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tudent Self-Assessment

검색결과 148건 처리시간 0.031초

현행 중학교 수학 교과서와 MathThematics 교과서의 비교 분석 - 수학적 의사소통 측면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athThematics textbooks with Korean middle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 focused on mathematical communication -)

  • 한혜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9권4호
    • /
    • pp.523-540
    • /
    • 2010
  • The purpose of the study were to analyze MathThematics textbooks and Korean middle school mathematics an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among the textbooks in the view of mathematical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textbook developers made a variety of efforts to develope students' mathematical communication ability. Students were encouraged to communicate with others about their mathematical ideas or problem solving processes in words or writing by means of discussion, oral report, presentation, journal, etc. MathThematics textbooks provided student self-assessment opportunity to improve student performance in problem solving, reasoning, and communication. In communication assessment, students can assess their use of mathematical vocabulary, notation, and symbols, the use of graphs, tables, models, diagrams and equation to solve problem and their presentation skills. The assessment activities would make a positive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students' mathematical communication ability. MathThematics textbooks provided a variety of problem situation including history, science, sports, culture, art, and real world as a topic for communication, however, the researcher found that some of Korean textbooks depends heavily on mathematical problem situations.

자유학기제 과학과 평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제 (Teacher Perception and Practice on Free Semester Science Assessment)

  • 김유라;최애란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43-160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자유학기제가 전면 시행된 이후 자유학기제 과학과 평가 경험이 있는 중등 과학교사 15명을 대상으로 자유학기제와 자유학기제 평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 자유학기제 과학과 평가의 실제를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서술형 문항 설문과 개인 면담 전사본은 반복적 비교 분석법을 통해 분석하였고, 선택형 문항 설문은 응답 빈도를 분석하였다. 자유학기제 기본 방향 중 평가 방법 변화는 낮은 순위로 선정한 교사가 많았고, 자유학기제 평가의 객관성 부족, 자유학기제 평가의 입시 미반영, 자유학기제 평가에 대한 체계 미확립, 활동 중심 수업 및 교과에 대한 학생의 흥미 유발이 평가보다 더 중요함 등을 이유로 언급하였다. 본 연구의 대부분 교사들은 자유학기제 평가의 기본 방향을 교육부에서 제시한 과정 중심 평가로 이해하고 있었다. 과정 중심 평가를 매우 긍정적 또는 긍정적으로 인식한 교사들은 학생에게 미칠 수 있는 긍정적인 영향에 초점을 맞추어 설명한 반면, 과정 중심 평가를 보통 또는 부정적으로 인식한 교사들은 교사들이 겪는 어려움에 초점을 맞추어 설명하였다. 본 연구의 절반 교사들은 주관성과 복잡성 등의 이유로 학생 자기평가 학생 동료평가를 실행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간 부족을 이유로 평가 결과에 대한 피드백을 거의 제공하지 않은 교사들도 일부 있었다. 일부 교사들은 평가 방법에 익숙하지 않거나 평가를 실행하기 위한 방법을 모르기 때문에 특정 평가 방법을 사용하지 않았다고 하였다. 본 연구 참여 교사들 중 교과 협의를 하지 않은 교사들은 동 학년을 담당하는 교사의 수나 동료 교사의 태도와 같은 환경적 요인에 의하여 협의를 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 관련 연수에 참여하지 않은 교사들은 자유학기제 담당자만 연수에 참여하거나 연수의 필요성에 대한 교사의 인식 부족, 교사 개인 사정 등과 같이 교과 협의회와는 달리 교사의 자율적 선택에 의해 연수에 참여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Use of Feedback in Written Reports and Portfolio: An Assessment for Learning Strategy

  • Santos, Leonor;Pinto, Jorge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4권3호
    • /
    • pp.281-297
    • /
    • 2010
  • This paper pretends to study the potentialities of feedback, particularly in the development of a written report in two phases and in portfolio; and the main difficulties that teachers has to face concerning this assessment practice. Through a meta-analysis concerning different studies, it is possible to say that oral or written feedback, intentionally provided to students of several ages, may enable them to develop their self-assessment capacity and to get close of the expected product. However, the type of student and his or her perceptions may influence the effectiveness of feedback. Even for experience teachers, this practice maintains complex.

