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erol

검색결과 578건 처리시간 0.023초

참산부추(Allium sacculiferum Max.) 메탄올 추출물의 지방세포 내 ROS 생성 및 지질 축적 억제 효능 (Inhibitory Effects of Allium sacculiferum Max. Methanol Extracts on ROS Production and Lipid Accumulation during Differentiation of 3T3-L1 Cells)

  • 최혜영;김건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822-82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3T3-L1 지방전구세포를 이용하여 Allium 속 식물의 하나인 참산부추(ASM) 메탄올 추출물의 ROS 생성 저해 및 지질 축적 억제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먼저 ASM 메탄올 추출물 $100{\sim}2,000{\mu}g/mL$의 모든 농도에서 유의적인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었으며, 지방전구세포에 ASM 메탄올 추출물 $10{\sim}100{\mu}g/mL$를 처리하였을 때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지방세포 내 ROS 관련 효소와 분화 관련 전사인자의 조절로 인한 중성지방 축적 저해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지방전구세포를 분화 유도하면서 추출물을 농도별(10, 50, $100{\mu}g/mL$)로 처리하였다. 그 결과 ASM 메탄올 추출물은 대조군에 비해 ROS 생성량과 ROS 관련 효소인 G6PDH mRNA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켰다. 또한 ASM 메탄올 추출물에 의하여 지방세포 내 중성지방 축적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지방세포 분화에 관련된 전사인자인 SREBP1c, $PPAR{\gamma}$$C/EBP{\alpha}$ mRNA 발현도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들로 볼 때 ASM 메탄올 추출물로 인한 ROS 생성 저해와 지질 축적 억제는 ROS 생성 및 ROS 관련 유전자의 발현감소로 인한 지방 생성 주요 전사인자의 유전자 발현 억제로 인한 것으로 보이며, ASM이 항비만 효과가 있는 천연물 소재로 개발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지방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Acacia catechu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 (Effect of Acacia catechu Extract on 3T3-L1 Preadipocyte Differentiation)

  • 김동규;강민정;서화진;권오운;신정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8호
    • /
    • pp.1107-1113
    • /
    • 2016
  • 지방전구세포가 지방세포로 분화하는 과정에서 아선약 추출물의 영향을 확인하고자 분화유도제를 처리하여 3T3-L1 세포에서 아선약의 세포독성, 지방축적 억제 효과, triglyceride 억제 효능, 지방분화 관련 단백질들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아선약 추출물을 최대 $200{\mu}g/mL$ 농도까지 세포에 처리하여 세포독성을 측정한 결과 아선약 추출물은 $100{\mu}g/mL$ 이하의 농도에서는 세포에 독성을 유발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Oil red-O 염색을 통해 지방축적률을 확인한 결과 아선약 추출물에 의한 농도 의존적인 지방축적의 감소 효과가 있었다. Triglyceride 생성량 역시 농도 의존적인 감소가 확인되었다. 아선약에 의한 지방분화의 감소가 어떠한 기작에 의해 조절되는지 확인하고자 관련 지표단백질인 $PPAR{\gamma}$와 SREBF-1 그리고 $C/EBP{\alpha}$의 발현량 변화를 확인해본 결과 $100{\mu}g/mL$ 농도에서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아선약 추출물은 지방세포의 분화억제와 분화된 지방세포의 지방축적을 저해함으로써 항비만 효과를 유도할 것으로 기대된다.

An Effect of Dietary Chlorella on Bone Mineral Density in Postmenopausal Women

  • Yong-Ho Kim;Yoo-Kyeong Hwang;Su-Mi Ko;Jung-Min Hwang;Yong-Woo Lee;Hee-Kyung Seong;Dong-Uk Kim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17-221
    • /
    • 2002
  • Age-related osteopenia and osteoporosis are common in postmenopausal women due to decrease in bone mass and ovarian function. A therapy for osteoporosis would depend on only drugs to inhibit bone loss, hormonal replacement therapy, exercise and dietary supplementation and it is very hard to fad an ideal therapy for osteoporosis as yet. Chlorella which is rich in minerals such as calcium magnesium fatty acids, vitamins and sterol, could be applicable for prevention and co-treatment of osteoporosis, but it has yet to be studi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ffect of dietary chlorella on bone mineral density (BMD) and nutritional improvement. BMD was measured in the femural neck and lumber spine portion. Nutritional and bone turnover markers from blood samples were assessed serum lkaline phosphatase, hemoglobin, number of erythrocytes and total protein. Studies for the femur neck measurement showed that normal BMD increased 2.1% for the group fed chlorella supplemented diet for four month and increased 6.6% fur group treated for one year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d for the lumber spine measurements the few month group showed an increase of 9.1% over the control group, the one year group showed an increase of 64.2% over the control group. Hemoglobin content, number of erythrocytes and total protein showed similar increased patterns with BMD measurement, meanwhile, serum alkaline phosphatase increased 3% for the four month group and decrease 16% for the one year group compare to the control group. In conclusion, the postmenopausal women fed chlorella supplemented diet results in an increase in BMD. This is a marked increment in lumber spine, enhancement of nutritional state and stable bone turnover. This data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BMD and nutritional change with chlorella treatment, and suggested that chlorella dietary may lead to improving and preventing rapid loss of BMD in postmenopausal women.

