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iritual program

검색결과 221건 처리시간 0.028초

감각적 영성 활동이 유아의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the program for sensory activities devised to encourage spirituality on children self-efficacy)

  • 손은혜;김영주;송연숙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17-133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감각적 영성 활동이 유아가 지각한 유아의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U시에 소재한 C 보육시설과 H 보육시설에 다니는 만 4, 5세 유아 36명이었다. 실험을 하기에 앞서 전인옥(1996)이 번안하고 본 연구자가 재수정한 자기 효능감 검사를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유아에게 실시하였다. 감각적 영성 활동은 통제 집단 유아를 대상으로 2009년 1월 19일에서 2월 16일까지 이루어졌고, 비교집단에는 일반적인 보육과정을 실시했다. 실험이 끝나고 나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에 사후검사를 하였다. 연구 결과 감각적 영성 활동은 자기 효능감에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하위영역인 신체적 영역, 사회정서적 영역, 인지적 영역에서 모두 효과가 있었다.

교대근무 간호사의 건강증진행위가 피로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on Fatigue and Depression among Shift Nurses)

  • 이은주;신승화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2256-2264
    • /
    • 2014
  • 본 연구는 교대근무 간호사의 건강증진행위, 피로 및 우울을 파악하고, 건강증진행위가 피로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기 위한 서술적 연구이다. 대상자는 경상북도 A시에 소재한 3개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243명의 간호사로, 자료수집기간은 2012년 9월 19일부터 25일까지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20.0을 사용하여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COVA, 및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되었다. 그 결과 교대근무 간호사의 건강증진행위 점수는 모든 항목에서 비교대근무 간호사 보다 낮았고 피로와 우울에서는 높게 나타났다. 교대근무 간호사의 피로에 영향을 미치는 건강증진행위로는 영적성장 및 스트레스 관리로 11%의 설명력을 보였고,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건강증진행위로는 신체활동 및 대인관계로 5%의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기관차원에서 교대근무 간호사의 근무 형태를 고려한 맞춤형 건강증진행위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 마련과, 피로와 우울 중재를 통한 간호 업무성과 향상을 위한 영적성장, 대인관계, 신체활동 및 스트레스관리 항목이 강화된 전문적인 건강관리 프로그램 개발을 제언하는 바이다.

종합병원간호사의 DNR(Do-not- resuscitate)에 대한 윤리적 태도와 임종간호수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thical Attitude to DNR and Terminal Care Performance of Hospital Nurse)

  • 손유림;서영숙
    •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361-371
    • /
    • 2015
  • Purpose. The purposed of this study was done to DNR attitude and terminal care performance among hospital nurse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207 nurses working in hospital nurses in D and G cities. Data on DNR attitude and terminal care performance were collected via questionnaire between April 2015 and July 2015. Data analysis was done with SPSS 12.0 program and included one-way ANOVA, independent t-test, and Pearson correlation. Result. DNR attitude of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shown to have high levels (DNR attitude: M=32.64/60, SD=6.14). Terminal care performance of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shown to have poor levels (physical M=20.72/32, SD=3.77, psychological M=20.26/32, SD=3.85, spiritual M=9.62/24, SD=3.65). The attitude of the hospital nurs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marital status. The terminal care performanc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experience of terminal care. The DNR attitude by nurses was positively correlation to physioloical terminal care performance(r=.137, p<.049) b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sychological terminal care performance( r=.016, p=.815) and spiritual terminal care performance showed no correlation(r=-.099, p=.157).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it is necessary to increase DNR attitude and to encourage terminal care performance among hospital nurses.

