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torage Stability

Search Result 1,878,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수분이 NaKZn-Chloride의 녹는점과 고온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oisture on the Melting Point and High-Temperature Stability of NaKZn-Chloride)

  • 이정환;김영;윤석호;이공훈;최준석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6권4호
    • /
    • pp.555-560
    • /
    • 2018
  • $NaCl-KCl-ZnCl_2$ 혼합물(NaKZn-Chloride)의 열물성을 조사하여 열저장 매체로서의 잠재성을 평가하였다. 고온용 축열물질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축열온도 범위에서 안정된 열물성을 유지하여야 하는데, 사전실험 결과 해당 혼합물은 알려진 고온안정온도인 $850^{\circ}C$ 보다 훨씬 낮은 온도에서 급격한 분해가 진행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흡수된 수분에 의해 축열물질의 열적 성질이 변화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혼합물의 수분함량에 따라 열물성이 변화되는 지를 열물성 장비로 측정하였으며, 가열-냉각 반복실험을 통해 다시 한 번 확인하였다. 그 결과 녹는 점의 경우 흡수된 수분에 관계없이 일정하지만, 고온 안정성의 경우 흡습한 샘플에서 다소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에 따라 흡습성을 가지는 고온 축열물질을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수분과의 접촉을 줄임으로써 축열물질의 손실을 줄일 수 있다.

연화제의 종류에 따른 다시마의 연화 안정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Softening Stability of Softened Sea Tangle Depending on Various Softening Agents)

  • 송재철;박현정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93-198
    • /
    • 2004
  • 본 연구는 저장 중 연화 다시마의 연화 안정성을 검토하여 다시마 다시마 가공품의 중간소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초산과 가열하여 연화시킨 다시마의 유연조직을 유지하기 위하여 친수성이 강한 연화제를 사용하여 경시적인 연화 안정성을Avrami equation 색깔 및 관능성 등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4일간 저장할 경우 ln( $E_{L}$- Et) vs t와의 관계에서 isomalto oligosaccharide의 기울기가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log(- ln( $E_{L}$- Et)/( $E_{L}$- $E_{O}$) vs log t의 관계에서도 Avrami equation의 exponent n는 1.00-1.67 범위에 있고 isomalto oligosaccharide의 exponent n는 1.00으로 가장 연화 안정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Rate constant는 isomalto oligosaccharide가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어 경시적으로 연화가 천천히 진행됨을 알 수 있었다. 연화제를 사용한 경우 연화 다시마의 명도(L), 적색도(a), 황색도(b)는 대부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관능성의 경우 색깔 선호도, 냄새, 가공적합성, 점조성, 연화 정도 및 전체 기호도 등은 isomalto oligosaccharide를 사용한 경우가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연화 다시마를 연화제로 처리하면 중간소재로서의 가치와 저장성, 관능적 가치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isomalto oligosaccharide를 사용하는 것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나타났다.다.

장기 저장연료의 열안정성 및 연료접촉 고무오링의 수명예측 연구 (A Study on the Thermal Stability of Long-Term Fuel Storage and Lifetime Estimation of Rubber O-ring in Contacted with Fuel)

  • 정근우;홍진숙;김영운;한정식;정병훈;권태수;서동욱;성민준;권영일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제34권5호
    • /
    • pp.197-207
    • /
    • 2018
  • Thermal deterioration of fuel due to long-term storage influences engine performance and causes malfunctions. Fuel stability is usually evaluated via heat resistance and thermal stability during a brief heat shock at high temperature; storage stability in this scenario means that there is very little change in the quality of the fuel during long-term storage. In addition, rubber-based products such as oil seals, O-rings, and rubber hoses can influence the quality of the fuel. When these rubber products are in contact with fuel, they can swell, mechanically weaken, and occasionally crack, thus leaking low molar weight rubber and additives including plasticizer and antioxidant into the fuel to degrade its properties and shorten its useful lifetime. This study determines the thermal stabilities of three kinds of synthetic fuels by evaluating their low temperature kinematic viscosities, chemical composition changes via GC analyses, gross heat of combustion, and color changes. We evaluate the compression set of O-rings by immersing one NBR and two FKM rubber O-rings in the three synthetic fuel samples in airtight containers at variable storage temperatures for six months; from this, we estimate the lifetimes of the O-rings using the Power law model. There were very little changes in the chemical compositions and gross heat of combustion after six months of the experiment. The lifetimes are thus dependent on the materials of the rubber products, and in particular, the FKM O-ring was calculated to have a theoretical lifetime of 200 to 5,700 year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synthetic fuels maintain their physical properties even after long-term storage at high temperatures, and the FKM O-ring is suitable for long-term sealing of these fuels.

