;Choi, Haryeong;Kim, Younghun;Lee, Kyu-Yeon;Jung, Hae-Noo-Ree;Park, Hyung-Ho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7-32
    • /
    • 2020
  • Robust and hydrophobic tetraethoxysilane (TEOS) based silica aerogel was synthesized by supercritical alcohol drying with surface modification using the phenyl based silica co-precursor (PTMS). The aerogels were synthesized by hydrolysis and polycondensation reaction in which TEOS and PTMS in methanol were reacted together in presence of oxalic acid and ammonium hydroxide as the catalysts. Supercritical alcohol dried PTMS/TEOS composite silica aerogel were examined for the hydrophobicity, chemical interaction, surface morphology, and textural characteristics. The hydrophobic silica-based aerogels were characterized by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to investigate the presence of functional groups and chemical bonds. The prepared silica demonstrates hydrophobicity (76°-149°), a high specific surface area (398 ㎡/g to 739 ㎡/g). The present investigation provides a simple approach to synthesize hydrophobic and thermally stable silica aerogels.

초임계유체 $CO_2$ 및 Co-solvent 첨가에 따른 금은화(Lonicera fles)의 Flavonoid류 추출특성 (Extraction Characteristics of Flavonoids from Lonicera flos by Supercritical Fluid Carbon Dioxide ($SF-CO_2$) with Co-solvent)

  • 서상철;조성길;홍주헌;최용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83-188
    • /
    • 2005
  • 순수 methanol을 cd-solvent로 첨가하였을 때 소량의 수율을 얻을 수 있었던 반면 methanol에 물을 첨가하여 수용액을 조제한 후 각각 첨가하였을 때 co-solvent의 극성도 증가에 비례하여 수율이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60% methanol을 첨가하였을 때 수율이 가장 높았으며 순수 methanol 첨가구와 비교하여 luteolin이 5.9배, quercetin이 4.1배, apigenin이 7.8배 가량 증가하였다. Co-solvent에 citric acid를 농도별로 첨가한 결과 첨가량 1%까지는 추출수율이 농도 비례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어 대조구에 비해 대략 luteolin이 14.64mg/100g, quercetin이 10.17mg/100g, apigenin이 2.4mg/100g의 유의적인 증가율을 보였으나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소량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산을 첨가한 모든 조건에서 대조구보다 높은 수율을 얻을 수 있었다. 추출수율이 가장 우수하였던 citric acid가 1% 첨가된 60% aqueous methanol을 co-solvent로 초임계상태에 첨가하였을 때 공정압력이 100bar에서 200ber로 증가함에 따라 추출수율이 비례적으로 증가하였으나 250bar 이상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온도에 따라서는 $40^{\circ}C$에서 $50^{\circ}C$까지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다 이상의 온도에서는 오히려 감소하였다. 추출 시간의 증가와 더불어 추출 수율은 유의적으로 증가하다가 60분일 때 최대값을 보였으며 90분 이상의 추출시간에서는 추출수율이 거의 일정해졌다. $CO_{2}$ 대비 cosolvent를 15(0.3mL/min)% 첨가하였을 때 최대 추출수율을 보였으며 25% 이상의 첨가구에서는 첨가량은 증가하였으나 수율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감마선 조사 및 저온저장($10^{\circ}C$)은 김밥재료 뿐만 아니라 김밥의 미생물 제어에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와 비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FA-swelling mica의 중금속 이온의 선택성은 Pb>Cu>Cd$\geq$Zn 순으로 나타났다.지 않았다.l years and a new type of transfer crane has been developed. Design concepts and control methods of a new crane will be introduced in this paper.and momentum balance was applied to the fluid field of bundle. while the movement of′ individual material was taken into account. The constitutive model relating the surface force and the deformation of bundle was introduced by considering a representative prodedure that stands for the bundle movement. Then a fundamental equations system could be simplified considering a steady state of the process. On the basis of the simplified model, the simulation was performed and the results could be confirmed by the experiments under various conditions.뢰, 결속 등 다차원의 개념에 대한 심도 깊은 연구와 최근 제기되고 있는 이론의 확대도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신뢰와 결속에 영향을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Nannochloropsis sp. 미세조류로부터 바이오디젤 생산용 지질의 추출 (Lipid Extraction from Nannochloropsis sp. Microalgae for Biodiesel Production Using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 최경석;류재훈;박동준;오세천;곽현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3권2호
    • /
    • pp.205-21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미세조류인 Nannochloropsis sp.로부터 바이오디젤 생산용 지질을 얻기 위하여 유기용매 및 초임계 이산화탄소(SC-$CO_2$)를 이용하여 추출을 수행하였다. SC-$CO_2$ 추출법으로 얻은 지질의 지방산메틸에스테르 함량은 58.31%로 높았으며, Bligh-Dyer 추출법은 18.0 wt.%의 가장 높은 조지방 수율을 나타내었다. SC-$CO_2$ 추출법에 극성을 높이기 위해 공용매로서 methanol을 사용한 결과, 조지방 수율 12.5 wt.%, 지방산메틸에스테르 함량 56.32%, 지방산메틸에스테르 수율 7.04 wt.%였으며, SC-$CO_2$ 만을 이용하는 추출 방법에 비하여 추출 시간을 2시간에서 30분으로 단축시킬 수 있었다. 따라서 미세조류에서 지질을 추출하는데 기존의 유기용매 추출법과 비교하여 SC-$CO_2$ 추출법이 친환경적이며, 효율적인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만 우렁쉥이 껍질로부터 ${\beta}$-carotene 추출 (Extraction of ${\beta}$-carotene from Ascidian Tunic [Halocynthia roretzi] using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and Co-solvent)

