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bject specificity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21초

수자원분야 색인시스템의 검색효율 비교와 질적 분석 (Retrieval Effectiveness of the Two Indexing Systems in the Water Resources : A Qualitative Analysis)

  • 이명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49-67
    • /
    • 1996
  • 수자원 분야의 데이터 베이스를 대상으로 한 실험연구에서 검색효율의 차이는 질문특성의 차이에서 기인한다는 것이 밝혀졌기 때문에 특정성, 복잡성, 최신성의 세 요소를 가지고 질문에 대한 질적 분석이 행해졌다. 그 결과, 특정적인 질문보다 일반적인 질문을 위해서 보다 많은 적합문헌이 주제탐색을 통하여 검색되었으며, 박사학위논문의 연구질문은 특정성을 지닌 질문이었기 때문에 주제탐색보다 인용탐색을 통해 적합문헌이 더욱 많이 검색되었다. 또한 자연과학분야, 공학분야 및 사회과학 분야의 질문에 대한 개별적인 분석이 이루어졌다.

  • PDF

미세증가감수지수검사와 자기청력검사를 이용한 난청 유형의 감별 진단 (Differential Diagnosis on the Types of Hearing Loss using Short Increment Sensitivity Index(SISI) Test and Bekesy Audiometry)

  • 김진동;전계록;왕수건;신범주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22권8호
    • /
    • pp.704-713
    • /
    • 2009
  • As using recruitment phenomenon, SISI test and Bekesy audiometry are employed to differentially diagnose both the cochlear hearing loss and the retrocochlear hearing los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the SISI test within the scope of 1 KHz to 4 KHz in diagnosing various types of hearing losses. In this study, the Bekesy audiometry was conducted for Bekesy audiograms of certain groups according to Jerger's classification, which included persons with normal hearing and patients with hearing impairment. Subject persons of the SISI test were categorized into the several groups with normal hearing, mild hearing loss, moderate hearing loss, moderate-severe hearing loss and severe hearing loss, respectively.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certain groups were evaluated according to the SISI scores of 20 % below, 25 ${\sim}$ 65 %, and more than 70%. Also, the Bekesy audiometry is conducted on the several subject groups with normal hearing, mixed hearing loss, and sensori-neural hearing loss.

Classification of 18F-Florbetaben Amyloid Brain PET Image using PCA-SVM

  • Cho, Kook;Kim, Woong-Gon;Kang, Hyeon;Yang, Gyung-Seung;Kim, Hyun-Woo;Jeong, Ji-Eun;Yoon, Hyun-Jin;Jeong, Young-Jin;Kang, Do-Young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99-106
    • /
    • 2019
  • Amyloid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 allows early and accurate diagnosis in suspected cases of Alzheimer's disease (AD) and contributes to future treatment plans. In the present study, a method of implementing a diagnostic system to distinguish ${\beta}$-Amyloid ($A{\beta}$) positive from $A{\beta}$ negative with objectiveness and accuracy was proposed using a machine learning approach, such as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and Support Vector Machine (SVM). $^{18}F$-Florbetaben (FBB) brain PET images were arranged in control and patients (total n = 176)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AD. An SVM was used to classify the slices of registered PET image using PET template, and a system was created to diagnose patients comprehensively from the output of the trained model. To compare the per-slice classification, the PCA-SVM model observing the whole brain (WB) region showed the highest performance (accuracy 92.38, specificity 92.87, sensitivity 92.87), followed by SVM with gray matter masking (GMM) (accuracy 92.22, specificity 92.13, sensitivity 92.28) for $A{\beta}$ positivity. To compare according to per-subject classification, the PCA-SVM with WB also showed the highest performance (accuracy 89.21, specificity 71.67, sensitivity 98.28), followed by PCA-SVM with GMM (accuracy 85.80, specificity 61.67, sensitivity 98.28) for $A{\beta}$ positivity. When comparing the area under curve (AUC), PCA-SVM with WB was the highest for per-slice classifiers (0.992), and the models except for SVM with WM were highest for the per-subject classifier (1.000). We can classify $^{18}F$-Florbetaben amyloid brain PET image for $A{\beta}$ positivity using PCA-SVM model, with no additional effects on GMM.

