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ages of Concern(SoC)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34초

CBAM의 관심단계에 관한 쟁점 연구 (A Study on Controversial Issues related to Stages of Concern)

  • 김혜나;김대현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3권2호
    • /
    • pp.162-181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eal controversial issues on Stages of Concern(SoC), which is one of the dimensions of Concerns Based Adoption Model(CBAM). To achieve the purpose, documental analysis was employed. The theoretical framework to analyze literature consisted of three categories including stages, measurements, and applications. Based on the framework, controversial issues on SoC were discussed regarding arguments of CBAM developers and critics. The researchers of this study suggested their own opinions on the issues after thorough examination of CBAM developer's arguments and oppositions against them. Finally,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on issues of SoC and studies measuring SoC were made.

2007 개정교육과정 통합교과의 "통합단원" 실행에 관한 교사들의 관심도 분석 (An Analysis on Elementary Teachers' Stages of Concern to Intergrated Units of Revised National Elementary Integrated Curriculum in 2007)

  • 김은주;양무열;김대현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2권2호
    • /
    • pp.287-302
    • /
    • 2010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figure out elementary school teachers' Stages of Concern(SoC) between senior teachers and new comers to integrated units of integrated curriculum which was revised in 2007 and applied in 2009 by using CBAM. Seventy-four home-room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took part as participants. For data collection, as Hall and Hord suggested in 2005, Questionnaire of Stages of Concern was used. Profiling of teachers' concern and one-way ANOVA were employed in data analysis. In the results, 55% of the teachers were in the stage of Awareness. In the stage of Informational, 22% of the teachers were appeared. Most of elementary teachers' concern about integrated units was closed to indifference of self-interest level. The difference of concern between senior teachers and others will be illustrated as findings. The results of the study provided that factors which influenced teachers' concern about the curriculum. Physical factors such as a curriculum guideline or on-line system to access boarder-cross curriculum influenced teachers' concern. Little intervention about the boarder-cross curriculum appeared in elementary schools. The authors of the study suggested to emphasizing the roles of facilitator for the revised curriculum.

An Analysis of Science Teachers’ Stages of Concern and Levels of Use on Descriptive Assessment

  • Kim, Sungki;Paik, Seounghey
    • 대한화학회지
    • /
    • 제60권5호
    • /
    • pp.353-361
    • /
    • 2016
  •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science teachers’ stage of concern (SOC) and level of use (LoU) on descriptive assessment and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 and LoU. To achieve this, concerns-based adoption model (CBAM) was used, and a survey was conducted on 138 science teachers. The data from this study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percentile analysis based on CBAM, χ2 test, and Spearman correlation analysis. SoC and LoU of the science teachers observ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cience teachers’ overall SoC for the descriptive assessment was low and showed a typical pattern of the initial stage when the program was introduced. Second, LoU analysis on descriptive assessment showed that the “mechanical Use” (N=49, 35.5%) or “routine” (N=48, 34.8%) accounted for the majority. Third, the Spearman correlation between SoC and LoU on descriptive assessment was .299(p<.01). This suggests that teachers’ SoC needs to be increased in order to promote higher LoU on descriptive assessment, which requires new alternative measures.

중·고등학생의 과학과 자기주도학습에 대한 관심수준 및 실행수준 분석 (Analysis o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tages of Concern and Levels of Use on Self-directed Learning in Science Learning)

  • 최혜정;정진수;김상호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9권1호
    • /
    • pp.28-43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과 자기주도학습에 대한 학생의 관심수준 및 실행수준을 관심에 기초한 교육과정 실행 모형(Concerns-Based Adoption Model: CBAM)을 바탕으로 분석하고 이들 간의 상관성을 조사하여 학생 개인의 관심수준에 맞는 자료를 제공하고 보다 높은 실행수준으로 향상될 수 있도록 지원책을 제시하고자하는 데 있다. 선행 연구들을 분석하여 학생의 과학과 자기주도학습에 대한 관심수준과 실행수준을 분석하기 위한 분석틀을 개발하고 이를 바탕으로 측정 도구를 개발하였다. 중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하고 그 결과를 집단(지역, 학년, 성별)별로 나누어 비교 분석하였다. 과학과 자기주도학습에 대한 학생의 관심수준은 단계0 무관심이 가장 많았고, 실행수준은 수준 II 준비 단계가 가장 많았다. 집단 간의 비교에서는 관심수준은 성별에서 통계적으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은 관심수준을 보였고, 실행수준은 중학생보다 고등학생이 높은 실행수준을 보이고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높은 실행수준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관심수준과 실행수준의 상관성 분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 PDF

