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mjin River

검색결과 82건 처리시간 0.021초

광주.전남지역의 주요 특산식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Major Local Foods in Gwangju.Jeonam Area)

  • 김정옥;최차란;신말식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327-339
    • /
    • 2006
  •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음식문화 주요 식품 재료의 종류를 확인하기 위하여 각 시군의 특산물을 농산물, 수산물, 축산물, 기타로 구분하여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현재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의 특산물 중 농산물 51종, 수산물 50종, 축산물 6종, 기타 특산물 17종으로 총 124종 선정되어 있었다. 이 지역의 특산물 중에서 쌀, 오이, 배, 멸치, 굴, 김, 느타리버섯, 표고버섯 등은 여러 지역에서 특산물로 선정되어 있었다. 무등산수박, 무화과, 연어, 숭어, 메기 등의 특산물은 이들의 생산에 적합한 지리적 조건을 가진 지역에서만 생산되고 있었다. 농산물 중 밤호박, 파프리카, 키위, 벨론 등은 최근에 이 지역에서 재배하기 시작하였다. 수산물, 버섯류, 산채류는 자연산은 감소하는 반면 양식이나 인공재배가 증가하고 있었으며, 농산물과 축산물의 브랜드화도 급속히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이 지역의 음식문화와 관련된 식재료의 수급과 선택 가능성에 영향을 주는 특산물의 종류와 생산량이 환경오염과 국토개발 등 자연환경의 변화, 소비자의 기호변화, 건강에 대한 관심의 증가, 재배기술의 발달, 수산양식의 발달, 새로운 품종의 도입 등 여러가지 요인에 의하여 변화되고 있었다. 즉, 이 지역에서 식재료로 이용될 수 있는 다양한 농수산물이 생산되고 있으며, 음식문화가 계속 변화되어 가고 있음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섬진강.영산강 수계 주요 호소의 식물플랑크톤 크기구조 및 일차생산력 (Size-structure and Primary Productivity of Phytoplankton from Major Lakes in Sumjin and Yeongsan Watershed)

  • 이향화;신용식;양성렬;장남익;김동호
    • 생태와환경
    • /
    • 제40권3호
    • /
    • pp.419-430
    • /
    • 2007
  • 본 연구는 주암호, 동복호, 영산호 세 호소의 이화학적 인자, 식물플랑크톤 생체량(Chl ${\alpha}$) 및 일차생산력을 조사하기 위하여 2004년 4월부터 2006년 3월까지 총 8회에 걸쳐 계절별로 실시하였다. 소형식물플랑크톤이 우점(>60%)한 동복호의 식물플랑크톤 생체량은 상류에서 2004년 4월에 높았지만 하류에서는 2004년 6월에 높은 분포를 나타내었다. 주암호에서 식물플랑크톤 생체량이 높았던 2004련 4월에 미소형식물플랑크톤의 기여율이 높았다. 영산호는 8월 (2004, 2005)에 높은 생체량을 보였는데 이 시기 미소형식물플랑크톤의 기여율이 높았다. 일차생산력은 동복호, 영산호, 주암호 순으로 높게 분포되었다. 단순 회귀 분석결과, 동복호에서 젠체식물플랑크톤, 소형식물플랑크톤과 일차생산력은 투명도와 상관성을 보였다. 주암호에서는 하류에서 크기별 식물플랑크톤과 $PO_4^{3-}$가 상관성을 보였고 일차생산력은 수온, TN과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영산호 상, 하류에서 식물플랑크톤은 TN/TP와 음의 상관성을 보였고 일차생산력은 상류에서 높은 상관성을 보였으나 하류에서는 탁도와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주암호와 동복호는 기타 환경 인자와의 단순회귀분석결과로부터 인과 질소 관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영산호는 부유물질을 관리할 필요성이 있고 하류의 높은 일차생산력으로 보아 식물플랑크톤의 내부생산 기여율에 대한 추가적인 조사를 통한 저감방안 마련도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HEC-HMS 모형에 의한 장기유출량과 EFDC 모형을 이용한 호소 내 수질특성 분석 (Analysis of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Using Simulated Long-Term Runoff by HEC-HMS Model and EFDC Model)

