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The effect of the program for sensory activities devised to encourage spirituality on children self-efficacy  

Son, Eunhye (꽃바위유치원)
Kim, Youngjoo (울산대학교 아동가정복지학과)
Song, Yeonsook (울산과학대학 유아교육과)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v.6, no.2, 2010 , pp. 117-133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whether children's self-efficacy can be improved by sensory activities devised to encourage spirituality. The survey involved 36 children aged 4 to 5. To measure the subjects' self-efficacy, Jeon Inok(1996)'s tool was used. The 18 members of the experimental group attended a program which was dedicated to promoting spirituality by using sensory activities. The program was administered three times a week for four weeks, totaling 12 sessions, each of which contained a type of activity and lasted about fifty minutes. To the 18 members of the control group, the standard child care curriculum was applied. The levels of the subjects' self-efficacy were measured twice, both in the same way, before and after the children participated in the program. The finding reveals that the program which was designed to boost children's spirituality through sensory activities has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self-efficiency - cognitively, socially, emotionally, and physically. The self-efficiency level in the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ly increased by t=7.17(df=34, p<.001)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So, it can be said that the program dedicated to improving spirituality using sensory activities is more effective than the standard child care curriculum.
Keywords
Sensible spiritual activities; Perceptive part; Social.Emotional part; Physical part; Self-Efficacy;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강미경(2009). 청소년의 하타 요가수련에 따른 집중력과 자기 효능감의 효과.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경미(2009). 유아 영성 형성을 위한 기독교 교육.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경중, 최인숙(1989). 유아발달심리, 서울: 형설출판사.
4 김유미(2009). 명상 기반 인지행동 프로그램이 아동의 정서안정도에 미치는 효과. 아동교육, 18(2). 105-115.
5 김정신(2002). 영성 교육을 위한 탐색적 연구. 교육인류학 연구, 5(1). 53-78.
6 김정신(2004). 영성 지향 유아교육의 목적 설정을 위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24(2). 107-133.
7 김정신(2005). 영성 지향적 접근을 위한 유아교사교육의 방향 탐색. 유아교육연구, 25(2). 79-102.
8 김현재(1998). 홀리스틱 교육에서의 명상의 접근 방안. 홀리스틱 교육 실천연구, 2, 27-48.
9 김혜순(2009). 종교성과 신행이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종교교육학연구, 29. 83-107.
10 박미정(2009). 그림책을 활용한 명상활동이 유아의 자기 조절력에 미치는 효과. 열린 유아교육연구, 14(4). 73-88.
11 박민지(2007). 명상을 통한 미술 활동이 유아의 자아개념 및 창의적 미술표현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12 심종혁(2007). 영성, 회심, 그리고 정체성.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월례발표회 자료.
13 양진희(2008). 감사 명상이 중학생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창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이경열(2004). 영성 증진 훈련프로그램이 영성, 자기 존중감, 사회적 지지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임재택(2003). 선생님! 우리도 명상할 수 있어요. 서울: 양서원.
16 장미선(2002). 청소년기 자녀의 자기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변인과 가족 변인. 목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전인옥(1996). 어머니의 교육 신념과 자아 효능감, 양육행동이 유아의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논문집, 22, 433-528.
18 정영혜, 이미령(1999). 몬테소리 교육 -이론과 실천-. 부산: 효민출판사.
19 진은영(2001).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기 효능감 및 정상 경험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 차동엽(2008). 통하는 영성. 서울: 위즈앤비즈.
21 차인수(2001). 자기 효능감과 사회성 및 학업성취도와 관계 분석.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2 최갑종(2000). 예수님이 주신 영성. 서울: 이레서원.
23 최미향(2003). 부모의 양육태도 및 부모간 양육태도 일치 정도에 따른 유아의 자기 효능감과의 관계.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한영란(2004). 교사와 영성교육. 서울: 내일을 여는 책.
25 허영주(2009). 비이원적 앎의 필요성과 교육과정의 변화방향. 교육과정연구, 27(2). 33-61.
26 Ashton, P. (1985). Motivation and teacher's sense of efficacy. In Ames, C. & Ames, R.(Eds.), Research on motivation in education(vol. 2): the classroom milieu. N.Y.: Academic Press, Inc.
27 Assaioli, R. (1965). Psychosynthesis: A manual of principles and techniques. New York: Viking Penguin.
28 Bandura, A. (1977). Self-efficacy. Psychological Review, 84, 191-215.   DOI
29 Connolly, J. & Dolye, A. (1981). Assessment of social competence in preschoolers. Developmental Psychology, 17(4), 454-462.   DOI
30 Caroll, M. M.(1998). Spirituality and social work. Conceptual model of spirituality. Washington, D. C.: Taylor & Francis.
31 Green, M. D. & Forehand, R. Beck, S.J., & Vosk, B. (1980). An Assessment of the relationship among measures of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Child development, 51, 1149-1156.   DOI   ScienceOn
32 James, W. (1902). The Varieties of religious experience. New York: Modern Library.
33 Jung. C. G. (1938). Psychology and religion. New Haven. CT: Yale University Press.
34 Mash, E. J,. & Johnston, C. (1983). Parental perception of child behavior problems, parenting self-esteem, and mother′s reported stress in younger and task situations.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12, 337-346.
35 Maslow, A. H. (1964). Religions value and peak experiences. Columbus: Ohio State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