  • PDF

간 실질세포주에서 니호채(泥胡菜) 분획물이 liver X receptor α 의존적 지방 생성 유전자의 발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Hemistepta lyrata Bunge (Bunge) fractionated extract on liver X receptor α-dependent lipogenic genes in hepatocyte-derived cells)

  • 김재광;조일제;김은옥;정대화;구세광;김상찬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55-269
    • /
    • 2020
  • Objectives : Hemistepta lyrata Bunge (Bunge) is a wild herb that has been used for managing fever and wound in Korean Traditional Medicine. The present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H. lyrata extract on liver X receptor (LXR) α-dependent lipogenic genes in hepatocyte-derived cells. Methods : After HepG2 cells or Huh7 cells were pre-treated with 1-10 ㎍/mL of H. lyrata extract or its fractionated extract for 0.5 h, the cells were subsequently exposed to LXR ligand for 6-24 h. Cell viability, LXR response element (LXRE)-driven luciferase activity, sterol regulatory element binding protein-response element (SREBP-RE)-driven luciferase activity, SREBP-1c expression, and mRNA levels of LXRα and its-dependent target genes were determined. In addition, LC-MS/MS analysis was conducted to explore major compounds in H. lyrata-chloroform fractionated extract #4 (HL-CF4). Results : Of various H. lyrata extracts tested, chloroform extract and its fractionated extract #4, HL-CF4, significantly decreased T0901317-mediated SREBP-1c expression. In addition, HL-CF4 significantly reduced LXRE atransactivation and LXRα mRNA expression without any cytotoxicity. Moreover, HL-CF4 prevented the SREBP-RE-driven luciferase activity and mRNA levels of fatty acid synthase and stearoyl-CoA desaturase-1 induced by T0901317. Results from LC-MS/MS analysis at positive/negative mode indicated that HL-CF4 contained several compounds showing m/z 197.1176 (C11H17O3), 693.2913/227.1069 (C38H45O12/C15H15O2), 203.1797 (C15H23), 181.1225 (C11H17O2), 591.2957 (C35H43O8), 379.1040 (C18H19O9), 409.1509 (C20H25O9), 309.1348 (C16H21O6), 391.1404 (C20H23O8), and 669.2924/389.1248 (C36H45O12/C20H21O8). Conclusion : Based on its inhibition of the LXRα-dependent signaling pathway, H. lyrata chloroform extract and HL-CF4 have prophylactic potentials for managing non-alcoholic fatty liver.

High maysin corn silk extract reduces body weight and fat deposition in C57BL/6J mice fed high-fat diets

  • Lee, Eun Young;Kim, Sun Lim;Kang, Hyeon Jung;Kim, Myung Hwan;Ha, Ae Wha;Kim, Woo Kyoung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0권6호
    • /
    • pp.575-582
    • /
    • 2016
  • BACKGROUNG/OBJECTIVES: The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and mechanisms of action of high maysin corn silk extract on body weight and fat deposition in experimental animals. MATERIALS/METHODS: A total of 30 male C57BL/6J mice, 4-weeks-old, were purchased and divided into three groups by weight using a randomized block design. The normal-fat (NF) group received 7% fat (diet weight basis), the high-fat (HF) group received 25% fat and 0.5% cholesterol, and the high-fat corn silk (HFCS) group received high-fat diet and high maysin corn silk extract at 100 mg/kg body weight through daily oral administration. Body weight and body fat were measured, and mRNA expression levels of proteins involved in adipocyte differentiation, fat accumulation, fat synthesis, lipolysis, and fat oxidation in adipose tissue and the liver were measured. RESULTS: After experimental diet intake for 8 weeks, body weight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HFCS group compared to the HF group (P < 0.05), and kidney fat and epididymal fat pad weight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HFCS group compared to the HF group (P < 0.05). In the HFCS group,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beta}$,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gamma}1$ (PPAR-${\gamma}1$), and PPAR-${\gamma}2$ mRNA expression levels were significantly reduced (P < 0.05) in the epididymal fat pad, whereas cluster of differentiation 36, lipoprotein lipase, acetyl-CoA carboxylase-1, sterol regulatory element binding protein-1c, pyruvate dehydrogenase kinase, isozyme-4,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and stearoyl-CoA desaturase-1 mRNA expression level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liver and adipose tissues (P < 0.05). In the HFCS group, mRNA expression levels of AMP-activated protein kinase, hormone-sensitive lipase, and carnitine palmitoyltransferase-1 were elevated (P < 0.05). CONCLUSIONS: It can be concluded that high maysin corn silk extract inhibits expression of genes involved in adipocyte differentiation, fat accumulation, and fat synthesis as well as promotes expression of genes involved in lipolysis and fat oxidation, further inhibiting body fat accumulation and body weight elevation in experimental animals.