혼합 방법과 보관 시간이 알지네이트 인상재의 체적 안정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mixing method and storage time on dimensional stability of alginate impressions materials)

  • 방현지;심현아;조영은;박은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8권2호
    • /
    • pp.86-94
    • /
    • 2020
  • 목적: 전통적인 알지네이트와 체적 안정성을 개선한 두 종류의 extended-pour 알지네이트에서 혼합 방법과 보관 시간에 따른 체적 안정성 차이를 평가하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금속 주모형을 제작하여 한 종류의 전통적인 알지네이트와 두 종류의 extended-pour 알지네이트로 군 당 40개 씩(수동 혼합 20개, 자동 혼합 20개) 인상 채득 후 즉시, 2일, 5일, 6일 보관 기간에 따라 군당 5개씩의 석고 모형 제작하였고, 3D 테이블 스캐너로 모델 스캔 후 스캔 데이터를 중첩하여 변화량을 측정하였다. 통계 분석으로 일반선형모형을 사용하였고 Tukey의 방법으로 사후검정 시행하였다 (P < .001). 결과: 혼합 방법에 따른 정확도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모든 군에서 즉시 석고 주입한 경우 가장 적은 부피 변화를 보였다. 2일 보관 후 석고 주입 시 군 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보관 5일 후 extended-pour 알지네이트의 경우 전통적인 알지네이트에 비해 더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전통적인 알지네이트는 2 - 5일에서, extended pour alginate의 경우 5 - 6일에서 급격한 부피 변화를 보였다. 결론: 알지네이트의 혼합 방법은 체적 안정성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extended-pour 알지네이트가 전통적인 알지네이트보다 장시간 체적 안정성이 우수하나 가급적 빠른 시간 내에 석고를 주입하는 것이 권장된다.

Hydrocolloid를 첨가한 연화 다시마 Paste의 품질 안정성 (Quality Stability of a Softened, Sea Tangle Paste by Various Hydrocolloids during Storage)

  • 송재철;박현정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46-253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초산과 가열로 연화된 다시마의 유연조직을 유지하기 위하여 친수성이 강한hydrocolloid를 사용, 저장 중 연화 안정성, 열 용융 특성 및 점성, 관능성 등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Avrami equation에서 고화속도상수는 carrageenan이 0.05로 가장 작게 나타났으며 저장기간 동안 연화 다시마 paste의 경도는 carrageenan의 경우는 저장 2일후에 거의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또 경도속도는 carrageenan이 0.28 kg/mm/day로 가장 작게 나타났다. 연화 다시마 paste의 열용융 신전성(伸剪性)은 carrageenan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동특성은 rheopectic을 나타내었다. 특히 carrageenan은 경시적인 점성 변화가 가장 적게 일어났으며 유의차(p<0.05)를 나타내었다. 연화 다시마의 L, a, b값의 변화는carrageenan의 경우 다른 것과 유의차를 보였으며(p<0.05) 색깔 선호도, 냄새, 응집성, 연화 정도, 가공 접합성, 그리고 전반적인 기호성 등은 carrageenan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친수성 hydrocolloid의 사용은 연화 다시마 Paste의 품질과 저장 안정성에 좋은 영향을 미치고 그 중 carrageenen이 연화 안정성에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녹차를 첨가한 마요네즈의 산화안정성 (Oxidative Stability of Green Tea-Added Mayonnaise)

