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qualitatively changes in students' experience and perceptions in relation to studying science using portfolios and any resultant effects on the portfolio itself. Five fourth-grade elementary students from one small city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as well as through student portfolios containing the science content matter of two units over two weeks. Observational diaries recorded by a teacher were also used to test the reliability of data collection. All interviews with students were transcribed to develop a suitable network to categorize students' responses. Students' portfolios were analyzed in order to reveal their essential characteristics in combination with their teacher's observational diari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tudent perceptions of their portfolio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different levels; superficial, extended, and moderate perceptions. The changes in perception could also be divided into three levels; consistent-superficial, unstable, and a progressive-extended pattern. Second, the experience of students with their portfolio were investigated in terms of the following; successfully completing the elements of the portfolio, development of evidence, interaction with peers, teachers, and parents, and the standards of evaluation used for the portfolios. Third, the perceptions and experience of working on the portfolio by students had a number of direct effects on the way in which students actually created and developed their portfolios. Finally, students with positive attitudes towards their portfolios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portfolio experience and finally understood what it meant completely. However, students with negative attitudes regarding portfolio based work, did not leave the experience with any heightened awareness of the utility or indeed, purpose of portfolio based work.
College going students who are non-native speakers of English enrolled in English language programmes are not acquiring the needed academic writing skills. Many of these students do not have positive attitudes towards writing, thus forcing language instructors to look for ways of motivating students to write in order to improve writing skills. This action research project investigates the use of portfolio writing to improve writing ability among pre-university students. Research on the use of portfolio writing suggests that it is a useful way for developing interest in writing and for developing effective writing skills over a period of time. Portfolios support the best thinking in composition pedagogy in that it encourages process writing. Although the portfolio is considered a writing product, as a whole it is evidence of the students writing process. An important feature in using portfolios is that students are able to focus on their writing without constantly worrying about grades. Instructors have noticed that students make greater improvement in their writing when their focus is shifted from punitive feedback through letter grades to constructive feedback in the form of suggestions for further revision. This paper describes the use of writing portfolios as an effective means of teaching writing. The findings revealed that writing portfolios helped develop confidence in writing and decreased anxiety towards writing. (217 wor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valuation criteria for students' portfolios in an annual intramural contest. To accomplish the purpose, evaluation categories and their questions were developed after previous literature, ABEEK's evaluation guidelines, and eight Universities' evaluation forms were analyzed. Furthermore, experts' validity tests were completed by showing that the evaluation criteria form was validated with a mean score of 4.24. Also, the inter-rater reliability was turned out with a high score of .86. The interview results by evaluators of students' portfolios made the final version of evaluation criteria form include five evaluation criteria categories and their allotted score portions: overall organization(40), personal information(15), certificates and awards(5), curriculum(15), and extra-curriculum(15). The importance of overall organization was discussed from the perspectives of teachers as well as students.
이 연구의 목적은 포트폴리오 평가의 내용 타당도를 검증하고 학생 포트폴리오에서 파악할 수 있는 정보의 유형을 조사하는 것이다. 내용 타당도를 각 차시의 목적과 교육과정의 중점에 비추어 검증하였으며, 학생 포트폴리오를 분석하여 어떤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지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한 학생 포트폴리오는 경기도 평택시 A 초등학교 4학년 한 학급에서 실시한 것이다. 포트폴리오에는 4학년 2학기 지층과 화석, 열과 물체의 변화단원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4학년 교과서, 실험관찰, 교사용 지도서 역시 분석되었으며, 그 결과는 학생 포트폴리오에서 파악한 정보와 비교하였다. 과학교육전문가 2인과 10명의 현직 초등 교사가 분석에 참여하였다. 연구 결과 포트폴리오 평가 양식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내용은 $70\sim100%$ 범위의 일치도를 보였다 교육과정 중점과 비교할 때는 90% 이상의 일치도를 나타냈다. 학생 포트폴리오는 이해, 관찰, 의욕, 학습의 과정에 대한 정보를 많이 포함하고 있었으며, 결론도출, 의사소통, 자기 주도, 학습의 진전, 자기 개념, 상호작용, 학습의 과정에 대한 정보도 상당히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볼 때 학생 포트폴리오와 교과서의 정보는 거의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다만 예상, 의욕, 자기 주도, 상호 작용과 같은 정보는 학생 포트폴리오에 더 많이 포함되어 있었으며, 관찰이나 실험 계획에 대한 정보는 과학교과서에서 상대적으로 더 많이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 포트폴리오 평가 양식은 타당도가 높으며, 지필 검사로는 얻을 수 없는 다양하고 풍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었다. 학생 포트폴리오에서 얻은 정보를 잘 활용하면 학생들의 학습과 장점에 대한 깊은 이해를 할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과학 학습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학생 포트폴리오는 재학기간동안의 성과를 기록한 기록물로 취업 및 자기 관리를 위해 매우 중요한 데이터이다. 과거에는 포트폴리오가 종이에 기록되어 관리되었으나 물리적인 분실 및 손실에 취약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학생 포트폴리오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포트폴리오 프레임워크 설계를 제안한다. 제안한 시스템은 학생이 유,무선을 통하여 자신의 포트폴리오를 저장, 관리할 수 있고 교수 및 산업체에서는 필요 요구사항에 따라 적합한 인재를 검색할 수 있다.