  • 강인숙;윤현석;박지연;전병수
    • KSBB Journal
    • /
    • 제21권3호
    • /
    • pp.194-198
    • /
    • 2006
  • 본 연구는 초임계 이산화탄소와 에탄올 보조용매를 사용하여 천연물질에 존재하는 기능성 물질을 효율적으로 분리하여 식품 및 의약산업에 이용할 수 있는 천연 기능성 소재를 제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초임계 이산화탄소와 보조용매 에탄올 3 mL/min를 사용하여 멍게로부터 ${\beta}$-carotene을 추출하기 위한 최적의 조건은 $35^{\circ}C$, 350 bar이었으며, 추출물질을 흡착하는 흡착칼럼으로부터 ${\beta}$-carotene을 회수하기 위한 rinse 용매는 methanol이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사용한 멍게 껍질로부터 ${\beta}$-carotene 추출 공정이 상업화될 경우 기존의 재래식 유기용매 추출법에서 회수한 것에 비해 잔존 유기용매가 없고 환경 친화적 공정으로 식품, 의악품 산업 등의 고품질 원료 소재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우슬 중 ${\beta}-Ecdysone$의 초임계추출법(SFE)과 용매추출법의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the Solvent Extraction and Supercritical Fluid Extration Method of ${\beta}-Ecdysone$ in Achyranthis radix)

  • 김미라;김명석;심재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4권3호
    • /
    • pp.197-201
    • /
    • 2001
  • 우슬(Achyranthis radix)중 ${\beta}-ecdysone$의 초임계추출법과 용매추출법의 비교를 위해 초임계유체추출(SFE) 및 용매추출 후 초임계유체크로마토그래피(SFC)에 의한 우슬 중 ${\beta}-ecdysone$ 분석을 실시하였다. SFE에 있어서 추출 최적압력은 300 atm이었으며, 온도는 $80^{\circ}C$, 추출량은 100 ml, 보조제인 methanol 함량비율은 20%였다. 우슬에서 ${\beta}-ecdysone$의 분석시 SFC의 최소검출량은 5 ng이었고, SFE의 회수율은 줄기에서는 $90.7{\sim}93.5%$였으며, 뿌리에서는 $77.8{\sim}81.9%$였다. 용매추출의 회수율은 줄기에서는 $76.4{\sim}93.0%$였고 뿌리에서는 $80.6{\sim}93.1%$였다. 우슬의 생육기별 조사에서 ${\beta}-ecdysone$은 주로 뿌리에서 많이 검출되었고 1년생이면서 8월에 수확한 것이 654.9 ppm으로 가장 많이 함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웨이퍼의 건식 식각에서 알콜 첨가제의 효과 (Effect of Alcohols on the Dry Etching of Sacrificial SiO2 in Supercritical CO2)

  • 김도훈;장명재;임권택
    • 청정기술
    • /
    • 제18권3호
    • /
    • pp.280-286
    • /
    • 2012
  •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희생 $SiO_2$층에 대한 건식 식각 실험을 진행하였다. HF/pyridine (HF/py) 식각액과 알콜 첨가제를 사용하여 이중 챔버 시스템 방식으로 boron phosphor silica glass (BPSG), tetraethyl orthosilicate (TEOS), thermal $SiO_2$와 Si-nitride (SiN)의 박막 층에 대한 식각 성능을 조사하였다. 메탄올의 첨가에 의하여 실리카 희생막에 대한 HF/py의 식각률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BPSG를 제외하고는 메탄올이 가장 높은 식각률을 보여줬지만, BPSG의 SiN에 대한 식각 선택비는 이소프로판올이 가장 높았다. HF/py/MeOH 계의 건식 식각반응에서 반응 온도에 따라서 박막별 식각률이 증가하였다. 특히 반응 온도 증가에 따라 BPSG의 식각 속도의 증가폭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HF/py에 알콜 공용매를 첨가하여도 식각 부산물 감소에는 크게 효과가 없었다. HF/$H_2O$의 식각률이 HF/py/alcohol 보다 높게 나타났지만 HF/$H_2O$에 알콜 공용매를 첨가하였을 때는 오히려 식각률이 감소되었다. 캔틸레버 빔 구조를 초임계 이산화탄소 건식 식각으로 제조하여 높은 종횡비의 패턴구조물을 손상 없이 성공적으로 식각할 수 있었다.

메탄올 용매를 이용한 이산화탄소와 황화수소 포집공정의 열역학적 해석 및 전산모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hermodynamic Analysis and the Computer Simulation for the $CO_2$ and $H_{2}S$ Capture Process Using Methanol as a Solvent)

  • 조정호;이지환
    • 청정기술
    • /
    • 제14권4호
    • /
    • pp.287-292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연소 배 가스 중에 포함되어 있는 이산화탄소와 황화수소 성분을 메탄올 용매로 포집하는 공정에 대해서 전산모사를 수행하였다. 메탄올 용매에 대한 이산화탄소와 황화수소의 용해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흡수탑의 압력은 30 bar로 운전되도록 하였으며, 용매의 공급온도는 프로필렌을 냉매로 사용하여 $-20^{\circ}C$로 하였다. 이산화탄소와 황화수소의 포집공정의 전산모사를 위한 열역학 모델식으로는 NRTL 액체 활동도계수 모델식과 Soave-Redlich-Kwong 상태방정식을 사용하였으며, 기체 성분들의 메탄올 용매에 대한 용해도 추산을 위해서 Henry의 법칙을 사용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