  • 박찬성;박어진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07-412
    • /
    • 2002
  • 녹차를 첨가한 마요네즈의 신화아정성을 조사하기 위하며 대두유, 난황, 식초, 설탕, 식염과 녹차의 분말을 0~0.5% 첨가하여 마요네즈를 제조한 후, 5$^{\circ}C$, 15$^{\circ}C$, $25^{\circ}C$에 13주간 저장하면서 과산화물가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마요네즈를 5$^{\circ}C$, 15$^{\circ}C$, $25^{\circ}C$에 13주간 저장했을 때, 대조구의 과산화물가는 각각 28, 63.5, 144.4 meq/kg 으로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산화가 촉진되었다. 2. 녹차의 마요네즈에 대한 항산화작용은 녹차의 첨가농도에 비례하였으나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그 효과는 감소하였다. 3. 녹차의 첨가는 마요네즈 유지 산화에 대한 유도기간을 연장하는 효과가 있었으며 녹차 분말을 0.5% 첨가했을 때 전 저장 온도에서 유의적인 유도기간의 연장효과를 볼 수 있었다(p<0.05). 4. 마요네즈에 0.1%의 녹차를 첨가했을 때의 상대적 항산화효과는 5, 15, $25^{\circ}C$에서 각각 226%, 188%, 143%였으며 마요네즈에 첨가하는 녹차 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녹차를 마요네즈의 산화를 방지할수 있는 천연 항산화제로서 이용할 수 있는 충분한 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알긴산 나트륨이 장용코팅된 란소프라졸 제제의 저장안정성 및 용출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Sodium Alginate Coating on the Storage Stability and Dissolution Rate of Enteric Coated Lansoprazole)

  • 김정훈;오정민;강길선;정제교;이정식;정상영;이해방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2권4호
    • /
    • pp.277-284
    • /
    • 2002
  • Lansoprazole, pharmaceutics for acid-related diseases, is unstable in low pH environments and generally coated with enteric polymer to obtain gastroresistance in stomach. Because its storage stability is influenced by acidic substitutes of enteric polymer, alkaline chemicals wεre generally addεd to dosage form as a stabilizer. In this experience, we coated lansoprazole bead with sodium alginate and evaluated the effect of bead size and sodium alginate coating on the storage stability and dissolution profile of lansoprazole. Sodium alginate solution containing lansoprazole was sprayed as a droplet into 3% (w/v) $CaCl_2$ solution and the resultant bead was coated with starch, sodium alginate, and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phthalate. The content of lansoprazole granule not coated with sodium alginate decreased to 57.96% of initial content when stored at a severe condition for 4 weeks, but that of lansoprazole granule coated with sodium alginate before enteric coating decreased little and as the thickness of sodium alginate film increased, the content of bead didn't decreased for 4 weeks. Sodium alginate film also improved the gastroresistance without much influencing the maximum dissolution rate.

Bleeding Efficiency and Meat Oxidative Stability and Microbiological Quality of New Zealand White Rabbits Subjected to Halal Slaughter without Stunning and Gas Stun-killing

  • Nakyinsige, K.;Fatimah, A.B.;Aghwan, Z.A.;Zulkifli, I.;Goh, Y.M.;Sazili, A.Q.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7권3호
    • /
    • pp.406-413
    • /
    • 2014
  • A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effect of halal slaughter without stunning and gas stun killing followed by bleeding on residual blood content and storage stability of rabbit meat. Eighty male New Zealand white rabbi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f 40 animals each and subjected to either halal slaughter without stunning (HS) or gas stun-kill (GK). The volume of blood lost during exsanguination was measured. Residual blood was further quantified by determination of haemoglobin content in Longissimus lumborum (LL) muscle. Storage stability of the meat was evaluated by microbiological analysis and measuring lipid oxidation in terms of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HS resulted in significantly higher blood loss than GK. HS had significantly lower residual haemoglobin in LL muscle compared to GK. Slaughter method had no effect on rabbit meat lipid oxidation at 0, 1, and 3 d postmortem. However, at 5 and 8 days of storage at $4^{\circ}C$,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were found, with meat from the GK group exhibiting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MDA than that from HS. At day 3, greater growth of Pseudomonas aeroginosa and E. coli were observed in the GK group (p<0.05) with B. thermosphacta and total aerobic counts remained unaffected by slaughter method. At days 5 and 7 postmortem, bacterial counts for all tested microbes were affected by slaughter method, with GK exhibiting significantly higher growth than HS. It can be concluded that slaughter method can affect keeping quality of rabbit meat, and HS may be a favourable option compared to GK due to high bleed out.