호스피스 환자의 임종증상

  • 최화숙;김수지
    • 호스피스학술지
    • /
    • 제2권1호
    • /
    • pp.75-86
    • /
    • 2002
  • Pru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signs and symptoms of hospice patients during their dying processes. Meth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6 patients who received hospice care services in 2 different hospice care programs in Seoul area. Data was obtained from January, 1999 to June, 2001 by hospice nurse's observation, interviews with patient's primary caregiver and hospice volunteers, patient's self report, nursing records and questionnaires which had been developed by selecting from various references and refining them based on the result of preliminay studi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PSS PC+ program and content analysis. Results: Mean lengths of hospice patient's dying process were 3.6 days. Physical signs and symptoms of hospice patients during their dying processes were 'increased sleep'(89.5%), 'decreased oral intake of food'(88.2%) and 'liquids'(86.8%), 'change of respiration'(82.9%), 'decreased urine output'(80.3%), 'cold extremities'(69.7%), 'death rattle'(67.1%), 'cyanosis'(57.9%), 'restlessness'(55.3%), etc. And psychological, spiritual and social signs and symptoms were 'decreased interpersonal relationships'(61.8%), 'panorama of memories from childhood'(60.5%), 'experiences as like hallucination'(56.5%), 'saying bye with family'(69.7%), 'forgiveness', 'make a will', etc. Experiences as like hallucination were seemed not as dream but reality were shown by 43 dying patients. They had experienced to see and to talk with their deceased mother(18.6%) and/or relatives(30.2%), angels(20.9%), heaven(11.6%), old house in which they had lived, someone from the world beyond with black clothes, etc. Conclusion: The above results indicate that death of hospice patients is ongoing process with dying signs and symptoms during several days contains not only in physical aspects but also among psychological, spiritual and social aspects including family dynamics.

  • PDF

암환자 가족돌봄자의 외상 후 성장 (Posttraumatic Growth in Family Caregivers of Patients with Cancer)

  • 최순옥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7권1호
    • /
    • pp.1-9
    • /
    • 2014
  • 목적: 본 연구는 암환자 가족돌봄자의 외상 후 성장수준과 이에 관련된 인구사회학적 및 돌봄관련 특성들을 심층 분석하여 암환자 가족돌봄자의 간호중재 모색에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방법: 연구의 대상은 부산광역시에 소재하는 두 개의 종합병원과 일개의 대학병원에서 입원 및 외래 치료를 받고 있는 201명의 암환자의 가족돌봄자이다. 외상 후 성장은 한국판 외상 후 성장 척도(Korean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K-PTGI)로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술통계, t-test, one-way ANOVA, Scheffe's test로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외상 후 성장 점수 평균은 3.10점이었다. 하위 요인별로는 자기 지각의 변화, 대인관계의 깊이 증가, 새로운 가능성의 발견, 영적 종교적 관심의 증가 순이었다. 대상자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돌봄 관련 특성에 따른 외상 후 성장 수준의 차이는 나이, 종교, 종교생활의 중요성, 돌봄으로 인한 일상생활의 어려움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결론: 암환자에 대한 질적인 간호를 제공함에 있어 환자뿐 아니라 가족돌봄자들도 포함해야 한다. 또한 암환자 가족돌봄자가 환자의 암 투병 경험에서 궁극적인 성장에 도달할 수 있도록 자신들의 영적 종교적 신념을 유지할 수 있는 영적 간호중재 개발이 필요하다고 본다.

교회학교 유치부 교사교육프로그램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및 요구 (Church School Kindergarten Teacher Education Programs for Teachers' Perceptions and Needs Analysis)

  • 김성혜;강란혜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8권6호
    • /
    • pp.77-97
    • /
    • 2012
  • 본 연구는 교회학교 유치부 교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요구를 분석하는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수도권 지역의 유치부 교사 278명이다. 연구방법은 설문지를 이용한 조사방법으로 유치부 교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필요성 및 교육내용의 3개 영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유치부 교사들에게 배부한 후 회수하였다. 회수 된 설문지는 문항별 빈도와 백분율을 구했으며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X2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 내용에 관한 문항은 평균과 표준편차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교사들은 유치부 교사교육 프로그램에 대해 관심과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교사의 배경변인중 학력, 교육경력, 전공여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유치부 교사교육 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요구로는 부모교육과 유아발달이해, 문제행동 영유아지도법, 영유아와 할 수 있는 효과적인 의사소통법, 영유아 기질 이해 및 기질에 따른 교육방법, 교사를 위한 영성훈련 순으로 나타났다.

알코올 의존자 부인의 자서전 분석: 삶의 의미찾기 (Meaning of Life in Wives of Alcoholics: Autobiographical Method)

  • 조선희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758-767
    • /
    • 200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nd describe life-stories and meanings of life in wives of alcoholics by analyzing their autobiographies. Methods: Autobiographies were collected from 20 participants who produced their own autobiographies in the logotherapeutic autobiography program at community alcohol counseling centers in Korea. The data were coded to identify themes of agency and communion using the manual coding system developed by McAdams, and analyzed by the existential approach. Results: There were 214 coded episodes in twenty autobiographies. There were 128 agency themes and 86 communion themes. The most common themes were Love/Friendship. Five themes emerged from the autobiographical episodes on the existential perspective: 1) overcoming the suffering, 2) meaningful people and relationships, 3) spiritual maturation, 4) caring and helping, and 5) finding a meaning of life. Conclusion: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wives of alcoholics who participated in the logotherapeutic autobiography program found the meaning of life through their suffering. Furthermore, a study on existential nursing interventions for people who have meaninglessness in life needs to be done.

