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사이버불링 피해 경험이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학교생활 만족도 조절효과와 관련하여 -

Study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Cyberbullying Victimization and Suicidal Ideation of Adolescents -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 of School Life Satisfaction -

  • 김정유 (숭실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Kim, Jung-Yoo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Soongsil University)
  • 투고 : 2020.11.16
  • 심사 : 2020.12.29
  • 발행 : 2020.12.31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의 사이버불링 피해 경험과 자살 생각과의 영향관계에서 학교생활 만족도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7 아동·청소년 인권실태 조사」 자료 중 중·고등학생 1,244명의 자료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자는 SPSS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T-test와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사이버불링 피해 경험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높았으며, 자살 생각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사이버불링 피해 경험과 학교생활만족도는 약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학교생활만족도와 자살생각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사이버불링 피해 경험과 자살생각은 약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사이버불링 피해 경험과 자살생각과의 관계에서 학교생활만족도가 조절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사이버불링 피해 경험 청소년을 위한 자살예방사업에 대한 시사점과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또한 본 연구가 청소년 자살예방에 근거로 사용되길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school life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yberbullying victimization and suicidal ideation of adolescents. In this study, 1244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data from the 2017 Children's and Youth Human Rights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were used. The researcher used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IBM SPSS statistics 20.0 for Windows.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yberbullying victimization experience was higher in boys than girls, and suicidal ideation were more likely in girls than boys. Second, the cyberbullying victimization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had a weak negative correlation,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suicidal ideation had a negative correlation. And suicidal ideation had a weak positive correlation. Third, this study found that school life satisfaction have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yberbullying victimization and suicidal ide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implications of suicide prevention programs for adolescents who have experienced cyberbullying victims and plans to activate them were proposed. This study is hoped to be used as a basis for the prevention of suicide in adolescents.

키워드

참고문헌

  1. 행정안전부(2020). 주민등록인구통계.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2020). 무선통신가입자현황.
  3. 최유진, 홍승희(2012). 사이버블링에 관한 미국의 법제 분석. 비교법제 연구12-20-7, 한국법제연구원.
  4. 조희정(2012). 사이버불링(Cyberbullying)의 현황과 과제. 한국인터넷자율정책기구(KISO) 저널 제9호, 이용자섹션.
  5. 교육부(2019). 2019년 1차 학교폭력실태조사 결과발표. 보도자료.
  6. 유지희, 엄명용(2020). 청소년의 사이버불링 피해경험 정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교적응의 매개효과-성별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 69(1): 111-141.
  7. 송예름, 김영희(2018). 청소년이 지각하는 부모의 과보호와 사이버불링과의 관계에서 관계적 공격성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16): 527-554.
  8. 배은숙, 김미정(2015). 청소년의 스트레스, 우울, 자아존중감 및 사이버 괴롭힘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대한보건연구, 41(4): 37-49. https://doi.org/10.22900/KPHR.2015.41.4.004
  9. 오태곤(2013). 중학생의 사이버불링 피해 경험과 정서행동과의 관계.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18(12): 207-215. https://doi.org/10.9708/JKSCI.2013.18.12.207
  10. 통계청(2020). 사망원인통계 연간보고서.
  11. 과학기술정보통신부(2014). 2014년 인터넷이용실태조사.
  12. 김윤화(2019). 어린이와 청소년의 휴대폰 보유와 이용행태 분석. 정보통신정책연구원 통계보고서, 19(18): 1-7.
  13. 문종훈, 전민재, 송이슬(2019). 스마트폰 과사용이 청소년의 건강과 학업에 미치는 영향: 2017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3(2): 177-186.
  14. 박재산, 문재우(2010).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보건과 사회과학, 27: 105-132.
  15. 우채영, 김판희(2011). 청소년의 자살생각을 예측하는 변인들 간의 다차원적 구조분석. 청소년학연구, 18(4): 219-240.
  16. 오지희, 김민정(2014). 미디어의 자살보도가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8(4): 167-178.
  17. 오승희(2013). 사이버 불링(Cyber Bullying)에 대한 정책적 대응: 미국과 한국의 사례 및 정책 비교 분석. 한양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서화원, 조윤오(2013). 사이버불링 피해가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미래청소년학회지, 10(4): 111-131.
  19. S. M. Mitchell, P. L. Seegan, J. F. Roush, S. L. Brown, M. A. Sustaita & K. C. Cukrowicz (2016). Retrospective Cyberbullying and Suicide Ideation: The Mediating Roles of Depressive Symptoms, Perceived Burdensomeness, and Thwarted Belongingness.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33(16): 2602-2620. https://doi.org/10.1177/0886260516628291
  20. 조춘범(2015). 청소년의 사이버불링 피해경험과 자살생각과의 관계연구-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17(4): 71-92.
  21. 최정현, 김도연(2019). 여자 청소년의 사이버 불링 피해 경험과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자기 통제력과 부모-자녀 의사소통의 조절효과. 발달지원연구, 8(2): 55-67. https://doi.org/10.22839/ADP.2019.8.2.55
  22. S. Hinduja & J. W. Patchin(2018). Connecting Adolescent Suicide to the Severity of Bullying and Cyberbullying. Journal of School Violence, 18(3): 333-346. https://doi.org/10.1080/15388220.2018.1492417
  23. G. Gini & D. L. Espelage.(2014). Peer Victimization, Cyberbullying, and Suicide Risk in Children and Adolescents.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Network, 312(5): 545-546. https://doi.org/10.1001/jama.2014.3212
  24. B. Iranzo, S. Buelga, M. J. Cava & J. O. Baron(2019). Cyberbullying, Psychosocial Adjustment, and Suicidal Ideation in Adolescence. Psychological Intervention, 8(2): 75-81.
  25. 김순규(2008). 청소년 자살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보호요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29(1): 66-93.
  26. 최은희, 조택희(2016). 부모양육태도와 우울 및 자살생각과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2): 152-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2.152
  27. 고두흔(2008). 부모양육태도와 학교생활적응이 일반 청소년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양수정, 이종은(2020).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과 자살생각에 관한 종단적 관계연구: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를 중심으로. 지역사회간호학회지, 31(1): 86-95. https://doi.org/10.12799/jkachn.2020.31.1.86
  29. A. Y. Lee, B. J. Park & S. Y. Kim(2016). The Effects of Parental Support, Control and School Life Adjustment on Suicidal Ideation of Adolescents: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37(1), 61-71. https://doi.org/10.5723/kjcs.2016.37.1.61
  30. 서인균, 이연실(2017). 청소년기 학교생활적응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중.고등학생 비교연구. 인문사회 21, 8(6): 469-4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