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tress Resilience

검색결과 384건 처리시간 0.03초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에서 소진의 영향 (Effects of Burnout on Job Stress and Ego-Resilience of Fire Officials)

  • 이해영;김엽래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1권2호
    • /
    • pp.106-112
    • /
    • 2017
  • 본 연구는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과의 관계에서 소진이 매개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통해 소방공무원의 자아탄력성 증진을 위한 정책대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으로 경기도 북부지역 현직 소방공무원 36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SPSS 22.0를 통해 상관관계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는 '소방공무원의 소진과 자아탄력성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일 것이다.'와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소진은 유의미한 효과가 있을 것이다.' 이다. 연구 결과,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직무 불안정성과 보상 부적절성 요인이 고갈, 냉소, 직업 효능감 등의 소진척도에 영향을 주고, 이는 긍정적인 미래지향성, 감정조절, 흥미와 관심 등을 나타내는 자아탄력성을 낮추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른 정책적 함의는 먼저, 소방공무원의 직무수행상 안정성에 대한 확신이 주어져야 한다는 점, 업무성과에 대한 사회적 경제적 적절한 보상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 소방공무원의 정서적 신체적 피로감과 긴장감 해소를 위한 내실 있는 지원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회장루 보유자의 마음챙김명상을 접목한 회복탄력성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Resilience Enhancement Program Applying Mindfulness Meditation in Patients with Ileostomy)

  • 신지혜;최자윤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334-346
    • /
    • 202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resilience enhancement program applying mindfulness meditation (REP-MM) and evaluate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post-traumatic stress (PTS), resilience,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in patients with ileostomy. Methods: The REP-MM was developed by combining the resilience enhancement program with mindfulness meditation according to four patterns. The program was developed through identifying patients' needs, reviewing relevant literature, developing a preliminary program, and testing content validity and user evaluation. The participants were 55 patients with ileostomy. We conveniently assigned 27 patients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28 to the control group. The study was conducted in conducted in a hospital from January 22 to May 30, 2019. The REPMM was provid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ventional ileostomy care was provided to the control group using a nonequivalent control-group pretest-posttest design. Results: ANCOVA revealed that the levels of PTS (F = 321.64, p < .001), resilience (F = 111.86, p < .001), and HRQoL (F = 31.08, p < .001)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when comparing pretest to posttest changes. Conclusion: The REP-MM is effective in PTS, resilience, and HRQoL in patients suffering from post-stoma creation crisis. The REP-MM can induce positive self-recognition changes in patients with ileostomy through dispositional, situational, relational, and philosophical interventions. We suggest nurses reduce PTS and improve resilience and HRQoL in patients with ileostomy.

Adversities Experienced by Grandchildren in Korean Grandparent-Grandchildren Families and their Family Resilience

  • Jung, Min-ja
    •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 /
    • 제17권2호
    • /
    • pp.17-30
    • /
    • 201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ake a policy proposal for Korean grandparent-grandchildren families, analyzing what adversities adolescent grandchildren suffer when living in a grandparent-grandchild family, the types of Korean families and how family resilience appears as family power. In order to conduct this study, 20 consenting adolescents were selected for an interview from grandparent-grandchildren families recommended by the U City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we discussed divorce, death, financial bankruptcy related stress, economic difficulties in the present family, accidents involving family members of a grandparent-grandchild family, grandparents' serious disease, death, family conflicts and family comparisons with friends. Second, in the domain of family resilience, desire to maintain the family appeared as a Korean value. In addition, efforts to bond as an emotional family and grandchildren's attitudes of gratitude to grandparents are also expressed. However, family conversation appears weak due to the generation gap between adolescents and grandparents or complications from family stress. Third, the resilience in the family organization appeared weak since there are relatively insufficient socio-economic resources to support the family. This study makes several suggestions for family policies and shows the necessity to develop policies that reflect the needs of grandchildren and grandparents.