말기 암환자 호스피스 케어의 사례 - 간호사, 자원봉사자, 목회자의 케어 사례 비교 - (The Comparison of Hospice Care by Nurse, Volunteer and Minister)

  • 김분한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권1호
    • /
    • pp.46-53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is to explore the difference of hospice care and the efficiency of hospice education, by comparing the care of the nurse, the volunteer and the minister who have been trained by the Hospice Education Program. The index of common hospice care delivered by cases is that 1) the physical problems (pain, physical discomfort, incontinece, nausea, vomiting etc.) 2) the family problems(family support, change of family function, inefficiency, preparing the death of family) 3) the psychiatric problems(grief and sadness of death, anxiety, fear, helplessness). The case of volunteer and minister is different with the hospice care by nurse, because it is some what related to Christian's base. The index of care by the volunteer and minister is pertaining to social support and spiritual support for family and dying patient. In conclusion, for the wholistic hospice care, we need the hospice caregiver who have diverse background and expert in knowledge of various dimension. For that, it is necessary to build and develop hospice education program as a team apprach, which indudes a systematic expertizing items for care in consideration of caregiver's background.

  • PDF

일반노인과 저소득층 노인의 건강증진행위와 지각된 건강상태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a Health Promoting Lifestyle and Perceived Health Status between High and Low Income Elderly)

  • 박정숙;이혜란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57-166
    • /
    • 2003
  • Purpo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needs for developing a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the elderly, and to compare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perceived health status between high and low income elderly. Metho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80 high) income elderly and 84 low income elderly through face to face interviews.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 II (HPLP II) and Perceived Health Status. Results: 1) The total score of the HPLP for the elderly was 2.29. In the subscales, the highest degree of performance' nutrition', following 'stress management', 'spiritual growth' and 'health responsibility' and the lowest degree of performance was 'physical activity'. 2) The high income level elderly had significantly higher total HPLP scores than the low income level elderly. The biggest difference was found in 'physical activity' between high) and low) income elderly. 3) The mean score of perceived health status was 8.21. The high) income elderly had significantly higher perceived health status than the low income elderly. Conclusion: The above findings indicate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health promotion program with reinforced physical activity, health responsibility for the elderly in Korea. In particular physical activity need to be increased for the low income elderly. The low income elderly need to have positive thinking for perceived health status.

  • PDF

독거노인의 죽음불안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the Death Anxiety of the Elderly Living Alone)

  • 권영은;김선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262-269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독거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우울, 영적안녕, 삶의 질이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여 다양한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편의표출한 충청남도 소재 2개 군 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독거노인 중 노인대학에 등록된 자로 인지기능에 장애가 없고, 의사소통이 가능한 187명이며, 자료수집기간은 2014년 2월부터 2015년 2월까지로 SPSS 18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분석을 실시하였다. 독거노인의 전체죽음불안은 2.94(${\pm}0.32$)점이었고, 하위영역별로 죽음과정의 불안 3.06(${\pm}0.32$)점, 사후죽음의 불안 2.88(${\pm}0.51$)점, 존재상실의 불안 2.75(${\pm}0.43$)점 순으로 나타났다. 독거노인의 특성에 따른 전체 죽음불안수준은 여성노인이 남성보다(t=125.39, p=.001), 나이가 적을수록(F=1.16, p=.003), 경제수준이 낮을수록(F=3.36, p=.000), 가족관계가 좋을수록(F=0.43, p=0.34), 종교가 있는 경우(t=125.39, p=.000)에 죽음불안이 높았다. 죽음불안은 우울할수록(r=.192, p=.009), 영적안녕이 낮을수록(r=-.234, p=.002) 삶의 질이 낮을수록(r=-.190, p=.009) 높았으며, 죽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경제상태, 우울, 영적안녕으로 경제상태(${\beta}=-.36$, p=.000)가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전체 설명력은 20.3%이다. 따라서 독거노인의 죽음불안 감소를 위해 우울, 영적안녕, 삶의 질 개선을 위한 중재프로그램과 더불어 사회보장체계가 강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