  • 김연수;김수전;김형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707-720
    • /
    • 2011
  • 호소의 경우, 장기간 수류의 체류현상이 발생하는데, 특히, 수심방향의 수층에 따른 호소 내 수류와 수질 문제는 하천에서의 수질 문제와 다르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호소 수체 내의 수류와 수질을 시간에 따라 모의할 수 있는 3차원 비정상 상태의 수질모형을 적용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할 수 있다. 3차원 모형은 댐이나 호소에서 수심방향으로 수층을 구분하여 수질모의가 가능하고 보다 신뢰성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3차원 모형인 EFDC를 이용하여 섬진강 댐의 운암호에 대한 수질 모의를 실시하였다. GIS기반의 강우-유출 모형인 HEC-GeoHMS와 HEC-HMS를 이용하여 장기유출량을 산정하고, 관측된 수위, 기상, 수온, 총 질소, 총 인에 대하여 입력 자료를 구축하였으며, EFDC 모형 적용을 위해 수심을 3개의 층으로 구분하고 5,634개의 격자를 추출하여 격자망을 구성한 후 운암호 내의 수질 변화를 시공간적으로 모의하였다. 장기유출 모의 결과 전체적으로 실제 유출량을 잘 반영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질 모의를 통해 오염원 인자들에 따른 거동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모의 수질은 관측 수질을 적절히 반영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EFDC는 적절한 수질모의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상수원의 취수 및 관리 대책 수립 등을 위한 지원을 기초도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댐 수차 발전기 소음의 전달특성과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raveling Characteristics and Evaluation about Noise of Hydraulic Turbine Dynamo in Dam)

  • 윤재현;국정훈;김재수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0권7호
    • /
    • pp.705-711
    • /
    • 2008
  • 국내의 경우 1965년 섬진강댐을 시초로 홍수조절 수력발전 관개 상수 공업용수 공급 등의 역할을 하는 14개의 다목적댐을 건설하였다. 이러한 다목적댐의 경우 물의 낙차와 양에 의한 위치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전환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산하게 된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수차 발전기에 연결된 터빈의 회전시 고소음을 발생시켜 사람들에게 신체적, 정신적 악영향과 효율적인 업무능률의 저하를 초래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16개의 다양한 측정점을 선정하여 대청댐의 수차 발전기에서 발생하는 소음의 전달특성을 측정 분석하였으며, PSIL, NC 등의 평가지수로 실내소음의 정도를 평가해 보았다. 소음평가 결과 대청댐의 경우 여러 공간에서 소음의 피해 정도는 매우 심각하게 나타나 방음대책이 절실히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자료는 향후 수차 발전소의 효율적인 소음 저감대책과 쾌적한 업무 환경 수립을 위한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섬진강 유역 일 지역의 간흡충 관리 효과 (Clonorchis Sinensis Control Intervention at a Sumjin Riverside Area)

  • 박명도;신준호;손석준;박종;김석일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4권1호
    • /
    • pp.135-142
    • /
    • 2009
  • 섬진강 유역 일개 군지역에서 1999년부터 2005년까지 간흡충 관리사업 결과 간흡충 감염률과 감염관련요인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체계적 확률표본추출한 8개 마을주민 699명 중 416명에 대해 간흡충 충란검사를 위해 대변검사와 관련요인들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1999년의 선행 연구와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간흡충 감염률은 1999년의 19.0%에서 2005년 11.3%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P(Z)=0.000). 2. 간흡충 감염과 관련된 요인별 감염률은 남자와, 44세 이상자, 강변지역 거주자, 음주자 및 흡연자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그 결과로써 1999년에 성별, 연령별, 지역별, 생식습관, 음주여부와 같은 요인에 따라 감염률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2005년에는 그러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 이전 간흡충 검사여부와 검사결과, 치료후 재섭취 여부에 관계없이 감염률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4. 간흡충에 대한 인식 항목에서 간흡충증을 ‘잘안다’거나 ‘들어본적 있음’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건강행위 실천여부에 에서는 안 한다고 하는 군에서 감염률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간흡충 감염률은 5년 전에 비해 크게 감소하였다. 그 원인으로서는 지속적인 보건사업과 민물고기 생식률이 감소하고, 민물고기의 수나 종류가 감소하는 등 환경적인 변화가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아직도 전국평균에 비하면 많이 높아서 간흡충 관리사업을 더욱 강화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지속적인 간흡층관리사업의 결과, 감염 관련 요인으로 파악되었던 성별, 연령, 지역, 생식습관, 음주여부와 상관 없이 감염률이 감소되는 것으로 밝혀져 이와 같은 특성에 관계없이 전체 주민을 대상으로 간흡충 관리 사업이 확대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섬진강유역(蟾津江流域) 곡성지역(谷城地域) 간흡충(肝吸蟲) 감염실태(感染實態) 및 관련요인(關聯要因) (The Prevalence of Clonorchis sinensis and Its Related Factors at Goksung Area in the Basin of Sumjin River)