Evaluation of a child abuse prevention program for unmarried mothers in South Korea: a single-case experimental design

  • Il Tae Park;Won-Oak Oh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30권3호
    • /
    • pp.187-198
    • /
    • 2024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mplement a child abuse prevention program and evaluate its effectiveness based on the Nursing Model of Resilience and Coping Skills Training Model for unmarried mothers during pregnancy and puerperium. Methods: This study had a prospective single-case, AB design with four repeated self-questionnaire measures and three observational measures. Seven unmarried mothers were provided with 10 sessions child abuse prevention program through individual visits from 32 to 34 weeks of pregnancy to six weeks after childbirth.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related to resilience, maternal stress, maternal attitude, parent-child interaction, child abuse potential. The observation was measured by video recording (total 16 times) the interaction of parent-child during feeding and analyzing it by three experts. Data were analyzed by Wilcoxon signed-rank test and Friedman's test. Results: Maternal attitude and parent-child interac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intervention compared to before intervention. However, maternal stress decreased after intervention compared to before intervention,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dditionally, resilience and child abuse potential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program is partially effective in preventing child abuse by promoting parenting attitudes and parent-child interactions. Conclusion: This study focused on individual resilience and applied systematic intervention as coping skills training to prevent child abus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nterventions were conducted through individual visits to unmarried mothers at high risk of child abuse, and the program was applied, including pregnancy and postpartum periods, to prevent child abuse early.

중년기 여성 사회복지사의 가족스트레스와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간 가족탄력성의 매개효과 (Mediation Effect of Family Resilience between Family Stress and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of Women's Social Worker in Middle Age)

  • 송유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235-254
    • /
    • 2016
  • 본 연구는 중년기가 가족생활주기상의 적응, 재정립 등의 탄력성이 필요한 시기임을 고려하여 사회복지 영역에서 상당수 차지하는 여성 사회복지사의 가족스트레스와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간 가족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표집대상은 대구 경북지역 중년기 여성 사회복지사 328명이었으며, 중다회귀분석을 시행한 후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논의점 및 결론을 종합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경제문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에 대해 근본적으로 사회복지사의 보수체계의 열악함을 뒷받침하여 합리적인 보수결정에 대한 시스템 마련을 제언하였다. 둘째, 가족스트레스와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간, 가족탄력성 하위요인인 의사소통과정, 신념체계, 조직유형 모두 부분매개 효과가 있었다. 특히, 의사소통과정이 가장 강력하게 매개효과가 있음에 따라 정확하고 명확한 정보교환을 의사소통의 필수조건으로 하여 개방된 감정표현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결국, 중년기 여성 사회복지사가 직면하고 있는 가족스트레스를 정확히 분석하여 신념체계, 조직유형, 의사소통과정과 같은 가족탄력성이 제대로 기능할 수 있도록 개입한다면 사회적 문제해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되었다.

간호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자아탄력성 및 영적안녕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Life Stress, Ego-Resilience, and Spiritual Well-Being on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in Nursing Students)

  • 손혜경;권수혜;박현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636-646
    • /
    • 2017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 및 영적안녕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자료 수집은 2016년 11월 15일에서 12월 10일까지 B시와 C시에 소재한 3개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정, ANOVA, Scheffe 검정, Pearson 상관계수(correlation coefficients)와 단계적 다중회귀분석(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으로 분석하였다. 대학생활 적응은 생활스트레스 정도(r=-.657, p<.001)와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자아탄력성(r=.455, p<.001)과 영적안녕(r=.494, p<.001)과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생활스트레스(${\beta}=-.418$, p<.001), 건강상태(${\beta}=.213$ p<.001), 영적안녕(${\beta}=.210$, p=.025), 전공만족도(${\beta}=.146$, p=.003), 자아탄력성(${\beta}=.109$, p<.001)순으로 나타났고 이들 변인들의 총 설명력은 56.5%였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을 돕기 위해서 생활스트레스에 대한 대처 능력을 함양하고 자아탄력성과 영적안녕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교육 및 상담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요구된다고 본다.

간호대학생의 회복탄력성이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esilience on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Achievement in Nursing Students)

  • 홍세화;김지수;주도빈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443-450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회복탄력성과 학업스트레스, 학업성취도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회복탄력성이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기 위함이다. 2019년 9월 26일부터 10월 12일까지 W군에 위치한 일 개 대학 간호대학생 230명을 편의표집 하였으며, 부적절한 응답자를 제외한 197명의 자가보고 설문지를 SPSS/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회복탄력성은 학업스트레스(r=-.46, p<.001)와 음의 상관관계를, 학업성취도(r=.48, p<.001)와는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회귀분석 결과 회복탄력성 하위영역 중 사회적지지, 조직적 스타일, 긍정성은 학업스트레스에 대해 28.4%(F=24.80, p<.001)의 설명력을 나타내었고 관계성, 자신감은 학업성취도에 대해 22.7%(F=27.80, p<.001)의 설명력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토대로 간호대학생들의 학업스트레스를 관리하고,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사회적지지, 조직적 스타일, 긍정성, 관계성, 자신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중재방안을 개발하는 노력이 필요하겠다.