Stability and Intra-Individual Variation of Urinary Malondialdehyde and 2-Naphthol

  • Lee, Kyoung-Ho;Kang, Dae-Hee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1권3호
    • /
    • pp.195-199
    • /
    • 2008
  • Objectives : Malondialdehyde (MDA), a lipid peroxidation by-product, has been widely used as an indicator of oxidative stress. Urinary 2-naphthol, a urinary PAH metabolite, is used as a marker of ambient particulate exposure and is associated with lung cancer an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However, the stability and intra-individual variation associated with urinary MDA and 2-naphthol have not been thoroughly addresse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stability and intra-individual variation associated with urinary MDA and 2-naphthol. Methods : Urine samples were collected from 10 healthy volunteers (mean age 34, range $27{\sim}42$ years old). Each sample was divided into three aliquots and stored under three different conditions. The levels of urinary MDA and 2-naphthol were analyzed 1) just after sampling, 2) after storage at room temperature ($21^{\circ}C$) for 16 hours, and 3) after storage in a $-20^{\circ}C$ freezer for 16 hours. In addition, an epidemiological study was conducted in 44 Chinese subjects over a period of 3 weeks. The urinary MDA and 2-naphthol were measured by HPLC three times. Results :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levels of urinary MDA and 2-naphthol between the triplicate measurements (n=10, p=0.84 and p=0.83, respectively). The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s (ICC) for urinary MDA and 2-naphthol were 0.74 and 0.42, respectively. However, the levels of PM2.5 in the air were well correlated with the levels of both MDA and 2-naphthol in the epidemiological study.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urinary MDA and 2-naphthol remain stable under variable storage conditions, even at room temperature for 16 hours, and indicate that these markers can be used in epidemiological studies involving various sample storage conditions. The intra-CC of urinary 2-naphthol and MDA were acceptable for application to epidemiological studies.

전자선 조사가 분쇄 돈육의 저장 중 산화와 미생물적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lectron Benm Irradiation on the Oxidative and Microbiological Stability of Ground Pork during Storage)

  • 고광환;황기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16-321
    • /
    • 2002
  • 본 실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전자선의 처리는 돈육의 냉장, 냉동 중 일반세균과 중온균의 증식 억제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전자선의 조사량이 증가할 수록(1.5에서 3.0 kGy로) 그 효과는 더욱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에서 사용한 전자선 1.5와 3.0 kGy는 그 조사량이 매우 낮은 수준이므로 조사량을 증가시키면 살균효과는 증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전자선의 처리가 지방의 산패를 촉진한다는 결과는 충분히 예상한 결과였고 본 실험에서도 전자 건의 조사량이 증가할수록(1.5에서 3.0 kCy로) 산패는 더욱 촉진되었다. 따라서 전자선 처리의 살균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는 전자선을 조사하여도 돈육의 산패도는 전자선을 조사하지 않은 돈육의 수준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방법이 필수적으로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방법으로는 전자선의 조사 속도를 조절한다든지 공기조절 포장 방법($N_2$, $CO_2$) 과의 병용 등을 들 수 있을 것이다. 전자선을 식품에 활용하는 작업은 그 유용성이 무궁 무진 할 수 있으므로 앞으로도 그 활용이 기대되며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는 전자선 조사에 의 한 지방의 산패를 억제 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