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n Elementary Teachers' Stages of Concern to Intergrated Units of Revised National Elementary Integrated Curriculum in 2007

2007 개정교육과정 통합교과의 "통합단원" 실행에 관한 교사들의 관심도 분석

  • Received : 2010.05.12
  • Accepted : 2010.06.04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figure out elementary school teachers' Stages of Concern(SoC) between senior teachers and new comers to integrated units of integrated curriculum which was revised in 2007 and applied in 2009 by using CBAM. Seventy-four home-room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took part as participants. For data collection, as Hall and Hord suggested in 2005, Questionnaire of Stages of Concern was used. Profiling of teachers' concern and one-way ANOVA were employed in data analysis. In the results, 55% of the teachers were in the stage of Awareness. In the stage of Informational, 22% of the teachers were appeared. Most of elementary teachers' concern about integrated units was closed to indifference of self-interest level. The difference of concern between senior teachers and others will be illustrated as findings. The results of the study provided that factors which influenced teachers' concern about the curriculum. Physical factors such as a curriculum guideline or on-line system to access boarder-cross curriculum influenced teachers' concern. Little intervention about the boarder-cross curriculum appeared in elementary schools. The authors of the study suggested to emphasizing the roles of facilitator for the revised curriculum.

Keywords

References

  1. 공경아(2008). 즐거운 생활 교과의 신체활동 영역에 대한 교사의 인식,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교육과학기술부(2009).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II(교육인적자원부 교시 제2007-79호).
  3. 권낙원.추광재.박승렬(2006). 교육과정 실행 수준 결정 요인 탐색, 교육과정연구, 24(2), 87-106.
  4. 김경애(2004).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초등통합교과 통합유형의 변화 분석, 경인교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5. 김대현(1993). 통합교과의 목표와 조직방식의 정당성 문제, 교육학연구 31(1), 99-116.
  6. 김대현(1996). 학교 차원의 통합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모형 구안, 교육과정연구 14(3), 18-40.
  7. 김대현.김석우(2005).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서울: 학지사.
  8. 김대현(2010). 교육과정개정 준거로서의 학생과 교사의 삶. 한국교육과정학회 춘계 학술대회, 교육과정과 학교에서의 교육적 삶, 3-22.
  9. 김민환(2009). 2007년 개정교육과정에 관한 초등학교 교사의 관심수준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9(3). 87-107.
  10. 김이천(2005). 초등학교 재량활동에 대한 교사의 관심도와 실행 분석, 경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김재복(1988). 교육과정의 통합적 접근, 교육과학사.
  12. 나장함(2004). 통합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탐구, 교육과정연구, 22(1), 101-124.
  13. 박민정(2007). 통합교육과정 실행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세 초등교사의 이야기, 교육과정연구, 25(1), 69-93.
  14. 서경혜(1992). 교사의 관심에 따른 통합교육과정 실행 형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성병창(2007). 초임교사 교직 적응을 위한 지원 방안, 수산해양교육연구, 19(2), 310-322.
  16. 송춘식(2002). 초등학교 통합교육의 실태 및 개선에 관한 연구,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유한구(2002). '통합교과'의 개념과 초등학교 저학년 통합교과의 수업, 한국초등교육, 13(2), 385-396.
  18. 이경순(2009). '교육과학기술부 u-러닝 연구학교' 교원의 관심도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14(4), 823-850.
  19. 이미숙(1999). 통합교육과정 실행의 관련변인 분석. 교육과정연구, 17(2), 1-19.
  20. 정광순(2006). 초등교사의 통합교과 실행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교육과정연구, 24(3), 125-146.
  21. 정광순(2007). 2007년 개정 초등 통합교과교육과정에 대한 고찰, 교육과정연구, 25(4), 81-104.
  22. 정혜승(2002). 국어과 교육과정 실행 요인의 작용 양상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33.
  23. 조선경(2006). 중학교 체육교사의 제 7차 체육과 교육과정에 대한 관심도, 실행형태 및 실행 수준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추광재(2007). 교육과정에 관한 교사의 관심.인식.실행 결정요인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5. 최진영(1996).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도 실행형태 및 실행수준의 관계 : 제6차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Anderson, S. E.(1997). Undertanding teacher change: Revisiting the concers based adoption model, Journal of Curriculum Inquiry, 27(3), 331-367. https://doi.org/10.1111/0362-6784.00057
  27. Christou, C., Eliophtou-Menon, M. & Philippou, G. (2004). Teacher's concerns regarding the adoption of a new mathematics curriculum: An application of CBAM,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57(2), 157-177.
  28. George, A. A., Hall, G. E. & Stiegelbauer, S. M.(2006). Measuring Implementation in Schools: The stages of concern questionnaire, Austin: SEDL.
  29. Hall, G. E.(1974). The Concerns-Based Adoption Model: A developmental conceptualization of the adoption process within educational institutions,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Chicago, Illinois.
  30. Hall, G. E., George. A. A. & Rutherford, W. L.(1977). Measuring Stages of Concern about the innovation: A manual for use of the SoC Questionnaire(Report No. 3032). Austin: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 for Teacher Education, (ED 147342).
  31. Hall, G. E., Hord, S. M.(2001). Implementing Chnage Patterns, Principles, and Pothles, Boston: Allyn & Bacon.
  32. Hall, G. E., Hord, S. M.(2006). Implementing chang: Patterns, principles and potholes(2nd ED.), Needham Heights, MA: Allyn and Bacon.
  33. Hord, S. M.(1981). Understanding the change process: A primer for teacher educators, A paper presented to the Nazarene Association of College Teacher Educators, Detroit, MI.
  34. Hord, S. M., Rutherford, W. L. Huling-Austin. L. & Hall, G. E.(1989). Taking Charge of Change, Virginia, Alexandri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35. Marsh, C. J.(1987). Implementation of a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an Australian elementary school, Elementary School Journal, 87(4), 475-486. https://doi.org/10.1086/461510
  36. Newhouse, C. P.(2001). Applying the Concerned-ased Adoption Model to research on computers in classroom, Journal of Research on Computing in Education, 33(5).
  37. Rakes, G. C. & Casey, B. B.(2002). An analysis of teacher concerns toward instruc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3(1), Retrieved from http://www.ao.uiuc.edu/ijet/v3n1/rakes/
  38. Tashakkori, A. & Teddlie. C.(1998). Combining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pproaches. 염시창(역)(2001). 통합연구방법론, 서울: 학지사, 7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