수정욕창위험 사정도구의 예측타당도 평가 (Evaluating the Predictive Validity for the New Pressure Sores Risk Assessment Scale)

  • 김시숙;최경숙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83-190
    • /
    • 200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 the skin and pressure sore and To evaluate the predictive validity for the new pressure sores risk assessment scale. Method: There was finally 211 neurosurgery subject admitted in Chung-Ang Univ. Hospital from Nov, 11, 2002 to Feb, 11, 2003. Data was collected three times per week from 48-72hr after admission until incidence of pressure sores or discharge or die. Inclusion criteria were; (1) no pressure sores at admittance, (2) at least 3 times assessment, (3) adults older than 16yrs, (4) patients consent to participate in study. Result: 1. 34 case of 211 developed pressure sores(11.6%). 2. The coccyx area was the most common occurrence site of pressure sores. 3. At the cutoff point 23 of sensitivity 100%, specificity 76.3% was higher in 2003 than specificity 63.8% at the cutoff point 26 of sencitivity 100% in 1991. 4. "Moisture" of subscale for pressure sores risk factor was the strongest predictor.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the New Pressure Sores Risk Assessment Scale still predict the risk of developing pressure sores in neurosurgical subject.

  • PDF

선택편향이 존재할 때, 수정 층화우도비를 이용한 최적절사점의 결정 (Determination of the Optimal Cutoff Point using Adjusted Stratum-Specific Likelihood Ratios when Disease Verification is subject to Verification Bias)

  • 김후남;박용규
    • 응용통계연구
    • /
    • 제20권3호
    • /
    • pp.515-530
    • /
    • 2007
  • 진단검사에서 민감도와 특이도가 선택편향에 영향을 받을 때, 진단검사의 각층에서의 민감도와 1-특이도의 비로 얻어지는 층화우도비도 편의가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편의가 있는 층화우도비로 찾아진 최적절사점도 잘못된 값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Begg과 Greenes (1983)에 의해 제안된 수정 민감도와 특이도를 층화우도비에 적용하여, 선택편향이 수정되는 최적절사점을 찾아보았다. 그리고 선택편향이 최적절사점에 미치는 영향을 선택편향 수정인자를 통해 설명하였다.

민화와 일러스트레이션의 유사성 연구(기능과 역할, 조형특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imilarities between folk painting and illustration(Concentrating on functions and roles, molding specificity))

  • 유동관
    • 디자인학연구
    • /
    • 제15권4호
    • /
    • pp.111-120
    • /
    • 2002
  • 민화는 일반대중의 생활양식을 반영하고, 정서와 감정, 사상등을 다양한 기능과 미의식적 조형특성을 통해 가시적으로 나타낸 실용회화이며, 현대사회의 정보전달을 위한 매체로서 일러스트레이션은 독창적인 이미지를 바탕으로 시각환경을 형성하는 시각 커뮤니케이션으로서 정보화산업사회의 중요한 조형수단이 되고 있다. 민화와 일러스트레이션은 일상생활 주변의 여러 가지 이야기들을 주제로 풍자적이고 해학적으로, 또는 상징적으로 표현하고, 다양향 방법의 색채사용과 형태표현으로 주제를 정확하고 자세하게 전달하며, 그 당시의 사회와 문화, 환경, 그리고 일반대중의 정서와 감정 등을 반영하는 대중예술로서 유사한 특성을 지닌다. 본 연구는 민화와 일러스트레이션을 사회ㆍ문화적 기능과 역할, 조형적 특성을 바탕으로 유사한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일러스트레이션에서 한국적 이미지의 표현가능성 및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국립국회도서관건명표일표"의 한.중 관련 주제명표목에 대한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Subject Headings Related to Korea and China in the NDLSH)

  • 문지현;김정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247-267
    • /
    • 2011
  • 이 연구는 일본의 대표적인 주제명표목표인 NDLSH 2008년판에 수록된 한국과 중국 관련 주제명을 추출하여 표목의 수와 주제별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 관련 주제명은 표목과 참조어를 포함하여 총 222개로, 중국 관련 주제명에 비해 33% 수준이며, 주제의 다양성이나 특정성 측면에서도 많은 한계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현존하지 않는 '조선(朝蘇)'의 국호를 한국의 국가명으로 사용하고 있는 점이나 '발해(渤海)'를 중국의 역사로 배정한 점 등은 조속한 개정이 요구된다. 한편, 중국 관련 주제명에는 다민족국가의 특성을 반영하여 고대민족명, 소수민족의 거주 지역명, 그리고 소수민족의 언어 등 한국에는 거의 나타나지 않는 주제명이 다수 수록되어 있다.

