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ream habitat

검색결과 414건 처리시간 0.024초

마산만에서의 담수 유입시 오염물의 이송 및 확산 (Advection and Diffusion of Pollutant Inflow of Freshwater in Masan Bay)

  • 유민욱;김영도;류시완;서일원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08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795-798
    • /
    • 2008
  • 하구는 담수와 해수가 만나 넓은 갯벌과 기수역을 형성하여 각종 생물의 서식지이자 어류의 산란지로 이용되는 생태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지역이다. 마산만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폐쇄성 수역으로 진해만의 가장 안쪽에 위치하며 외해로부터 9km 들어와 있으며, 만 입구의 폭이 1 km 미만으로 해류의 이동의 거의 없는 정체성 수역이다. 마산만산은 인근 마산, 창원 지역에 대규모 공단이 위치하며 100만에 이르는 인구로 인해 많은 오염물질이 유입되어 만의 오염을 가중 시키고 있다. 정체성 수역인 마산만의 특성상 유입되는 오염물은 외해로 배출되지 못하고 만 내부에 축적되어 오염을 가중 시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마산만 최내측에 위치한 창원천과 남천의 유입시 발생되는 수리적 거동을 2차원 유한요소 모형인 RMA-2모형 이용 모의하고 오염물질의 이송 및 확산을 RMA-4 모형을 이용하여 모의하였다. 또한 마산만 조위관측소의 조위자료를 활용하여 조위의 영향을 반영하였다.

  • PDF

우포늪 수계에서 부유물, 이온농도 및 서식지 특성에 대한 시 ${\cdot}$ 공간적 변이 분석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 Analysis of Suspended Solids, Ionic Contents, and Habitat Quality in the Woopo Wetland Watershed)

  • 배대열;최지웅;안광국
    • 생태와환경
    • /
    • 제39권4호통권118호
    • /
    • pp.498-507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2002년 8월부터 2003년 7월까지 우포늪 수계에서의 이온농도, 부유물 농도 및 서식지 특성에 대한 계절성 강우패턴의 영향을 평가하였다. 총부유물질(TSS)의 공간적 변이는 하절기의 장마기간 동안 가장 현저하게 나타났다. TSS 중 무기부유물의 상대비율(ISS:TSS)은 크게 증가했으며 이는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런 현상은 낙동강 본류로부터 역류하는 탁수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장마기간 동안 ISS:TSS의 비율은 상류(43%)보다 하류(92%)에서 크게 증가한 수치를 보였다. 또한 투명도는 하류역으로 갈수록 감소였으며 (평균=0.13 m, 범위=0.08-0.21), 탁수는 조류생장 및 1차생산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쳐 낮은 엽록소-a값 (범위=$4.2-8.6\;{\mu}g\;L^{-1}$)을 보였다. 2차 조사 시 ISS 농도는 평균 4 mg $L^{-1}$ (범위=3.3-4.8 mg $L^{-1}$)였고, 이런 값은 홍수기 조사인 1차 조사에 비해 14배나 감소한 수치였다. 한편, ISS는 크게 감소한데 비해 OSS의 상대비는 높게 증가했다. 이러한 현상은 3차 조사에서도 같은 양상으로 나타났으나 5월에 실시된 4차 조사에서는 상이한 결과를 보였다. 10개 변수를 기반으로 한 정량적 서식지 평가에 따르면, QHEI는 4차 조사에서 최대값을 보였으며, 2차 조사에서는 가장 큰 공간적 변이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장마기간의 집중강우는 토평천과 우포늪에서의 토사 침전 및 영양물질 순환에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설악산국립공원 멸종위기 산양(Naemorhedus caudatus) 개체군 크기와 서식지 이용 현황 (Current status of population size and habitat selection of the long-tailed goral(Naemorhedus caudatus) in Seoraksan National Park)

  • 조재운;김규철;권구희;김기윤;이배근;송병철;박종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710-717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설악산국립공원에 서식하는 멸종위기종 산양과 서식지의 보전 및 관리를 위해 산양의 분변 및 카메라트랩을 이용한 개체수와 서식지 이용 분석을 2010~2014년 동안 수행하였으며 생태학적 조사 방법(흔적조사, 카메라트랩조사)을 사용하였다. 분변 조사와 카메라트랩핑 분석 결과 각각 166개체 및 251개체의 산양이 설악산국립공원에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흔적조사(분변)를 통한 서식지 이용 특성 분석에서 산양은 경사도 $35^{\circ}{\sim}60^{\circ}$, 고도 600~700m, 향 북동, 수계와의 거리 0~50m, 도로와의 거리 300~600m, 활엽수림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카메라트랩 조사를 통한 산양 개체군 구성, 주간(07-18시)이 56.5%, 야간(18-07시)이 43.5%로 산양의 활동성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산양의 개체수와 서식지 이용 특성 분석은 향후 그들이 살아가는 서식지의 보전과 서식지의 관리를 위한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Vegetation structure an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Symplocos prunifolia, a rare evergreen broad-leaved tree in Korea