Brassinosteroid의 대사공학 (Metabolic Engineering of the Brassinosteroid Biosynthetic Pathways)

  • 이미옥;송기홍;이현경;정지윤;최빛나리;최성화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29권2호
    • /
    • pp.139-144
    • /
    • 2002
  • Sterols play two major roles in plants: a bulk component in biological membranes and precursors of plant steroid hormones. Physiological effects of plant steroids, brassinosteroids (BRs), include cell elongation, cell division, stress tolerance, and senescence acceleration. Arabidopsis mutants that carry genetic defects in BR biosynthesis or its signaling display characteristic phenotypes, such as short robust inflorescences, dark-green round leaves, and sterility. Currently there are more than 100 dwarf mutants representing 7 genetic loci in Arabidopsis. Mutants of 6 loci, dwf1/dim1/cbb1, cpd/dwf3, dwf4, dwf5, det2/dwf6, dwf7 are rescued by exogenous application of BRs, whereas bri1/dwf2 shares phenotypes with the above 6 loci but are resistant to BRs. These suggest that the 6 loci are defective in BR biosynthesis, and the one locus is in BR signaling. Biochemical analyses, such as intermediate feeding tests, examining the levels of endogenous BR, and molecular cloning of the genes revealed that dwf7, dwf5, and dwf1 are defective in the three consecutive steps of sterol biosynthesis, from episterol to campesterol via 5-dehydroepisterol. Similarly, det2/dwf6, dwf4, and cpd /dwf3 were shown to be blocked in D$^4$reduction, 22a-hydroxylation, and 23 a-hydroxylation, respectively. A signaling mutant bril/dwf2 carries mutations in a Leucine-rich repeat receptor kinase. Interestingly, the bri1 mutant was shown to accumulate significant amount of BRs, suggesting that signaling and biosynthesis are dynamically coupled in Arabidopsis. Thus it is likely that transgenic plants over-expressing the rate-limiting step enzyme DWF4 as well as blocking its use by BRIl could dramatically increase the biosynthetic yield of BRs. When applied industrially, BRs will boost new sector of plant biotechnology because of its potential use as a precursor of human steroid hormones, a novel lead compound for cholesterol-lowering effects, and a various application in plant protection.

참취(Aster scaber Thunb.)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와 3T3-L1 지방전구세포에서의 지방분화 억제 효과 (Antioxidant Activity and Inhibitory Effect of Aster scaber Thunb. Extract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in 3T3-L1 Cells)

  • 최준혁;박윤희;이인선;이삼빈;유미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356-363
    • /
    • 2013
  • 최근 연구에서 활성 산소 및 비만에 대한 유전자 발현이 비만과 노화를 촉진시키는 원인으로 주목 받고 있으며, 이를 통해 노화와 비만의 억제 체계를 규명하려는 다양한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전국 각지의 산야지에 자생하며 농가에서 재배하기도 하는 국화과에 속하는 식물인 참취(Aster scaber Thunb.)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력과 3T3-L1 전구지방세포의 지방세포형성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참취 메탄올 추출물에 존재하는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57.07{\pm}2.17$, $54.62{\pm}2.24{\mu}g/mg$으로 나타났다. 시료의 DPPH, ABTS radical 소거 활성을 측정한 결과 $RC_{50}$값이 각각 $22.24{\pm}0.40$, $53.19{\pm}1.61{\mu}g/mL$로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냈다. 참취의 메탄올 추출물이 3T3-L1 전구지방세포에서 분화유도 물질(IBMX, DEXA, Insulin)과 함께 처리했을 때 지방구의 형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켰다. 또한 이들은 지방세포의 증식 및 분화되는 과정에서 발현되는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 및 관련 유전자의 단백질 발현과 mRNA 발현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참취 메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비만에 우수한 효능을 가지는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Progesterone, Estradiol 17 beta 및 Cholesterol Sucrose 층으로부터 정자의 Swim-up 분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ogesterone, Estradiol 17 beta and Cholesterol on Sperm Swim-up Separation through Sucrose Layer)