2009 개정 창의적 체험활동에 관한 고등학교 교사들의 관심도 분석 (An Analysis on High School Teacher's Stages of Concern on 'Creative-Experience Activity' in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 박한숙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5권4호
    • /
    • pp.958-972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on high school teachers' stage of concern(SoC) on 'Creative-Experience Activity' in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investigate the improvements of their level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234 high school teachers through out all part of the Korea country. The instrument for this study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Hall & Hord(2006)'s stage of concerns questionnaire of Stage of Concern. The Data were analyzed by Profiling of teachers' concern and one-way ANOVA.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85.25% of the high school teachers were in stage of Awareness. 6.34% of teachers were in stage of Information. Most of high school teachers' concern about 'Creative-Experience Activity' was generally 'non-user' stage that unconcerned. Second,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ers' stage of concern according to their sex and teaching career except for region. In region, the teacher in metropolis tent to interest getting new information than small and midium size city. We need to make an effort to transfer from 'non-user' stage to 'early-user' stage of and 'impact' stage. To do so, we may sublate too much curriculum revise and start teacher training for 2009 revised 'creativity-experience activity' curriculum. The result of the study provide that there are not curriculum implementation success without teachers' concern about revised curriculum.

유치원 교사의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관심도 분석: 관심중심수용모형(CBAM)을 중심으로 (Analysis on Kindergarten Teachers' Stage of Concerns about Software Education: An Application of the Concerns-Based Adoption Model(CBAM))

  • 박선미;정지현;강민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462-471
    • /
    • 2018
  • 올해부터 시행되는 소프트웨어 교육의 초 중 고등교육에의 정규 교육과정 편성을 앞두고 유아를 대상으로 한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관심 역시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관심도를 관심중심수용모형(CBAM)을 통해 알아봄으로써 유아 소프트웨어교육의 도입을 위한 유아교사교육 방안에의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B광역시 소재 유치원에 재직하고 있는 교사 219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간이 채점표를 적용하여 상대적 강도로 전환하고 이를 관심도 프로파일 그래프로 나타내었고 배경변인에 따른 관심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 t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유치원 교사의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관심도는 0단계(지각)가 가장 높고, 운영적, 개인적, 정보적 관심 순으로 높은 수준으로 나타나 대체적으로 비사용자 패턴을 띄었으나 전형적 비사용자 패턴에 비해 비판적 비사용자에 가까운 패턴을 나타내었다. 필요성 인식에 따른 소프트웨어교육에 대한 관심도에 차이를 분석한 결과 모든 단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교육 및 연수 경험에 따른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관심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0단계(지각)에서만, 그리고 향후 실행 계획 유무에 따른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관심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0단계(지각), 6단계(재초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프로파일 그래프 형태는 전체 평균에 의한 패턴과 비교적 유사한 비사용자 형태를 유지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교사의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관심도 패턴을 전환시키고 소프트웨어 교육역량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이 제안되었다.

CBAM에 기반한 화학 교사의 역량 평가에 관한 관심도와 실행 수준 분석 (An Analysis of Chemistry Teachers' Stages of Concern and Level of Use on Competency Assessment Based on CBAM)

  • 김성기;김현정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7권1호
    • /
    • pp.24-36
    • /
    • 2023
  • 이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도입과 함께 강조된 역량 평가에 관해 화학 교사를 대상으로 관심도와 실행 수준을 알아보았다. CBAM에 기반하여 설문지가 개발되었으며, 총 123명의 화학교사 응답이 분석되었다. 관심도와 실행 수준은 단계별 빈도를 조사하였으며, 이후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교차 검증을 진행하였다. 관심도 분석 결과, 대부분의 교사가 3 단계(운영적 관심, 26.8%)와 2 단계(개인적 관심, 19.5%)에 머물러 있었다. 더불어 인구통계학적 변수 중 예비교사 기간 중 관련 교육 경험 여부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실행 수준의 경우 III 수준(기계적)이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고(26.8%), 그다음으로 I 수준(오리엔테이션, 22.8%), II 수준(준비, 13.8%) 순이었다. 실행 수준 또한 예비교사 기간 중 관련 교육 경험 여부에 따라 실행 수준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역량 평가에 대한 관심도와 실행 수준의 Spearman 상관계수가 .298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화학 교사의 역량 평가에 대한 관심도와 실행 수준을 높이기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융합인재교육(STEAM)에 대한 초등 교사의 관심도 변화에 관한 탐색 연구 (Exploratory Study on Elementary Teachers' Stages and its Change of Concerns about STEAM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and Mathematics) Education)

