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udent Entrepreneurship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19초

대학 창업생태계의 특성과 생산성에 관한 연구 - 특허, 창업교육, 창업동아리의 개별효과와 상호보완효과를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and Productivity of the University Entrepreneurship Ecosystems - Discrete and complementary effects of patents,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student entrepreneurship clubs -)

  • 이경주;김은영
    • 공학교육연구
    • /
    • 제21권6호
    • /
    • pp.108-117
    • /
    • 2018
  • Given the substantial industrial and economic contributions of university start-ups, a growing number of studies have adopted the ecosystem perspectives to systematically explain creating start-ups in universities. Despite the huge theoretical potential, few studies have analyzed the complex, complimentary interactions of the core components in the university entrepreneurship ecosystems (UEEs). Addressing the limitation, this research not only discusses the role of the core ecosystem components, such as patents,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student entrepreneurship clubs, but also analyzes their discrete and complimentary effects on the productivity of UEEs. Based on a national survey of universities, this study shows that all the core component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ecosystem productivity. More importantl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mplimentary relationships among components and tested the moderation effects of both the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the student club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tents and the productivity of UEEs.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student clubs intensify the patents' positive effect on the productivity of UEEs. The research results could provide the crucial policy insights for the successful design of UEEs.

과기특성화대학 학생창업정책에 대한 인식분석: KAIST 사례를 중심으로 (Analysis of Perceptions of Student Start-up Policies in Science and Technology Colleges: Focusing on the KAIST case)

  • 안태욱;류춘렬;백민정
    • 벤처창업연구
    • /
    • 제19권2호
    • /
    • pp.197-214
    • /
    • 2024
  • 본 연구는 과학기술특성화대학의 학생창업 지원정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고, 상향적 접근 방식을 적용하여 정책 수행 대상자인 학생들의 요구 사항을 반영한 정책개선 방안을 도출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KAIST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 및 분석을 통해 학생창업 지원 정책의 효과적인 실행 방안을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창업 현장과의 정책목표 공유, 정책 수립 시 학내 학생창업 현장의 의견 반영, 학생 창업가 육성을 위한 창업친화적학사제도 체계의 구축에 대한 개선의 시급성이 높게 나타나고 있었다. 관련하여 집행기관의 역량 강화, 교육과정 내에서의 마케팅 및 시장개척 역량, 사업가로서의 조직관리 및 실무역량 향상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창업지원 정책의 투명성 및 접근성 강화가 요구되며, 학생들이 정책목표를 명확히 이해하고, 창업지원정책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정보의 투명성과 접근성을 향상시켜야 한다. 둘째, 학생 중심의 창업정책개발이 요구되며, 학생창업지원 정책을 개발함에 있어 학생들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학생들의 요구와 실제 창업 환경을 고려한 맞춤형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 셋째, 과기특성화대학 특성이 반영된 창업친화적학사제도의 개선이 요구되며, 학생들이 창업활동에 더욱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창업친화적학사제도를 도입하거나 개선하여, 창업 활동을 학점으로 인정하거나 창업 관련 교과목을 확대하는 등의 조치를 취해야 한다.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과학기술특성화대학에서 학생창업을 더욱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창업가정신을 고취시키는 데 의미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대학이 기술혁신과 사회적 가치 창출에 기여하는 혁신 창업생태계 조성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PDF

대학생의 창업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요구 분석 (Analyzing Education Needs for the Development of Entrepreneurship of University Student)

  • 이지안;안영식
    • 벤처창업연구
    • /
    • 제14권2호
    • /
    • pp.73-82
    • /
    • 2019
  • 창업교육의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대학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창업과 관련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창업 아이디어를 실현할 수 있는 역량 중심의 창업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는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이 창업역량을 개발하는데 중요하게 생각하는 역량과 실제 수행하는 현재수준의 차이를 분석하여 대학에서의 창업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운영 지원에 있어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창업역량을 창업의지확인단계, 창업모델구상단계, 벤처창업계획단계로 구분하여 7개 역량군에 대한 핵심역량 15개 항목의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를 t검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대학생의 창업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요구 우선순위는 Borich 요구도 분석과 The Locus for Focus Model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대학생의 창업역량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는 15개 항목에서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Borich 요구도 분석과 The Locus for Focus Model 분석에서 공통적으로 해당하는 최우선 순위는 6개 항목이었고, 차 순위는 2개 항목으로 나타났다. 최우선 순위의 역량과 차 순위의 역량을 종합하면 자기분석력, 창업아이디어 도출능력, 아이디어 타당성 분석력, 사업계획 프레젠테이션 능력으로 4개의 역량군으로 구분된다. 각 역량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창업아이디어도출능력과 아이디어타당성분석력이 교육의 핵심이 되어야 할 것이며, 자기분석능력은 창업하고자 하는 의지를 확고히 하고, 사업계획프레젠테이션능력은 사업 아이디어가 꿈과 이상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현실에서 필요하고 투자자를 설득할 수 있는 능력으로 배양되어야 한다.

