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Major Local Foods in Gwangju.Jeonam Area

광주.전남지역의 주요 특산식품에 대한 연구

  • Kim, Jeong-Ok (Dept. of Food and Nutrition, HCRC,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Choi, Cha-Ran (Dept. of Food and Nutrition, HCRC,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Shin, Mal-Shick (Dept. of Food and Nutrition, Biofood Research Center,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김정옥 (전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및 호남문화연구소) ;
  • 최차란 (전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및 호남문화연구소) ;
  • 신말식 (전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및 바이오 식품 연구센터)
  • Published : 2006.04.30

Abstract

We have investigated the distribution of major local foods cultivated in Gwangju City and Jeollanam-Do in order to understand the food culture of Honam region. The local foods were divided into 4 classes: agricultural, aquatic, animal and other products. 124 species of local foods, including 51 agricultural products, 50 aquatic products, 6 animal products and 17 others, were identified from this region. In Jeollanam-Do area, the agricultural products have a variety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quatic products have fishes. In particular, rice, cucumber, pear, anchovy, oyster, laver, oyster mushroom, shiitake mushroom, and honey were determined as major local foods in Jeollanam-Do area. Note that Mudeungsan watermelon is cultivated in Gwangju, and sweet smelt and cat fish caught only in Sumjin river and Tamjin river area. In recent years, pumpkin (Cucurbita maxima Duchesne), paprika, kiwi and melon were determined as major local foods in Jeollanam-Do. Furthermore, branding strategy of agricultural and animal products can be said to improve. Wild types of aquatic productions, mushrooms and wild edible greens have been decreasing, whereas cultivated production increasing. The kinds of special local foods in Gwangju City and Jeollanamdo area were influenced by geographical, religious and social factors.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음식문화 주요 식품 재료의 종류를 확인하기 위하여 각 시군의 특산물을 농산물, 수산물, 축산물, 기타로 구분하여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현재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의 특산물 중 농산물 51종, 수산물 50종, 축산물 6종, 기타 특산물 17종으로 총 124종 선정되어 있었다. 이 지역의 특산물 중에서 쌀, 오이, 배, 멸치, 굴, 김, 느타리버섯, 표고버섯 등은 여러 지역에서 특산물로 선정되어 있었다. 무등산수박, 무화과, 연어, 숭어, 메기 등의 특산물은 이들의 생산에 적합한 지리적 조건을 가진 지역에서만 생산되고 있었다. 농산물 중 밤호박, 파프리카, 키위, 벨론 등은 최근에 이 지역에서 재배하기 시작하였다. 수산물, 버섯류, 산채류는 자연산은 감소하는 반면 양식이나 인공재배가 증가하고 있었으며, 농산물과 축산물의 브랜드화도 급속히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이 지역의 음식문화와 관련된 식재료의 수급과 선택 가능성에 영향을 주는 특산물의 종류와 생산량이 환경오염과 국토개발 등 자연환경의 변화, 소비자의 기호변화, 건강에 대한 관심의 증가, 재배기술의 발달, 수산양식의 발달, 새로운 품종의 도입 등 여러가지 요인에 의하여 변화되고 있었다. 즉, 이 지역에서 식재료로 이용될 수 있는 다양한 농수산물이 생산되고 있으며, 음식문화가 계속 변화되어 가고 있음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