  • 박경숙;김용기;전재돈;이효녕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9권1호
    • /
    • pp.99-112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 교사가 융합인재교육(STEAM)에 어떤 관심을 가지고 있는지 그리고 융합인재교육 시범학교를 운영하면서 융합인재교육에 대한 관심도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알아봄으로써 새롭게 적용되는 융합인재교육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Hall에 의해 개발된 관심도 검사 도구(SoCQ)를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융합인재교육 시범학교를 운영하고 있는 초등학교 90명이며, 시범학교 운영 기간인 4월, 6월, 12월에 관심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융합인재교육 시범학교를 운영하고 있는 전체 초등교사의 관심도의 변화는 4월에는 무관심 단계가 가장 높고 결과적 관심이 가장 낮았으나 12월에는 무관심과 운영적 관심이 낮아졌다. 4월과 비교하여 결과적 관심의 평균값이 54.7에서 74.3로 가장 크게 증가하였다. 교사들의 개인적인 변인을 대상으로 탐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고등학교 이과를 이수한 초등 교사들은 운영적 관심의 단계가 낮게 나타났으며, 석사 이상의 학력을 갖춘 초등 교사의 경우도 운영적 관심의 단계가 낮게 나타났다. 아울러, 교육대학교 STEM 관련 교과의 심화과정을 졸업한 초등 교사들 역시 운영적 관심의 단계가 낮게 나타났다. 개인의 요인에 따라 융합인재교육을 받아들이는 관심 단계가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탐색적 연구의 결과는 융합인재교육의 통합적 접근을 위해 가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 PDF

예비유아교사의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관심도 분석: 관심중심수용모형(CBAM)을 중심으로 (Analysis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tage of Concerns about Software Education According to the Concerns-Based Adoption Model)

  • 정지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431-440
    • /
    • 2017
  • 본 2018년 소프트웨어 교육 필수화를 앞두고 최근 초 중등교육현장에서는 소프트웨어 교육 운영 및 지원방안 마련에 한창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연구는 소프트웨어 교육의 유아교육에의 도입가능성을 전제로 예비유아교사의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관심도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B광역시 소재 4년제 대학교 예비유아교사 132명을 대상으로 관심중심수용모형(CBAM)에 따른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원점수 평균을 도출한 후 간이 채점표를 적용하여 상대적 강도로 전환하고 이를 관심도 프로파일 그래프로 나타내었으며, 배경변인에 따른 관심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 t-test와 ANOVA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예비유아교사의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관심도는 0단계(지각)가 95%로 가장 높고, 정보적, 개인적, 운영적 관심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나 대체적으로 비사용자 패턴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전형적 비사용자 패턴에 비해 개인적, 정보적 관심도가 다소 높고 6단계(재초점)로의 '꼬리 올리기'현상이 나타남으로써 어느 정도 비판적 비사용자에 가까운 패턴 양상을 띠기도 하였다. 필요성 인식, 향후 실행계획 유무, 테크놀로지 효능감 수준에 따라 운영을 제외한 모든 단계에서 유의미한 수준의 관심도 차이를 나타내었고 교육 및 연수경험에 따른 차이에서는 6단계(재초점)에서만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유아 소프트웨어교육의 도입을 앞두고 새로운 테크놀로지 활용에 대한 예비교사의 개방적인 인식전환이 요구되는 가운데, 코딩교육 등으로 대변되는 사교육 기반의 유아소프트웨어 교육이 아닌, 유아의 발달수준에 적합할 뿐만 아니라 누리과정과 연계된 교육활동으로서의 가치를 확인시켜줄 수 있는 유아 소프트웨어 교육을 위한 교사 교육의 필요성이 제안되었다.

CBAM을 활용한 가정과교사의 과정중심평가 인식조사 (Home Economics Teachers' Perception on Process-Based Assessment Using the Concerns-Based Adoption Model)

  • 배진희;유난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117-133
    • /
    • 2023
  • 본 연구는 가정과교사의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전반적 인식과 관심도, 실행도를 진단하여 학교현장에서의 내실 있는 과정중심평가 실행에 필요한 알맞은 지원책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전국의 가정과교사를 대상으로 CBAM을 활용하여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전반적 인식과 관심도, 실행도를 묻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과교사들은 과정중심평가를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는 과정중심평가가 결과중심평가에 비해 학생을 다면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는 점과 가정과교사들이 과정의 교육적 가치를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기 때문임을 살펴볼 수 있었다. 또한 과정중심평가가 학생과 교사 모두에게 더 유익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는 피드백이 교사와 학생 모두에게 성찰의 기회를 제공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임을 파악할 수 있었다. 가정과교사들은 과정중심평가의 실행 시기에 관해서는 혼란을 보였으나, 과정중심평가에서의 피드백의 의미와 활용에 대해서는 비교적 높은 이해수준을 보였다. 둘째,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관심도는 4단계(결과적 관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즉, 가정과교사들은 과정중심평가를 실행함으로써 개인의 전문성과 학생의 학습에 어떠한 결과나 나타날지에 가장 관심을 두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셋째, 실행도 측면에서 대다수의 가정과교사들은 이미 한 학기 이상 현장에서 과정중심평가를 실행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과정중심평가를 자신과 무관하다고 생각하거나, 실행에 관심을 두지 않는 교사는 보이지 않았으며, 미실행 중일지라도,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정보를 조사하고 있는 1수준(입문) 상태이거나, 과정중심평가 실시 시기를 계획하는 등 실행을 위해 준비하고 있는 2수준(준비)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