기술기반 창업 활성화를 위한 이공계 창업교육에 관한 연구 (A Study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of University in Science and Engineering for Vitalization of Technology-based Startup)

  • 김선우;고혁진;이윤석
    • 공학교육연구
    • /
    • 제18권2호
    • /
    • pp.3-7
    • /
    • 2015
  • Entrepreneurship has been considered as an engine to lead economy, which has been resulting in a focus on entrepreneurship education to promote entrepreneurship. This paper focuses on science and engineering students, and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entrepreneurship level. The response results of 950 students (34 universities) were as follows. First, the entrepreneurship level of science and engineering students are a little high but not as significant more than non-science and engineering. Second, science and engineering students have an impact on the level of entrepreneurship about entrepreneurship courses. Third, entrepreneurship courses and clubs have an effect on entrepreneurship level. As a conclusion, we have to improve the quality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recognize startup as a credit, and build up entrepreneurship education ecosystem through the local area network.

대학생의 직업성격유형이 창업의지 및 직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Entrepreneurship and Professional Values on the Vocational Personality Types of Student)

  • 김홍
    • 벤처창업연구
    • /
    • 제9권5호
    • /
    • pp.255-265
    • /
    • 2014
  • 창업은 개인적 관점에서 보면 개인적인 부를 창출하기 위한 활동이고 사회적으로는 일자리 창출을 통한 경제활동 인구를 증가시키고 실업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중요한 활동이다. 창업은 성장과 고용간의 선순환 구조의 매개체 역할을 수행하고 경제의 안정 지속성장 토대를 제공하며 사회적 문제 해소에 기여할 수 있는 최선책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직업성격유형에 따라서 직업의식과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금번 연구의 회귀 분석 결과 직업성격유형은 창업의지에 긍정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며, 각각 창업의지에 긍정적인 정(+)의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직업성격유형은 직업가치에 긍정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며, 직업가치는 창업의지에 긍정적인 정(+)의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다만, 직업가치요인별로 창업의지에 미치는 관계를 살펴 본 결과 자아실현, 안전성, 권력, 독립성, 사회봉사, 지도성 항목이 보다 더 창업의지와 유의적인 관계가 확인하였다. 따라서 대학생 창업의 성공률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성격유형별로 적합한 창업아이템 선정과 선택적 창업 교육방안을 수립하고 적절한 시기에 창업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만 한다.

  • PDF

참여자 지향적 대학 창업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실증적 연구 (An Empirical Study for Developing a Participant-Oriented University Startup Education Program)

  • 장광희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0권3호
    • /
    • pp.113-124
    • /
    • 2019
  • With the decline in the college student population and the increase in the youth unemployment rate, the university began to be interested in starting a business. Under the initiative of the government, the start-up support project was reflected in the university's educational programs, which led to the university students receiving various start-up support benefits. In response to the expansion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various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s and support programs were applied in line with the government's efforts to start college students. As a result, students' entrepreneurial competence and willingness to start up increased. College student entrepreneurs and entrepreneurs are increasing. The increase of university student start-up companies is taking place in the entrepreneurial education environment within the university, and the support of university, community, and start-up support institutions for university student start-up, the starting point of the start-up ecosystem, is paying off. It can be seen that the youth entrepreneurship ecosystem based on university entrepreneurship education is in place. The university supports the entire business process from idea development, such as start-up classes, start-up club support, patent application support, prototype development support, and investment linkage. However, there is a university that develops and operates a unique program for each school and a university that does no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ducation program that can produce efficient resul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pport the start-up program of the university to be the consumer-centered start-up support.

