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lonorchis Sinensis Control Intervention at a Sumjin Riverside Area

섬진강 유역 일 지역의 간흡충 관리 효과

  • Park, Myung-Do (Gokseong-Gun Health Center County Hospital) ;
  • Shin, Jun-Ho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 Sohn, Seok-Joon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 Park, Jong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Chosun University) ;
  • Kim, Suk-Il (Department of Parasitology, College of Medicine, Chosun University)
  • 박명도 (곡성군 보건의료원) ;
  • 신준호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손석준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박종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김석일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prevalence and its related factors of the Clonorchis sinensis(C.S.) in the inhabitants at Goksung-Gun along Sum-Jin river after C.S. control intervention. Methods: The subjects were 416 among 699 in the 8 same villages selected by stratified cluster sampling in 1999. The formalin-esther sedimentaion technic was used for the C.S. egg detection and the questionnare for the related factors. The study was carried on from February, 2005 to March, 2005. Results: The prevalence of C.S. decreased significantly from 19.0% in 1999 to 11.3% in 2005. The signicicant factors in 1999 such as sex, age, area, raw fish eating habit and drink habit were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On the other hand factors such as the awareness of C.S. and the health behavior were changed significantly(p=0.034, p=0.021).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C.S. prevalence became lower than previous study five years ago. But its control intervention should be extened to the general population regardless of sex, age, area, raw fish eating habits, drink habit and we need to make an effort to improve the awareness and the health behavior of C.S..

섬진강 유역 일개 군지역에서 1999년부터 2005년까지 간흡충 관리사업 결과 간흡충 감염률과 감염관련요인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체계적 확률표본추출한 8개 마을주민 699명 중 416명에 대해 간흡충 충란검사를 위해 대변검사와 관련요인들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1999년의 선행 연구와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간흡충 감염률은 1999년의 19.0%에서 2005년 11.3%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P(Z)=0.000). 2. 간흡충 감염과 관련된 요인별 감염률은 남자와, 44세 이상자, 강변지역 거주자, 음주자 및 흡연자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그 결과로써 1999년에 성별, 연령별, 지역별, 생식습관, 음주여부와 같은 요인에 따라 감염률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2005년에는 그러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 이전 간흡충 검사여부와 검사결과, 치료후 재섭취 여부에 관계없이 감염률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4. 간흡충에 대한 인식 항목에서 간흡충증을 ‘잘안다’거나 ‘들어본적 있음’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건강행위 실천여부에 에서는 안 한다고 하는 군에서 감염률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간흡충 감염률은 5년 전에 비해 크게 감소하였다. 그 원인으로서는 지속적인 보건사업과 민물고기 생식률이 감소하고, 민물고기의 수나 종류가 감소하는 등 환경적인 변화가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아직도 전국평균에 비하면 많이 높아서 간흡충 관리사업을 더욱 강화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지속적인 간흡층관리사업의 결과, 감염 관련 요인으로 파악되었던 성별, 연령, 지역, 생식습관, 음주여부와 상관 없이 감염률이 감소되는 것으로 밝혀져 이와 같은 특성에 관계없이 전체 주민을 대상으로 간흡충 관리 사업이 확대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서병설. 최신임상기생충학. 일조각, 1979
  2. 김용일. 간흡충과 원발성간암과 상관관계. 서울의대잡지 1974;247-253
  3. 보건복지부, 한국건강관리협회. 제 6 차 한국 장내 기생충 감염 현황. 1997
  4. 채종일. 보건복지부. 건강관리협회 제7차 한국 장내기생충 감염현황. 2004
  5. 황민홍. 섬진강유역인 곡성지역의 간흡충 감염실태 및 관련요인. 1996
  6. 박종. 전라남도 곡성지역의 간흡충 감염과 관련요인. 한국농촌의학회지 2000;2:441-449
  7. 김석일, 윤우상. 섬진강 유역 곡성군, 순창군지역 주민의 간흡충증 관리. 한국농촌의학회지 2004;29(1):163-175
  8. 곡성군 간흡충증관리 실태보고. 곡성군 내부자료, 2004
  9. 질병관리본부. 고위험지역 주요 기생충 감염율 현황. 2006
  10. 질병관리본부. 제7차 전국 장내 기생충 실태조사. 2005
  11. 김성호, 윤창호, 주현수. 섬진강 수계의 곡성군 어류상. Korean J Environ. 2002;20(2):152-157

Cited by

  1. Heterophyid trematodes recovered from people residing along the Boseong River, South Korea vol.148, 2015, https://doi.org/10.1016/j.actatropica.2015.04.025
  2. Prevalence and Related Factors of Clonorchiasis among Five Major Riverside Residents in South Korea vol.27, pp.4, 2016, https://doi.org/10.12799/jkachn.2016.27.4.346
  3.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Clonorchiasis among Residents of Riverside Areas in Muju-gun, Jeollabuk-do, Korea vol.52, pp.4, 2014, https://doi.org/10.3347/kjp.2014.52.4.391
  4.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Clonorchiasis among the Populations Served by Primary Healthcare Posts along Five Major Rivers in South Korea vol.4, pp.1, 2013, https://doi.org/10.1016/j.phrp.2012.12.002
  5. Control of clonorchiasis in Korea: effectiveness of health education for community leaders and individuals in an endemic area vol.19, pp.9, 2014, https://doi.org/10.1111/tmi.123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