간호대학생을 위한 시뮬레이션 기반의 아동간호 인수인계에 관한 동영상 실습교육과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의 효과 (Utilizing Video vs Simulation Practice for Handoff Education of Nursing Students in Pediatric Nursing)

  • 박선남;임영순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4권1호
    • /
    • pp.27-36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model for handoff education for nursing students based on simulation using video and to identify educational effects of a simulated situation in pediatric care unit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1 to 30, 2016. Participants were 84 senior nursing students in Seoul (video group: 43, simulation group: 41). Both groups were given a lecture and pre-briefing on handoff education. The simulation group had nursing practice on resolving health issues for respiratory distress using a high-fidelity baby simulator. The video group watched a video recording of a scenario based simulation, and used a summarized handoff situation to practice patient handoff to another student.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for handoff self-confidence, problem solving ability, handoff competence (self-assessment of students), or learning satisfaction. Self-confidence increased significantly in both groups. Handoff competency evaluated by the instructor was higher in the video group compared to the simulation group (t=2.33, p=.022). Conclusion: Nursing student education for handoff practice utilizing a video in the pediatric unit was more cost effective. Therefore, it could be a useful educational method for students in learning patient handoff practices and helpful for related research.

협력적 문제해결 중심 교수모델에 기반 한 학생 인성 역량 평가 도구 개발 (The Development of Assessment Tool on Student's Character Competence based on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Instruction Model)

  • 전란영;김희화;남정희;강유진;손정우;박종석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419-430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교육에 협력적 문제해결 중심 교수모델 적용에서 학생의 인성 역량을 평가하는 평가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문헌 분석을 통해 개방성, 공감, 관용, 배려, 성실, 자기조절, 정직, 책임, 협력의 9개 인성 역량 구성요인을 추출하였다. 기존 인성 역량 관련 척도를 바탕으로 전문가 협의를 통해 협력적 문제해결 중심 교수모델에 기반 한 학생 인성 역량 평가 문항을 개발하였다.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88개의 예비문항에 대한 1차 조사를 하였고, 예비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문항을 수정 보완하였다. 재구성된 문항의 타당도를 확인하고자 중 고등학교 과학교사 71명을 대상으로 2차 내용타당도 조사를 하였고, 해당 문항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평정자간 신뢰도를 산출하였다. 평가 문항의 내용타당도 및 평정자간 신뢰도는 전반적으로 양호한 수준으로 나타났고 분석 결과를 토대로 53문항을 최종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평가 도구는 협력적 문제해결 중심 교수모델을 통한 학생의 인성 역량 변화를 알아보고 과학교육에서 학생 인성 역량을 평가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동료 및 자기 평가 피드백을 통한 대학생 말하기 교육 방안 (Speaking Education Plan for University Students by Using the Method of Peer and Self Evaluation Feedback)

  • 최윤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573-580
    • /
    • 2020
  • 본 연구는 대학의 말하기 교육 유형인 발표와 토론 수업을 중심으로 동료 및 자기 평가와 피드백을 통해 말하기 능력 함양을 위한 교육 방안을 탐색해보고, 그 효과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 및 내용은 H대학교의 교양 필수인 <독서와 소통> 수업을 수강한 1학년 학생들로 '읽기, 말하기, 쓰기'의 통합 활동 중 말하기 활동과 그 효과에 한정하여 제시한 것이다. 말하기 교육에서 동료 및 자기 평가와 피드백은 학생들 간에 상호 공감대를 형성하고 협력 하에 말하기에 필요한 역량 함양과 자기 발견 및 소통을 통한 주도적인 학습이 가능하게 한다. 연구결과, 다양한 말하기 실습을 통해 말하기 태도 및 심리적 측면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으며, 평가와 피드백 활동이 학생들에게 유의미한 학습 효과를 가져다 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학생의 의사소통 능력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만큼 현실적이며 유용한 말하기 교육 및 지도 방안들이 지속적으로 연구 및 개발되어야 한다고 본다.

초등수학과 수행평가도구 개발 -1, 2학년 포트폴리오를 중심으로- (A Study on Development of Performance Assessment Tools for Mathematics in the Primary School)

  • 정영옥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2권2호
    • /
    • pp.357-388
    • /
    • 2000
  • This study aims to develop performance assessment tools for mathematics in the primary school. In order to achieve this aim, it reviews the tics in the primary school. In order to achieve this aim, it reviews the meaning and the purpose of mathematics performance assessment, and the characteristics of performance assessment tasks. Then the framework for portfolio developed in this study is introduced. This portfolio is called 'mathematical thinking and applying'. It aims at balanced assessment for improvement of mathematics instruction. It is composed of journal writhing, problem by the student, constructed task, work samples, written test, self assessment, teacher's comment and parents' comment. The criteria of performance tasks is categorized in impact, reasoning, accuracy and communication. The procedures of development of these tasks are as follows: the analysis of mathematics curriculum for the primary school, the design of performance tasks with considering teaching unit goals, designing rubrics, discussing these tasks with teachers in primary school, modifying them when is needed, observing the process of children's task performing, interviewing with teachers and final modifying. After performance assessment tasks are implemented, the answers by the students is analyzed using rubrics. Then anchor papers are selected. Also, the errors of children are analyzed. Through the process, teachers can obtain the information of children for improvement of mathematics instruction. Finally in order to generalize this study, I suggest that we need to cooperate with the field of education and to establish expert assessment groups.

