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similarities between folk painting and illustration(Concentrating on functions and roles, molding specificity)

민화와 일러스트레이션의 유사성 연구(기능과 역할, 조형특성을 중심으로)

  • 유동관 (상명대학교 디자인대학 시각디자인)
  • Published : 2002.11.01

Abstract

Folk paintings influence the lifestyle of the general public, and is visible practical communication presenting emotion, feelings and phenomenon through various functions and aesthetic molding specificity. Illustration as a medium for conveying information in modern society is time communication forming time circumstance based on a creative image, becoming an importance in the means of molding an active information society. Folk paintings and illustration express the subject of various kinds of stories of surroundings of daily lives ironically, humorously and symbolically, convey it in an accurate and detailed way in the various use of color and shape representation, and have a similar specificity as the general public's art influencing the society, culture, and environment, the general public's emotion and feelings of that time. The current research is to suggest the possibility and direction of Korean image representation in illustration by analyzing folk painting and illustration characters based on social, cultural function and role and molding specificity.

민화는 일반대중의 생활양식을 반영하고, 정서와 감정, 사상등을 다양한 기능과 미의식적 조형특성을 통해 가시적으로 나타낸 실용회화이며, 현대사회의 정보전달을 위한 매체로서 일러스트레이션은 독창적인 이미지를 바탕으로 시각환경을 형성하는 시각 커뮤니케이션으로서 정보화산업사회의 중요한 조형수단이 되고 있다. 민화와 일러스트레이션은 일상생활 주변의 여러 가지 이야기들을 주제로 풍자적이고 해학적으로, 또는 상징적으로 표현하고, 다양향 방법의 색채사용과 형태표현으로 주제를 정확하고 자세하게 전달하며, 그 당시의 사회와 문화, 환경, 그리고 일반대중의 정서와 감정 등을 반영하는 대중예술로서 유사한 특성을 지닌다. 본 연구는 민화와 일러스트레이션을 사회ㆍ문화적 기능과 역할, 조형적 특성을 바탕으로 유사한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일러스트레이션에서 한국적 이미지의 표현가능성 및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