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 Validity of and Information from Elementary Students' Science Portfolio Assessment

초등학교 과학과 포트폴리오 평가의 내용 타당도 검증 및 학생 포트폴리오에서 파악할 수 있는 정보의 유형

  • Kim, Chan-Jong (Ch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ansung Elementary School) ;
  • Yoon, Sun-Ah (Ch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ansung Elementary School)
  • 김찬종 (청주교육대학교, 산성초등학교) ;
  • 윤선아 (청주교육대학교, 산성초등학교)
  • Published : 2002.03.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content validity of a portfolio assessment and to analyse the information which can be obtained from student portfolios. The content validity of the portfolio was tested against the objectives of each lesson and the emphasis of curriculum. The information was identified from the analysis of student portfolios. Students' portfolios from a fourth grade class in Pyeungteak, Kyeungki-do were used for analysis. The portfolios included students' evidence of learning on (I) Strata, Unit 2 'Strata and Fossil,' and (3) Change of Object by Heat, Unit 4 'Heat and Change of Object'. Fourth-grade science textbooks were also analyzed to understand the base level information for portfolio analysis. Two science education specialists and ten elementary teachers majored in science education took part in this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70{\sim}100%$ of agreement between the objectives of lesson and portfolio forms. Over 90% of agreement is reached between portfolio forms and the emphasis of the curriculum. Student portfolios revealed much information on comprehension, observation, will to study, and process of learning. They also revealed some information on drawing conclusion, communication. self-direction, progress of learning, self-concept, interaction, and process of learning. As a whole, the information in students' portfolios is similar with that dealt in science textbooks. However, students' portfolios have more information on anticipation, will to study, self-direction, and interaction. On the contrary, science textbook deals more with information on observation, planning inquiry, than students' portfolios. The portfolio assessment examined has very sound content validity. The results also show that much more and various information which can not be obtained from pencil and paper test could be obtained from student portfolios. The use of information, obtained from student portfolios will make it possible understand students' learning. their strength and weakness, hence improve student' science learning.

이 연구의 목적은 포트폴리오 평가의 내용 타당도를 검증하고 학생 포트폴리오에서 파악할 수 있는 정보의 유형을 조사하는 것이다. 내용 타당도를 각 차시의 목적과 교육과정의 중점에 비추어 검증하였으며, 학생 포트폴리오를 분석하여 어떤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지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한 학생 포트폴리오는 경기도 평택시 A 초등학교 4학년 한 학급에서 실시한 것이다. 포트폴리오에는 4학년 2학기 지층과 화석, 열과 물체의 변화단원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4학년 교과서, 실험관찰, 교사용 지도서 역시 분석되었으며, 그 결과는 학생 포트폴리오에서 파악한 정보와 비교하였다. 과학교육전문가 2인과 10명의 현직 초등 교사가 분석에 참여하였다. 연구 결과 포트폴리오 평가 양식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내용은 $70\sim100%$ 범위의 일치도를 보였다 교육과정 중점과 비교할 때는 90% 이상의 일치도를 나타냈다. 학생 포트폴리오는 이해, 관찰, 의욕, 학습의 과정에 대한 정보를 많이 포함하고 있었으며, 결론도출, 의사소통, 자기 주도, 학습의 진전, 자기 개념, 상호작용, 학습의 과정에 대한 정보도 상당히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볼 때 학생 포트폴리오와 교과서의 정보는 거의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다만 예상, 의욕, 자기 주도, 상호 작용과 같은 정보는 학생 포트폴리오에 더 많이 포함되어 있었으며, 관찰이나 실험 계획에 대한 정보는 과학교과서에서 상대적으로 더 많이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 포트폴리오 평가 양식은 타당도가 높으며, 지필 검사로는 얻을 수 없는 다양하고 풍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었다. 학생 포트폴리오에서 얻은 정보를 잘 활용하면 학생들의 학습과 장점에 대한 깊은 이해를 할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과학 학습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찬종, 최미애(2002). 초등학교 과학과 포트폴리오의 채점 기준 개발과 신뢰도 검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1), 176-189
  2. 김혜정(1998). 초등학교 과학 평가에서 포트폴리오 평가의 적용이 과학 지식과 탐구 능력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 성태제(1995). 타당도와 신뢰도. 양서원: 서울
  4. 손수남(1999). 초등과학 수업에 포트폴리오 체제의 적용이 사회 심리학적 교실환경에 미치는 영향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5. 윤선아(2001). 초등학교 과학과 학생 포트폴리오의 내용 타당도 검증 및 포트폴리오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의 유형 분석.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6. 조선형, 김범기, 김찬종, 김철영, 김혜정(1999). 초등과학교육에 적합한 학생 포트폴리오 체제 개발 및 적용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부설 교과교육공동연구소 제출 연구보고서
  7. 조선형, 김찬종, 김범기, 김철영, 김혜정(2001). 과학 포트폴리오 체제의 적용이 초등학생의 사회심리학적 교실 환경에 미치는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3)
  8. 최연희, 권오남, 성태제(1999). 중학교 영어 . 수학 교과에서의 열린 교육을 위한 수행평가 적용 및 효과 분석 연구. 교육부 초등교육정책과 연구보고서
  9. 한세란, 권치순, 김찬종(2000). 초등 과학 수업에서 포트폴리오 수업이 학생들의 창의성과 과학 탐구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3), 421-431
  10. 황정규(1987). 학교학습과 교육평가. 교육과학사: 서울
  11. Harwell, M.(1999). Evaluating the validity of educational rating data.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59(1), 25-37 https://doi.org/10.1177/0013164499591002
  12. Shavelson, R. J., Gao, X., & Baxter, G. P.(1996). On the content validity of performance assessments: Centrality of domain specification. In Birenbaum, M., & Dochy, F. J. R. C. (Eds.), Alternatives in assessmen t of achievements, learning processes and prior knowledge, (131-141). Boston: Kluwer Academ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