Portfolios have gained attention in medical education as a tool for promoting student learning and assessment since Miller's call for better tools for assessing students' clinical competencies. This paper reviews the development and use of e-portfolios for promoting learning and assessment in medical schools, both domestically in Korea and internationally. This review finds that some specific features need to be incorporated into e-portfolio systems for medical education and that these systems can be used to manage student learning in clinical clerkships and to support competency-based assessment. The author asserts that the e-portfolio is key to promoting competency-based education and suggests practical tips for effective development and use of e-portfolios in Korean medical schools.
이 논문에서 우리는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성숙도와 자기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K 여자대학교 76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은 여대생의 진로성숙도의 하위요인 가운데 계획성, 자기 이해, 합리적 의사결정, 희망 직업에 대한 지식, 진로탐색 및 진로준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 가운데 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 과제난이도 선호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와 같은 결과는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성숙도와 자기효능감 향상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여대생들의 진로성숙도와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으로 지역사회에 다양한 기관을 방문하여 인터뷰를 통해서 진로에 필요한 실제적인 정보를 수집하고 취업에 도움이 되는 자격증 및 활동들을 알고 구체적으로 진로 준비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그리고 대학 내에서 학생들을 위해 직업탐색 활동, 성격유형검사, 직업적성검사 등을 통해서 자신을 이해하고 진로에 대한 자신감을 갖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Visual literacy, a key element of a design portfolio, is achieved by communicating a consistent visual aesthetic with respect to design elements, design principles and individual style. Yet, students often feel challenged in articulating their personal aesthetic or design philosophy in order to create a unifying design identity within a body of artifacts. This paper shares some best practices on overcoming this challenge through students' engagement in self-reflection and identity formation processes. The implemented innovative strategy in a senior-level portfolio development course for apparel designers involved four different phases: 1) one-on-one meetings to self-reflect on previous design work, 2) selection and revision of artifacts, 3) peer-review and critiques of revised portfolio artifacts, and 4) development of a final ePortfolio to showcase a unified design identity. It was evident that recording students' initial self-reflection in the form of a metacognitive oral report encouraged and motivated identity development in their portfolio. Further, students expressed their satisfaction in the ability to participate in the selection process of artifacts by self-reflecting about what they wanted to highlight about themselves and why. Overall, student outcomes from this strategy exceeded expectations and the portfolios developed were successful in creating a cohesive design identity.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earning experienc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self-efficacy of Japanese nursing students undergoing portfolio-based clinical practicums. Methods: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self-efficacy of nursing students were examined using two scales. And using a text-mining approach, we constructed correspondence analysis followed by cluster analysis of open-ended responses forms. Results: The mean score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as $60.89{\pm}5.28$ and the generalized self-efficacy was $68.37{\pm}11.56$. Moreover, the scores in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scores in the generalized self-efficacy. In correspondence analysis, the distribution of extracted words showed that record was located on the negative side of the third quadrant, to the first principal component and that patient was located on the positive side of the first quadrant, contributing greatly to the second principal component.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tribute to approaching to "confidence, pride, stability," "growth and intention to development'' offers a key in developi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tudents record what they see and learn the importance of visualizing it in learning portfolios. "Expression in detail of the learned contents" and "concerning to which objective evaluation is suggested" are important to the students.
고등학교에서 학생의 진로교육에 대한 기본 자료는 교육과학기술부에서 지원하는 NEIS의 교무업무시스템과 담임교사 중심의 진로교육 자료가 오프라인 형태로 관리 및 운영되고 있어, 학생들의 진로교육을 위한 실질적 의사결정 시스템으로서 활용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학생들의 맞춤형 진로교육을 위한 e포트폴리오, 성적 및 상담자료 등을 DB로 구축하여, 인터넷 웹 기반의 학생관리통합시스템(SMTS: Student Management Total System)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이 결과 교사들은 학생의 소질과 적성을 고려한 맞춤형 진로교육을 실시하여, 건전한 직업관을 가진 미래의 국가자원으로 성장시키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