  • Kim, Yangji;Song, Kukman;Yim, Eunyoung;Seo, Yeonok;Choi, Hyungsoon;Choi, Byoungki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4권4호
    • /
    • pp.275-285
    • /
    • 2020
  • Background: In Korea, Symplocos prunifolia Siebold. & Zucc. is only found on Jeju Island. Conservation of the species is difficult because little is known about its distribution and natural habitat. The lack of research and survey data on the characteristics of native vegetation and distribution of this species means that there is insufficient information to guide the management and conservation of this species and related vegetat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distribution and vegetation associated with S. prunifolia. Results: As a result of field investigations, it was confirmed that the native S. prunifolia communities were distributed in 4 areas located on the southern side of Mt. Halla and within th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zones. Furthermore, thes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zones are themselves located in the warm temperate zone which are distributed along the valley sides at elevations between 318 and 461 m. S. prunifolia was only found on the south side of Mt. Halla, and mainly on south-facing slopes; however, small communities were found to be growing on northwest-facing slopes. It has been confirmed that S. prunifolia trees are rare but an important constituent species in th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of Jeju. The mean importance percentage of S. prunifolia community was 48.84 for Castanopsis sieboldii, 17.79 for Quercus acuta, and 12.12 for Pinus thunbergii; S. prunifolia was the ninth most important species (2.6). Conclusions: S. prunifolia can be found growing along the natural streams of Jeju, where there is little anthropogenic influence and where the streams have caused soil disturbance through natural processes of erosion and deposition of sediments. Currently, the native area of S. prunifolia is about 3300 ㎡, which contains a confirmed population of 180 individual plants. As a result of these low population sizes, it places it in the category of an extremely endangered plant in Korea. In some native sites, the canopy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formed, but the frequency and coverage of species were not high. Negative factors that contributed to the low distribution of this species were factors such as lacking in shade tolerance, low fruiting rates, small native areas, and special habitats as well as requiring adequate stream disturbance. Presently, due to changes in climate, it is unclear whether this species will see an increase in its population and habitat area or whether it will remain as an endangered species within Korea. What is clear, however, is that the preservation of the present native habitats and population is extremely important if the population is to be maintained and expanded. It is also meaningful in terms of the stable conservation of biodiversity in Korea.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judged that a systematic evaluation for the preservation and conservation of the habitat and vegetation management method of S. prunifolia should be conducted.

멸종위기 야생생물I급 흰수마자의 모래 선택과 잠입 행동에 관한 연구 (Substrate Selection and Burying Behaviour of Sand-dwelling Endangered Freshwater Fish, Gobiobotia naktongensis)

  • 김근식;허문성;김진;박창득;윤주덕
    • 생태와환경
    • /
    • 제56권4호
    • /
    • pp.375-383
    • /
    • 2023
  • 모래잠입 어류는 모래 하상에 잠입하여 살아가는 생물로, 잠입을 통해 포식자 회피, 먹이 포획, 에너지 보존 등 생존에 이득이 있다. 국내에 서식하는 흰수마자는 전형적인 모래잠입 특성을 보임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개체군 감소로 인해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되어있다. 본 연구에서는 흰수마자의 감소원인 파악을 위하여 모래크기 선호도 및 잠입 행동을 평가하였다. 전반적으로 1 mm 이하의 모래를 선호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유량에 따라 모래크기의 선택이 차이가 발생하였다. 또한 수온이 낮아짐에 따라 모래에 보다 깊이 잠입하였고, 잠입하는 깊이는 흰수마자의 크기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흰수마자의 모래 선호도 연구 결과 전반적으로 개체군이 감소하는 원인은 댐, 보 등의 건설로 인한 물리적인 하상구조의 변화로 사료되었다. 특히, 구조물 건설 상류부의 정수역 형성으로 인한 실트와 진흙의 하상 내 축적과 하류부에 세립질 퇴적물 유입 감소 및 침식으로 인한 장갑화로 서식처 변형이 발생하여 잠입에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흰수마자를 비롯한 모래잠입 어류는 모래 하상 구조가 생존 및 서식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이를 관리할 수 있는 효율적 전략 수립 및 서식지 관리가 필요하다.

충청남도 내륙습지 특성 및 기능평가 (Characteristics and Function Assessment of Inland Wetlands in Chungnam Province)

  • 박미옥;구본학;김하나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92-100
    • /
    • 2009
  • This study was surveyed from May to October, 2008 in order to classify type distribution and evaluate the function of inland wetland as a ecological axis in Chungnam province. Assessment was done by modified-RAM (Rapid Assessment Method). RAM is consisted of total 8 functions and divided into high, moderate, low. The conservation grade of RAM is divided into 4 grades; absolute conservation, conservation, improvement and restoration. Throughout survey on total 13 wetlands of Lacustrine, Palustrine wetland which are distributed in Chungnam province, their function was assessed. As result, the 2 wetlands were judged as absolute conservation grade by assessment of 8 functional contents, and 7 sites were improvement wetlands and 4 sites were conservation wetlands. The function of wetlands assessed as conservation grade showed high in water quality protection and improvement. Also, showed high in vegetation diversity, wildlife habitat and aesthetic recreation. Meanwhile, showed low in Water quality purification, Shoreline/Stream Bank Protection. Of wetlands evaluated as conservation grade, Jeong-juk Ji and Dun-ri reservoir were assessed as absolute conservative area. These wetlands are essential to be managed continuously as a area having high ecological value. Farther, these wetlands will be done as a axis of ecological network related to 'Kumbuk jeongmaek' ecosystem.

