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icide ideation

검색결과 363건 처리시간 0.028초

한국 노인이 겪는 우울감 및 자살사고에 대한 질적 연구 분석 (Analysis of Qualitative Research About Depressed Mood and Suicidal Ideation of Korean Seniors)

  • 곽희용;서효원;정선용;김종우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99-109
    • /
    • 2018
  • Objectives: To analyze the reports of qualitative research about depressed mood and suicidal ideation of Korean Seniors. Methods: Eleven published qualitative research studies were selected for analysis. We extracted common topics and factors of each stage, Selected factors were paralleled and synthesized to make a flow chart of the phenomena. Results: Depressed mood arousals of Korean seniors are categorized by causation factors, which include economic, psychosomatic, and social factors, and positive-negative coping strategies, which include cognitive-behavioral factors. Suicidal experiences are categorized as ideation, suicidal attempt, and after-suicide stage. In the latter, participants reported three types of lifestyles by their enthusiasm for 'being alive'. Conclusions: Through the qualitative synthesis of research, we could analyze and categorize major factors and coping strategies of participants who exhibited a depressed mood or suicidal ideation.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 2012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를 바탕으로- (The Analysis of Risk Factors Influencing Adolescent Suicidal Ideation in a Multicultural Family - Based on the 2012 Korean Youth Health Risk Behavior On-line Survey -)

  • 박근영;최유리;김보라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55-165
    • /
    • 2013
  •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significance of adolescent suicidal ideation in a multicultural family, propose suicidal prevention strategies, and provide considerable foundations supporting their secured future. The research results are in the follow. For the results of main factors of relative influence on the suicidal ideation, the relative dangerousness levels were 5.5 times more likely to experience with drugs, 4.5 times more likely to have depressive symptoms, 3.2 times more likely to experience violence at school, and 2.8 times more likely to experience drinking alcohol, 1.4 times more likely to feel unhappiness and 1.3 times more likely to be bad off in economic status, all of which contribute to suicidal ideation. All results turned out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fore, the findings and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appropriate and practical prevention strategies to address the suicidal behavior of adolescents in a multicultural family need to be carefully considered and designed in a most urgent manner.

코로나19이후 사회 경제적 변화와 청소년 정신건강의 연관성 (The Association Between Socioeconomic Changes and Adolescent Mental Health After COVID-19 Pandemic)

  • 김희주;김민혁;민성호;이진희
    • 정신신체의학
    • /
    • 제30권1호
    • /
    • pp.16-21
    • /
    • 2022
  •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청소년들의 코로나19이후 사회경제적 변화에 따른 우울 증상과 자살 사고를 조사하는 것이다. 방 법 이 연구는 제 16차 청소년건강행태조사 자료를 사용하였다. 청소년건강행태조사는 건강 위험 행동 15개 영역에서 103개 이상의 질문을 포함하는 한국 청소년(12-18세)의 대표 통계이다. 제 16차 청소년건강행태조사는 793개 학교, 총 54,948명의 학생들이 질문에 응답했다. 설문조사는 한국 청소년의 정신 건강과 관련된 코로나19이후 사회경제적 변화에 관한 것이다. 사회 경제적 변화에 따른 우울 증상과 자살 사고에 대해 교차분석과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결 과 코로나19이후 가정 경제의 변화가 청소년의 정신 건강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했다. 가정의 경제 변화가 나빠졌다고 보고한 청소년은 자살 사고와 우울 증상에 높은 연관성이 있다는 것을 보여줬다. 가정 경제의 변화가 나빠졌다고 보고하는 청소년(AOR 1.38, 95% CI 1.38-1.57)과 더 나빠졌다고 보고하는 청소년(AOR 2.07, 95% CI 1.87-2.29)은 우울 증상과 높은 연관성이 있었다. 가정 경제의 변화가 나빠졌다고 응답한 청소년(AOR 1.34; 95% CI 1.34-1.60)과 더 나빠졌다고 응답한 청소년(AOR 2.01; 95% CI 1.76-2.29)은 자살 사고와 높은 연관성이 있었다. 결 론 이번 연구에서 사회 경제적으로 취약한 계층의 청소년이 코로나19와 관련된 사회 경제적 변화와 자살 사고 및 우울 증상의 연관성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코로나19이후 사회 경제적 변화가 좋지 않는 청소년의 정신건강 문제 선별 및 개입을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성인의 연령계층별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Suicidal Ideation by Age Group in Adults)