주제색인의 이론과 실제 (Theory and practice of alphabetical subject indexing)

  • 윤구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10권
    • /
    • pp.95-131
    • /
    • 1983
  • Index is a systematic guide to items contained in, or concepts derived from, a collection, Thus, it is represented as a paired set of index terms (t) and documents (D) : I= {(t,D) vertical bar t .mem. V, D .mem. W), where V is index vocabulary and W is document collection. Indexing is the process of analysing the informational content of records of knowledge and expressing the informational content in the language of the indexing system. It involves: 1) Selecting indexable concepts in a document; and 2) expressing these concepts in the language of the indexing system (as index entries): and an ordered list. Indexing process involves technical, semantic and syntactic problems. Technical problems are related to the accuracy of indexing, which is primarily governed by the indexer's ability of analysing subject, identifying indexable concepts, and coding. The proper levels of indexing exhaustivity, and index language specificity are also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index. Semantic problems are related to the choice of index terms and the form in which they should be used. Equivalent, hierarchical and affinitive/associative relationships of index terms are involved. Syntactic problems are largely related to the coordination of index terms. This process of coordination arises from the need to be able to search for the intersection of two or more classes defined by terms denoting distinct concepts. Finally, most valuable aspects of alphabetical subject indexing theories and practices are derived from those of Cutter, Kaiser, Ranganathan, Coates, Lynch and Austin, and discussed in details.

  • PDF

Comparative Analysis of Index Terms and Social Tags: Medical Subject Headings vs. BibSonomy and Delicious

  • Lee, Danielle H.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291-311
    • /
    • 2015
  • This paper demonstrates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imilarity and difference between Medical Subject Headings (MeSH) and social tags. Both types of metadata have the same purpose - that is, succinctly abstracting content of a given document - but are created from heterogeneous viewpoints. The former MeSH terms show the aspects of publication related professionals, whereas the latter social tags are from the perspectives of general readers. When both types of metadata are assigned to the same publications, do they consist of different nomenclatures reflecting the heterogeneous viewpoints or are they similar, since both metadata types describe the same publications? Social tags are also compared with family terms of MeSH terms in the given MeSH hierarchy, so as to understand the specificity of social tags, related to MeSH terms. Lastly, given the fact that readers assign social tags in casual ways without any restricted vocabulary, we tested how many social tags contain consumer health terms, which are familiar to laypeople. Through these comparisons, we ultimately aim to examine how much the highly controlled publication index reflects general readers' cognitive understandings and stress the necessity of general readers' involvement in the publication indexing process.

장소특정성(Site-Specificity)을 중심으로 한 공공캐릭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ublic Characters : focused on Site-Specificity)

  • 류유희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47호
    • /
    • pp.335-356
    • /
    • 2017
  • 국내 캐릭터산업의 발전과 함께 산업적 콘텐츠로써의 캐릭터와 함께 공공캐릭터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 공공캐릭터란 특정 지역, 기관, 단체, 조직, 행사 등의 구성원이 공유하거나 지향하는 상징성을 함축적으로 표현하고 있는 비영리적 캐릭터이다. 특정의 개인이나 단체의 이윤을 목적으로 하는 상업디자인과 구별되며, 디자인의 주체와 객체, 지향하는 가치, 역할 등에 있어 시민의 안녕과 행복과 같은 사회적인 가치를 추구하는 공공디자인의 목적과 부합하는 역할을 부여받았다. 공공캐릭터는 지자체 캐릭터 개발을 중심으로 발전하기 시작했으나, 대부분의 캐릭터가 활용되지 못했다. 그러나 공공캐릭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캐릭터를 활용하여 지역에 대한 고유성과 정체성을 표현하기 위한 수단으로 다시금 환영받고 있다. 본 논문은 공공캐릭터가 가지는 지역에 대한 정체성 표현을 장소특정성(Site-Specificity)에 대입하여 연구해보고자 한다. 장소특정성은 동시대미술에서 장소에 초점을 맞춘 미술, 특정 장소 및 상황에 의해 의미가 생성되는 작품을 의미한다. 현재 공공캐릭터는 주로 한 지역 또는 기관을 대표하는 역할을 맡은 바, 어느 공동체 속에 속해있느냐에 따라 정체성과 그에 따른 가치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지역 속 캐릭터가 공공디자인으로써 어떠한 사회적 의미를 가지는지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