무주 남대천유역의 수문량 변화가 어류서식환경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Hydrologic Alteration on Fish Habitat in Mujoo Namdae Stream Basin)

  • 신우식;김수전;김연수;김형수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9년도 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1301-1305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금강권역에 속하는 무주 남대천유역의 유량변화가 유역의 대표어종인 피라미 서식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유량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미국의 Nature Conservency에서 개발한 수문변화지표법(Indicators of Hydrologic Alteration)을 사용하여 무주 남대천유역의 1966년${\sim}$2001년의 유량변화를 분석하였다. 유황특성이 바뀌는 1984년을 기준으로 1966년${\sim}$1983년과 1984년${\sim}$2001년의 두 기간으로 나누어 유량변화를 분석한 결과 유량은 증가하는 추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무주 남대천유역의 유량변화가 대표 어종인 피라미의 산란기인 4월${\sim}$5월과 치어기인 6월${\sim}$10월의 하천 서식환경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무주 남대천유역의 산란기에 영향을 미치는 4월${\sim}$5월과 치어기에 영향을 미치는 6월${\sim}$10월의 월 평균 유량을 구분하고 수리모형인 HEC-GeoRAS를 이용하여 하도구간의 유속과 수위를 산정함으로써 피라미가 선호하는 생태적 요구조건을 만족하는 서식처 조건의 변화정도를 검토하였다.

  • PDF

Distribution of Meiobenthic Arthropod Communities in the Hyporheic Zone of Nakdonggang

  • Lee, Chi-Woo;Park, Jong-Geun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5권1호
    • /
    • pp.157-165
    • /
    • 2016
  • The hyporheic zone is an ecologically important area for investigating habitat biodiversity. However, only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is aspect in Korea.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arthropod communities in the hyporheic zone of Nakdonggang River between 2012 and 2013. The meiobenthic arthropod communities found in the hyporheic zone were identified using a stereomicroscope and classified into 9 taxanomic groups. The abundance of arthropod communities was higher in the hyporheic zones of streams having well-formed sandbanks and gravelly areas. The arthropod communities found along the Nakdonggang River differed depending on the conditions of levees and the regions of the river from where they were collected. The frequency of species of the order Harpacticoida was high in the Nakdonggang main stream and western downstream region. The abundance of species belonging to Cyclopidae was high in the upstream region, midstream region, and eastern downstream region of the river. The frequency of species of the order Bathynellacea was high in the riverside parks or cement levees, but that of species belonging to Cyclopidae was high in the natural levees and gabion levees. Our findings suggested that arthropod communities preferred natural levees.

어류 스트레스 요인으로서 우리나라 하천의 산소과포화 실태 (Oxygen Supersaturation in Korean Streams as a Stress Factor to Fish)

  • 이새로미;이재용;최재석;김선정;안부영;김범철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13-218
    • /
    • 2012
  • Abnormal dissolved oxygen concentration in aquatic habitat, both depletion and supersaturation, can be stress factor to aquatic animals. In this study the nationwide distribution of oxygen supersaturation was analyzed for three categories of streams (43 urban streams, 15 rural streams, and 14 forest streams) by using monitoring network data of the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From the distribution analysis 30% of urban streams showed hyperoxic condition of eutrophic level, while no forest stream showed hyperoxic condition. The physiological effect of hyperoxia on fish was examined using two species of fish Zacco koreanus, which resulted in higher concentration of a stress hormone (cortisol) in fish exposed to hyperoxic concentration (196%) of oxygen. This study shows that hyperoxic condition is ubiquitous in urban and rural Korean streams, and it can be a stress factor to aquatic animals.

멸종위기어류 미호종개 $Cobitis$ $choii$ (Pisces: Cobitidae)의 분포양상 및 서식개체수 추정 (Distribution Status and Estimation of Population Size of the Endangered Species, $Cobitis$ $choii$ (Pisces: Cobitidae) in Guem River, Korea)

  • 고명훈;이일로;방인철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56-61
    • /
    • 2012
  • 멸종위기 어류 미호종개의 분포양상을 조사하고 대표서식지의 서식개체수를 추정하였다. 과거 (1984~2004)에는 20개 지점에서 출현하였으나 현재 (2006~2011)는 6개 지점에서만 서식이 확인되어 분포지역이 급격히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 출현지역은 대부분 모래로 이루어진 하천 하류부였으며 서식구간은 매우 협소하였다. 대표서식지인 백곡천과 지천의 서식개체수를 표지-재포획법 등으로 추정한 결과 백곡천은 9,106개체, 지천은 34,717개체가 서식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