The Effect of Self-leadership and Entrepreneurship on Employment Competency -The Moderating Effect of Nationality-

  • Choi, JuChoel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3호
    • /
    • pp.107-115
    • /
    • 2018
  •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effect of college students' self-leadership and entrepreneurship on employment competency and identify the moderating effect of nationality. To this end, the validity of data collected from 450 college students attending a four-year university in Seoul was test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AMOS statistical software. The study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self-leadership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entrepreneurship. Second, entrepreneurship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employment competency. Third, it was found that nationality exerted a partial effect on the relationship of self-leadership and entrepreneurship to employment competency.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indicated that developing college student's employment competency through self-leadership and entrepreneurship training according to their nationality can help resolve the severe employment crisis in the age of the fourth industry.

직업선택 동기에 따른 창업교육 수강의지에 대한 연구 : 이공계열 대학생을 중심으로 (The Study on the Career Reasons Affecting on the Desire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 Focus on Science and Engineering College Student)

  • 이우진
    • 벤처창업연구
    • /
    • 제10권1호
    • /
    • pp.119-128
    • /
    • 2015
  • 우리나라는 현재 창조경제를 화두로 창업의 역할과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빠르게 자리잡아가고 있다. 특히 청년층의 취업에 대한 어려움이 커지고 있는 지금 창업에 대한 사회적 인식 변화와 다양한 창업관련 교육기회의 증가로 인해 많은 청년들이 진로선택의 한 부분으로써 창업을 선택하고 있다. 이렇게 증가하고 있는 창업이 한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는 정확한 지식과 정보를 바탕으로 창업을 시작하는 것이 필요하며 효과적인 결과를 기대하기 위해 창업자들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특히, 진로 선택을 앞두고 있는 대학생들에게 창업교육을 좀 더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해서는 청년들이 가지고 있는 직업선택의 동기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하는 접근이 필요하다.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직업선택의 동기와 스스로의 목표에 따라 창업 강좌 및 교육에 대한 욕구수준이 다르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렇게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직업선택의 동기와 지속적인 창업교육의 중요성을 바탕으로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창업교육의 지속적인 수강의지에 대한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창업교육을 받고 있는 대학의 이공계학생 1,651명의 설문을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직업선택의 동기 중 자아실현, 혁신성, 롤모델 추구 및 독립성과 같은 내재적인 요인들은 창업교육에 대한 만족과 유의한 관계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창업교육의 만족도는 향후 창업강좌 및 교육에 대한 지속적인 수강의지와 유의한 관계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진로 선택의 한 부분으로 창업을 선택하는 학생들이 많아지고 있는 현재 학생들의 성공적인 창업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창업교육으로의 유입이 필요한데 이는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직업의 가치에 대한 내재적인 요인들을 강화한다면 가능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한 결과에서 나온 시사점을 바탕으로 더욱 많은 학생들이 지속적으로 창업교육에 참여시키기 위한 방법에 적용을 하고 이를 통해 향후 좀 더 성공적인 창업가들의 탄생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창업교육과 개인적 환경요인 및 개인적 특성이 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dividual Environmental Factor and Individual Trait on University Student's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 정경희;성창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6호
    • /
    • pp.179-187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창업교육과 대학생들의 개인적 환경요인 및 개인적 특성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향후 대학생들의 진로결정 역량 강화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 수도권 소재 대학생 34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측정된 자료의 통계처리를 위해 SPSS 18.0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 검증을 위해 상관분석과 더미변수를 활용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창업교육, 역할모델, 가족창업경험, 진로준비행동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성별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본 연구를 통해 대학생들의 진로결정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진로준비행동, 역할모델, 가족창업경험의 중요성과 함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강화를 위한 대학차원 창업교육의 인식전환 및 중요성을 재확인 할 수 있다.

대학생의 기업가정신이 취업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성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Entrepreneurship on Employability of the College Student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 백유미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113-120
    • /
    • 2018
  • 본 연구는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기업가정신이 취업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특히 취업을 앞두고 있는 대학생의 기업가정신이 취업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지와 성별에 따라 취업가능성에 조절효과가 있는지도 탐색적으로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대학생의 기업가정신은 취업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라 기업가 정신이 구직기술, 취업가능성에 미치는 영향력은 차이가 있었다. 즉, 성별에 따라 구직기술과 취업가능성에 유의미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기업가정신 상위 및 하위집단 각각에서 조절변인에 따른 두 집단 간 취업가능성(직업의식, 직업탐색, 구직기술)의 평균점수를 비교해보니 남자 대학생보다 여자 대학생의 평균이 현저히 높은 편이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시사점을 제시하고 미래 연구를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