  • 김경화;여영근;박영식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91-300
    • /
    • 1998
  • 난포액에 함유되어 있는 steroids와 sterol이 수정에 참여하는 정자의 주화성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기 위하여, progesterone, estradiol 17 beta 및 cholesterol이 sucrose 층으로부터 정자의 swim-up 분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던 바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Progesterone은 정자의 이동과 운동성을 억제하였으나 수정능획득한 정자를 유인하였으며, 특히 50$\mu$g/ml 수준의 progesterone은 수정능력을 획득한 정자의 이동을 유의하게 자극하였다. 2. Estradiol 17 beta의 첨가수준이 증가할수록 정자의 이동과 운동성이 억제되었으나, 10$\mu$g/ml 수준의 estradiol은 정자의 이동과 운동성 및 수정능획득정자의 이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3. Cholesterol은 정자의 이동과 운동성을 자극하였으나, 수정능획득정자의 이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특히 50$\mu$g/ml 수준의 cholesterol은 정자의 이동과 운동성을 유의하게 자극하였다. 4. Progesterone, estradiol 및 cholesterol의 병용처리에서, cholesterol은 정자의 이동과 운동을 유의하게 자극하였으나, progesterone과 estradiol은 이러한 cholesterol의 효과를 감소시켰다. Progesterone은 수정획득 정자의 이동을 자극하였으나 estradiol이나 cholesterol은 progester-one의 이러한 효과를 억제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progesterone은 50$\mu$g/ml 첨가수준에서 수정능력을 획득한 정자의 swim-up이동을 유의하게 자극하였으며, cholesterol은 50$\mu$g/m1 첨가수준에서 정자의 이동을 자극하였으나, estradiol은 10$\mu$g/m1 첨가수준에서 정자의 이동과 운동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PDF

앵두(Prunus Tomentosa Thunberg)씨의 지방질 조성 및 단백질 패턴 (Lipid Composition and Protein Pattern of Prunus Tomentosa Thunberg Seed)

  • 윤형식;박진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48-252
    • /
    • 1985
  • 비이용 자원의 효율적인 이용의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앵두씨의 지방질 조성 및 단백질 패턴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성분 중 조지방질과 조단백질의 함량은 각각 40.38% 및 26.59%였다 앵두씨의 지방질은 중성지방질이 95.4%인 반면에 복합지방질은 4.51%에 불과하였으며, 중성지방질의 성분으로는 트리-글리세리드가 89.86%로서 대부분이었고. 스테롤 4.14%. 모노-글리세리드 2.98%, 스테롤 에스테르 1.77%. 유리지방산 1.07% 및 디 -글리세리드 0.18% 였다. 지방산 조성은 총 지방질, 중성지방절 및 트리 글리세리드에서 올레산(65.06$\sim$66.05%)와 리놀레산(26.56$\sim$28.40%)이 주된 구성 지방산이었고, 당지방질파 인지방질의 경우에는 올FP산(40.55$\sim$51.46%)의 함량이 다른 획분의 함량에 비해 적은 반면, 팔미트산(17.64$\sim$21.43%)과 스테아르산(4.14$\sim$8.07%) 의 함량이 높았으며, 소량의 라오르산도 함유되어 있었다. 염용해성 단백질의 추출율은 약 60%였으며, 분획된 주단백질의 수득율은 약 46.5% 였고 전기영동 결과 7개의 밴드가 확인되었다.

  • PDF

복분자와 홍삼 발효 추출물의 복합투여가 고지방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섭취한 흰쥐의 지질대사 및 비만에 미치는 영향 (Co-treatment with Fermented Black Raspberry and Red Ginseng Extracts Improves Lipid Metabolism and Obesity in Rats Fed with a High-fat and High-cholesterol Diet)

  • 이민정;최혜란;이정현;이수정;권지웅;최경민;차정단;황승미;박종혁;이상천;박필재;이태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364-372
    • /
    • 2015
  • 이 연구는 고지방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12주 동안 랫트에게 공급하여 복분자와 홍삼, 복분자와 홍삼 발효 추출물의 지질대사 및 비만 개선효과를 조사하였다. 정상식이, 고지방 고콜레스테롤 식이, 양성대조군, 유산균발효군, 복분자와 홍삼, 복분자와 홍삼 발효 추출물 투여군의 체중증가, 음수, 식이 섭취량은 그룹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혈중 HDL-콜레스테롤은 고지방 고콜레스테롤 식이와 비교 했을 때 복분자와 홍삼 발효 추출물에서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으며, LDL-콜레스테롤, 중성지방은 유의적인 감소율을 보였다. 또한, 간 조직에서 복분자와 홍삼 발효추출물 처치에 의해 HMG-CoA reductase, LDL receptor 및 SREBP-2 mRNA의 발현 증가와 지방생성 억제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복분자와 홍삼 발효 추출물 투여군은 비만인자인 혈중 leptin과 FAS의 농도를 유의적으로 감소시켰을 뿐만 아니라 대변에서 체내 콜레스테롤 배출을 증가시켰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보아 복분자와 홍삼 발효 추출물은 혈중 지질 대사 및 비만의 예방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