  • 황민홍;김석일;박종;류소연;이철갑;안현옥;김양옥;김기순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2권2호
    • /
    • pp.239-252
    • /
    • 1997
  • A questionnaire survey including stool examination for the parasite ova, skin test, and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of the liver fluke to find the factors related with the prevalence of the parasite infestation was done toward 118 residents living in three villages of Song-jung, Yi-jung, and Chim-gok of Okok-myun, Goksung County, South Cholla Provin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The prevalence of Clonorchis sinensis ova by the stool examination was 46.6%.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skin test to egg-positive cases were 63.5% and 68.9%.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ELISA to egg-positive clonorchiasis were 100% and 34.9%. 2. The prevalence of Clonchiasis was higher in male than in female. 45~64 year old group was the highest among age groups, and the longer the duration of living in the present residence was, the higher the prevalence was shown statistically significantly (p<0.01). 3. The present drinker had higher prevalence of Clonorchiasis significantly than the past drinker or non-drinker, and the more the frequency of drinking the higher the prevalence was shown significantly (p<0.05). 4. Those who took raw fish had significantly higher than persons who didn't take it or take cooked fish(p<0.05) and prevalence showed the tendency to be increased as the frequency to take raw fishes increased significantly(p<0.05). 5. Those who had taken a raw sweet fish(Plecoglossus altivelis) or snake-headed fish(Ophicephalus argu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revalence of infection with liver fluke than persons who didn't take the raw fish. 6. While 56.4% of persons infected with Clonorchiasis answered that they were healthy, only 13.0% of the subjects were careful for their health, and 41.8% experienced tests to diagnose liver flukes before they were examined by this survey. 7. While 56.4% of infected persons thought the prevalence was high in their community, 54.0% were afraid to be infected, 47.1% thought the infection might destroy their health, 25.5% took treatment drugs, and 18.2% took raw fish continuously after treatment. The above results confirmed that Goksung area was highly prevalent in Clonorchiasis, so it was necessary to push effective preventive program against liver fluke infection together with the program to diagnose and treat existing infected persons.

  • PDF

수자원에 대한 기후변화 영향평가를 위한 고해상도 시나리오 생산(II): 유역별 유출시나리오 구축 (Generation of High Resolution Scenarios for Climate Change Impacts on Water Resources (II): Runoff Scenarios on Each Sub-basins)

  • 정일원;배덕효;임은순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0권3호
    • /
    • pp.205-214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IPCC SRES A2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지역 스케일의 기후변화가 수자원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할 수 있는 유출시나리오를 생산하는 것이다. 장기유출분석을 위해 PRMS 모형을 선정하였다. 유역별 PRMS 모형의 매개변수를 결정하기 위해 6개 댐유역에서 매개변수를 보정하고 지역화방법을 이용하여 미계측유역으로 전이하였다. 3개 댐유역을 미계측유역으로 가정하고 지역화방법으로 전이된 매개변수를 이용하여 모의능력을 분석하였다. 관측치와 모의치의 통계치를 분석한 결과 지역화방법을 통한 미계측유역의 유출분석은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생산된 시나리오의 신뢰성을 분석하기 위해 4개의 상류댐지점의 관측치와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기후시나리오 생산을 위한 기상관측소의 선정이 유역별 기후시나리오의 신뢰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출시나리오를 이용하여 기준기간 30년($1971{\sim}2001$년)과 미래 90년($2001{\sim}2030$년, $2031{\sim}2060$년, $2061{\sim}2090$년)에 대해 수자원의 변동성을 분석한 결과 연평균유출량은 기준기간에 비해 대체적으로 한강유역에서는 증가하고, 나머지 유역에서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염분 구배가 Cochlodinium polykrikoides Margalef의 수직이동 및 DNA/RNA 비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alinity-stratified Waters on Upward Migration and Ratio of Extracted DNA/RNA in Cochlodinium polykrikoides Margalef Based on the Ratio of Absorbance at 260 and 280nm)

  • 조은섭;이영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468-473
    • /
    • 2005
  • 여수연안은 어류 치사성 유해적조생물인 C. polykrikoides 적조가 매년 발생되는 해역일 뿐만 아니라 섬진강으로부터 담수유입이 돌산을 중심으로 많은 영향을 받고 있다. 담수유입에 따른 염분도 변화가 C. polykrikoides의 수직이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지를 조사했다. 실험장치는 60l들이 아크릴 수조에 일반해수와 담수와 해수를 혼합시킨 시험구를 설정하여 C.polykrikoides의 수직부상 속도와 DNA/RNA함량 비교를 하였다. 실험은 5일 동안 시행했다. 실험개시로부터 종료시까지 시험구의 경우 상층부위에서는 염분이 20으로 나타난 반면에, 하층은 30 정도로 유지되었다. 그러나 용존산소와 pH 변화는 시험구와 대조구 모두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또한 chlorophyll a도 수조의 하층보다 상층에 높은 수치를 보였다. 24시간동안 C. polykrikoides 상$\cdot$하층 이동을 조사한 결과 점등이 되는 순간 시험구는 대조구에 비하여 월등히 높은 상승을 보였으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그 차이는 적었다. 소등이 되는 동안은 점등에 비하여 상$\cdot$하층 현저한 차이를 볼 수 없고 대부분 균일하게 분포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실험 종료시나 24시간 주 $\cdot$야간 수직이동 시 대조구에 비하여 시험구에 분포하고 있는 C. polykrikoides의 DNA 및 RNA 변화폭이 높았다 이 실험을 통하여 담수유입은 C. polykrikoides 세포에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특히 신속한 수직상승으로 인하여 여기에 대한 C. polykrikoides의 모니터링이 절실히 요구되는 바이다.