  • 정은숙;심문숙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326-336
    • /
    • 2016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help with the development of an intervention program in efforts to prevent suicidal ideation and suicide. The study also sought to generate strategies for improving health conditions by ascertaining and analyzing potential factors that may influence suicidal ideation according to age group in adults. Methods: Data o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suicidal ideation from 447 adults aged between 20 and 59 years, living in Y city, Gyeonggi Province, South Korea, were collected based on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20.0 statistics program.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48.6% of young and older adults have experienced suicidal ideation while 44.5% of middle-aged adults have had suicidal thoughts. With regard to suicidal ideation, young and older adults revealed relevant differences in terms of gender, residential type, degree of stress and subjective physical and mental health, while middle-aged adults revealed relevant differences in terms of marital status and degree of stress. With regard to factors that influence suicidal ideation, it was found that the relevant variables of young and older adults included gender, residential type, depression, degree of stress, and subjective physical and mental health, while for middle-aged adults, relevant variables included marital status and degree of stress. Conclus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as stress and depression decreases, subjective physical and mental health improve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that developing and operating an intervention program can help prevent suicidal ideation in local residents.

일지역주민의 정신건강, 자기효능감, 행복감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ental Health, Self-efficacy, and Happiness on Suicidal Ideation)

  • 이경숙;이경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677-685
    • /
    • 2017
  • 본 연구는 일지역주민의 정신건강, 자기효능감, 행복감, 자살생각의 정도의 정도를 파악하고 각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며 정신건강, 자기효능감, 행복감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자는 U광역시 9개동 주민 467명이었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15년 5월 1일부터 2015년 8월 31일까지였다. 대상자의 정신건강은 평균 $89.25{\pm}19.94$점이었고, 자기효능감은 $73.11{\pm}11.54$, 행복감은 $49.48{\pm}13.29$, 자살생각은 $29.07{\pm}10.51$로 나타났다. 정신건강과 자기효능감은 부적 상관관계, 정신건강과 자살사고는 정적 상관관계, 자기효능감과 행복감은 정적 상관관계, 자기효능감과 자살사고는 부적상관관계, 행복감과 자살사고는 부적상관관계가 있었다. 지역주민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미치는 주된 영향요인은 정신건강, 행복감, 결혼 상태였으며 43.3%의 설명력이 있었다. 따라서 지역주민의 자살생각을 낮추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본 연구결과가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우울, 불안, 사회적지지가 노인 파킨슨병 환자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Depression, Anxiety and Social Support on Suicidal Ideation in Elderly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 박현주;손혜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516-526
    • /
    • 2018
  • 본 연구는 자살생각에 위험요인인 우울, 불안과 자살생각의 보호요인인 사회적지지를 중심으로 노인 파킨슨병 환자의 자살관련요인을 규명함으로써 노인 파킨슨병 환자의 자살예방 및 관리에 대한 간호중재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 되었다. 자료수집기간은 2017년 11월부터 12월까지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9.0 program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t-test, ANOVA, $Scheff{\acute{e}}$ test, 상관관계,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는 B시에 소재하는 2개 종합병원 외래에 등록된 노인 파킨슨병 환자 120명을 대상으로 우울, 불안, 사회적지지, 자살생각 정도를 확인하고,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여 최종 노인 파킨슨병 환자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우울(${\beta}=.58$, t=7.77, p<.001)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전체 설명력은 54%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인 파킨슨병 환자를 대상으로 자살생각을 예방하고 질병치료과정에 잘 적응하기 위한 포괄적인 중재전략이 필요하다.

사이버불링 피해 경험이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학교생활 만족도 조절효과와 관련하여 - (Study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Cyberbullying Victimization and Suicidal Ideation of Adolescents -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 of School Life Satisfaction -)

  • 김정유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477-485
    • /
    • 2020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사이버불링 피해 경험과 자살 생각과의 영향관계에서 학교생활 만족도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7 아동·청소년 인권실태 조사」 자료 중 중·고등학생 1,244명의 자료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자는 SPSS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T-test와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사이버불링 피해 경험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높았으며, 자살 생각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사이버불링 피해 경험과 학교생활만족도는 약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학교생활만족도와 자살생각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사이버불링 피해 경험과 자살생각은 약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사이버불링 피해 경험과 자살생각과의 관계에서 학교생활만족도가 조절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사이버불링 피해 경험 청소년을 위한 자살예방사업에 대한 시사점과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또한 본 연구가 청소년 자살예방에 근거로 사용되길 바란다.