의학전문대학원생의 스트레스, 자아탄력성, 자기효능감과 임상수행능력과의 관계 (Relation amang Stress, Ego-Resilience, Self-Efficacy, Clinical performance in graduate medical student)

  • 홍선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5797-5804
    • /
    • 2011
  • 최근 의학교육은 의과대학에서 의학전문대학원으로의 체제변화와 의사국가고시 실기시험 도입에 따른 변화에 대처해야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따라서 의학전문대학원 학생들의 특성을 고려하고 국가고시 실기시험을 대비한 임상수행능력향상을 위한 교육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의대생들의 스트레스, 자아탄력성, 자기효능감에 따른 임상수행능력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로 D시에 소재한 일 의학전문대학원생 97명을 대상으로 2011년 8월19부터 2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스트레스는 자아탄력성과는 부적상관관계를 나타냈었고 자기 효능감의 하부영역인 자신감과는 정적상관관계를 보였다. 자아탄력성은 임상실기수행능력의 하부영역인 CPX와는 정적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자기효능감의 하부영역인 과제난이도 선호는 OSCE와 부적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임상실기수행능력의 하부영역인 OSCE와 CPX는 정적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학생들의 스트레스 감소는 자아탄력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임상실기수행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본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임상실기수행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학생 개인의 특성을 파악하여 자아탄력성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교육과정에 반영하여야 할 것이다.

한국전, 베트남 참전 국가유공자들의 외상 후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융복합적 연구 : 자아-적응유연성의 매개효과 분석 (The Effect of Post-Traumatic Stress on Depression of Korean and Vietnam War Veterans: Mediating Effect Analysis of Ego-Resilience)

  • 김윤영;현혜순;최나영;김태열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1호
    • /
    • pp.547-556
    • /
    • 2019
  • 본 연구는 참전 국가유공자의 외상 후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를 파악하고, 외상 후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자아-적응유연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한국보훈협회의 협조를 얻어 2018년 3월부터 6월까지 한국전 또는 베트남 전쟁 참전군인 383명을 대상으로 자료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Statistics Program을 이용하여 외상 후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자아-적응유연성의 매개효과를 계층적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참전 기간이 긴 경우(F=7.97, p<.001), 무직인 경우(t=2.09, p=.040), 경제 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F=64.49, p<.001) 외상 후 스트레스가 높았으며, 외상 후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매개변수인 자아-적응유연성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참전군인들의 우울 중재를 위해 자아-적응유연성 향상에 초점을 맞춘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및 국가 차원에서의 체계적인 관리가 요구된다.

치위생과 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경기지역 일부 학생을 중심으로 (The Influential Factors on Dental Hygiene Students' Adaptation to College Life)

  • 강현숙;소미현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5-37
    • /
    • 2021
  • Objectives: Reportedly, the main influential factors on students' adaptation to their college life were social support, stress, adaptation resilience, self-esteem, and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 This study tried to find the actual influence of these factors on dental hygiene students, and to find an intervention plan for improving their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preventing their dropout. Methods: An online questionnaire survey had been conducted with 270 dental hygiene students from June 21 to July 2, 2021.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the use of SPSS Program Version 22.0. Results: Firstly, students living together with their family, those satisfied with their major, and those doing a club activity related to their major scored high points in terms of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In addition, the adaptation points were high in those whose school entrance motivation was arbitrary, and in those who entered in the dental hygiene department in consideration of their aptitude. Secondly, college life stress was high in those whose entrance motivation was in other persons' will, those who entered in the department due to their school record and occupation, rather than aptitude, those who were also doing a part-time job, and those whose economic level was low. Thirdly, adaptation 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were high in those who were highly satisfied with their major, those who entered in the department in consideration of aptitude, and those whose economic level was high. Fourthly, the biggest influential factor on their adaptation to college life was college life stress, followed by self-esteem, satisfaction with major, and adaptation resilience in order. Conclusion: Given all the results, it is necessary to analyze dental hygiene students' levels of stress, self-esteem, social support, and adaptation resilience from the beginning of their entrance, and to operate a school life adaptation program in line with school years. If any customized support and training are given to these students to deal with a variety of stress situations resiliently and wisely and achieve their jobs successfully, it is expected to improve their self-esteem and adaptation resilience, and thereby increase their adaptation to college li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