  • PDF

포트폴리오 자료 개발 및 수업 효과 분석 - 중학교 기술가정과 "반바지 만들기" 단원을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Portfolio Material and Analysis of Instruction Effect - focusing on ${\ulcorner}Making\;Short\;Pants{\lrcorner}$ of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subjects in Middle School -)

  • 이현정;이혜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5-33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전통적인 평가의 대안으로 제안된 수행평가의 한 방법인 포트폴리오를 가정교과 수업에 적용하였을 때 학생들의 학습태도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는 데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반바지 만들기' 단원에 총 13차시의 교수 학습지도안과 수업 활동지, 수업 자료, 평가 자료 등의 포트폴리오 자료를 개발하였다. 둘째, '반바지 만들기' 단원에 포트폴리오 자료를 적응한 수업이 학생들의 학습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고, 우월감, 자신감, 흥미, 목적의식, 성취동기, 주의집중, 자율학습, 교우관계 등의 향상에도 매우 효과적이었다. 셋째, 포트폴리오 적용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포트폴리오 적용 수업을 계속 진행하는 것에 대해 90% 이상의 학생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그 이유로는 '공부에 도움이 된다, 수업시간에 집중이 잘 된다, 만족감과 자신감이 생긴다, 스스로 공부하는 능력이 길러진다'라는 의견이 있었고, 반면에 포트폴리오 적용 수업의 단점으로 '포트폴리오를 작성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과제가 있어 부담스러웠다'라는 의견이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중학교 기술 가정 의생활 단원에서 학생들의 흥미를 높이고 학습태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의 개발이 많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PDF

약학대학 학생들의 학습 포트폴리오에 대한 경험과 인식 (Pharmacy Students'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the Use of Learning Portfolio)

  • 제남경;이인향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90-97
    • /
    • 2014
  • Learning portfolio is a collection of evidence that learning has taken place. It has gained its reputation as a useful assessment tool in the education of health professiona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pharmacy students' experiences and perceptions upon the introduction of a learning portfolio into the Introductory Pharmacy Practice Experience course. Methods: Fifty five students from one pharmacy school who used a learning portfolio to document their progress in the IPPE course participated in 16-item questionnaire exploring opinions and experiences of learning portfolio preparation, assessment, and personal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reflection. Results: Most students agree that a learning portfolio is a valuable tool in promoting self-directed and reflective learning. However most of them (46/55) also feel developing a portfolio is time-consuming, and when compared to their effort, an appropriate reward has not been given. Conclusion: To make the use of learning portfolios successful students should receive clear guidelines on their purpose, content and structure. Also the assessment criteria should be provided before the introduction of learning portfolio and their effort in developing learning portfolio should be rewarded.

2006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과학 성취도와 학생 관련 배경변인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Science Achievement and Student-related Variable in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in 2006)

  • 최원호;정은영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8권8호
    • /
    • pp.848-859
    • /
    • 2008
  • 이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중학교 3학년,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 중에서 3%를 표집하여 2006년에 시행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학생들의 과학과 성취도와 학생 관련 배경변인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부모와의 대화 정도가 많을수록, 방과 후 스스로 공부하는 시간이 많을수록, 책을 많이 읽을수록, 자기조절 학습정도, 학교 생활 적응 정도, 과학 수업 충실도, 과학 수업 이해 정도, 과학 교과에 대한 태도가 높을수록 과학 성취도가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다. 학생의 과학 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배경변인을 묻는 설문 결과에서 현재 학교 현장에서 주도하는 교육 풍토가 입시 위주임을 알 수 있었으나, 학생 관련 배경 변인에 대한 전반적인 결과에서 학생들의 과학 성취도 향상을 위해 단지 공부만을 강조하는 외적 동기 위주의 자극보다는 흥미나 과학에 대한 태도, 학습 방법, 인간관계 등 내적인 동기를 자극하는 접근이 더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