옥정호의 연직 수온분포에 관한 시변화 모델 연구 (A Time Variable Modeling Study of Vertical Temperature Profiles in the Okjung Lake)

  • 박옥란;박석순
    • 생태와환경
    • /
    • 제35권2호통권98호
    • /
    • pp.79-91
    • /
    • 2002
  • 섬진강 상류에 위치한 옥정호의 연직 수온 분포 계절 변화에 대한 시변화 모델 연구를 수행하였다. 미공병단에서 개발한 CE-QUAL-W2모델 구조에 기초하여 호수를 3개의 지류, 50개의 상하류 구획 그리고 49개의 수층으로 구성하였으며 일년동안의 연직 수온 및 유속 분 포를 시뮬레이션하였다. 호수내 5개 지점에서 매월 측정된 연직 수온 분포 자료를 이용하여 보정하고 검증하였다. 또한, 시뮬레이션한 연중 수위 자료 변화를 관측된 자료와 비교하여 호수내 물수지를 확인하였다. 모델 예측값은 실측값과 적절한 일치를 보였으나 7월 관측 자료에서 다소 차이를 보였다. 이것은 우리나라에서 여름 장마동안 급격한 수리 현상 변화를 모델이 표현할 수없는 점과 이 기간동안 사용된 기온자료의 정확성이 부족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모델 결과는 옥정호대부분 수역에서 연중 $4^{\circ}C$ 이상을 유지하여 계절에 따른 전도현상이 없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상류 얕은 수역 (수심 20미터 이내)에서는 수온이 $4^{\circ}C$ 이하로 떨어지며 겨울에 물이 얼어 흔합이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로부터 옥정호는 빈혼합 호수라는 결론을 얻었다. 이러한 결론은 위도 $20^{\circ}C$ 부터 $40^{\circ}C$ 사이에 위치한 호수는 일회혼합이라는 일반적 경향과는 크게 다르다. 시뮬레이션한 유속 분포를 검토한 결과 여름 장마기간동안 상류에서 유입되는 물은 수온에 의한 밀도 차이로 인하여 호수 중층으로 유입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지리산 지역의 생물종 분포모형 구축 및 종풍부도 평가 (Development of Species Distribution Models and Evaluation of Species Richness in Jirisan region)

  • 권혁수;서창완;박종화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1-18
    • /
    • 2012
  • 생물다양성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늘어남에 따라 생물다양성 평가, 보호지역 지정, 서식지 관리 및 복원 등 생물자원에 대한 공간적 평가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야생동물의 서식지에 대한 평가를 위하여 자료의 수집 및 모형화의 기법 연구와 생물종풍부도를 작성하는데 목적이 있다. 종분포모형을 위해 사용된 GAM (Generalized Additive Model)으로 기존의 중첩 분석이나 GLM (Generalized Linear Model)에 비해 환경변수와 반응변수의 관계가 명확하고 이에 따른 해석이 용이하다. 본 연구대상지로는 국립공원, 경관생태보호구역, 수달보호구역으로 지정된 지리산, 백운산, 섬진강을 포함하고 있는 유역을 선정하였다. 대상유역의 토지피복에 따라 층화추출을 통하여 야생동물(포유류와 조류)의 출현/비출현 형태의 현장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야생동물의 서식에 영향을 미치는 자연, 사회 경제적 자료를 구축하였다. 각 종에 대한 서식지이용분석과 주요서식인자를 확인한 후, 출현/비출현 모형을 통해 서식지적합성모형을 개발하고, 개별 종에 대한 서식지적합성지도 작성하였다. 서식지 적합성지도를 산술 합산하여 분류군별(포유류, 조류) 종풍부도, 통합종풍부도를 작성하였다. 개별 종 서식지의 주요인자는 서식지선택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고라니나 박새와 같은 몇몇 종들은 저지대에 분포하나, 대부분의 포유류나 조류의 잠재서식지는 국립공원 경계구역이나 중산간지역에 많이 분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환경부에서 수행하는 생물다양성의 평가, 보호지역의 지정 등의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