한국 성인의 사회경제적 박탈과 자살생각의 연관성: 주관적 건강상태 및 성별 간 차이 (Association between Socioeconomic Deprivation and Suicidal Ideation in Korean Adults: Differences by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Gender)

  • 김경미;남진영;정승원;이건희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59-67
    • /
    • 2024
  • 연구배경: 최근 우리나라의 자살문제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심각하다. 본 연구는 한국 성인의 자살생각과 관련된 요인을 확인하고 사회경제적 박탈과의 연관성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제17차 한국복지패널(2022) 원자료를 사용하였고, 모든 질문에 응답한 20세 이상 성인 10,065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자료분석은 SAS ver. 9.4 프로그램(SAS Institute Inc., USA)을 사용하였다. 사회경제적 박탈과 자살생각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관적 건강상태와 성별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층화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사회경제적 박탈이 1단위 증가할 때마다 자살생각은 1.5배 증가하였다(odds ratio [OR], 1.48; 95% confidence interval [CI], 1.37-1.61).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은 사람은 사회경제적 박탈이 증가한 각 단위별로 자살생각이 1.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OR, 1.30; 95% CI, 1.12-1.52),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지 않은 사람은 1.6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OR, 1.58; 95% CI, 1.43-1.75). 결론: 사회경제적 박탈이 증가할수록 자살생각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우리나라 성인의 자살률을 낮추기 위해서는 보다 다차원적인 박탈감 수준과 주관적 건강상태를 개선할 수 있는 정책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자살의 생물학적 기전 (Biological Mechanism of Suicide)

  • 천은진
    • 생물치료정신의학
    • /
    • 제24권3호
    • /
    • pp.129-141
    • /
    • 2018
  • Suicide is a behavior that is intended to cause death by itself and requires medical treatment, resulting in suicidal attempt or completion. Suicide causes loss of life, damages the body, costs a lot of medical expenses, and causes families to fall into sorrow and suffering therefore this suicide is a huge loss to family and society. There have been attempts to reduce and prevent suicide by understanding the mechanism of suicide. The mechanism of suicide can be thought of as psychological mechanism and biological mechanism. In the past, if we considered the psychological and biological mechanisms separately, the development of neuroscience now connects and integrates these two. Psychological factors affect biological factors and biological temperaments also affect perception or thinking about the situation and increase psychological vulnerability. Distant factors in suicidal behavior-such as childhood adversity and family and genetic predisposition-increase the lifetime risk of suicide. They alter the response to stress and other processes through changes in gene expression and regulation of emotional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Distant factors affect the biological system and consequently changes in these systems can increase the risk of suicide. In other words, the distal factor does not directly induce suicidal behavior but rather acts indirectly through developmental or mediating factors. These mediating factors are impulsive aggressive and anxious trait, and chronic use of substances. The mechanism of this disorder is the abnormality of the serotonin system and the abnormality of the lipid level. Proximal factors are associated with the onset of suicide events and include changes in the major neurotransmitter systems, inflammatory changes, and dysfunction of glial cells in the brain. A series of studies, including a variety of research methods and postmortem and in-vivo imaging studies, show the impairment of the serotonergic neurotransmitter system and hypothalamic-pituitary-adrenal axis stress response system for suicidal behavior. These disorders lead to suicidal behavior due to difficulty in cognitive control of mood, pessimism, reactive aggression, abnormality in problem solving abilities, excessive response to negative social signals, severe emotional distress, and cognitive dysregulation of suicidal ideation.

Suicide and Non-Suicidal Self-Injury From Internet Addiction Among Korean Adolescents

  • Honey Kim;Min Jhon;Ju-Wan Kim;Hee-Ju Kang;Seunghyong Ryu;Seon-Young Kim;Sung-Wan Kim;Jae-Min Kim;Il-Seon Shin;Ju-Yeon Lee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34권3호
    • /
    • pp.152-158
    • /
    • 2023
  •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associations between Internet addiction and suicide and non-suicidal self-injury (NSSI) among South Korean adolescents. Methods: We conducted a cross-sectional study of 1694 Korean adolescents. The suicidal Ideation Questionnaire and Deliberate Self-Harm Inventories were used to identify high-risk suicide and NSSI groups, respectively. Internet addiction was assessed using the Internet Addiction Scale. Other questionnaires included sociodemographic data, perceived academic stress, and daily life-related factors. We also performed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high suicide risk and NSSI groups as dependent variables. Results: The high suicide risk and NSSI prevalence rates among participants were 11.8% and 28.3%, respectively. A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Internet addiction is associated with higher suicide risk and NSSI. Additionally, being female and academic stress were significant suicide risk factors, while male participants had a higher NSSI prevalence.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 that monitoring adolescents' Internet use and providing education to prevent Internet addiction would lower high suicide and NSSI risk. Moreover, suicide and NSSI risk screening in adolescents with Internet addiction and providing suitable interventions will be essential for the preventing suicide and NSS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