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ecial Libraries

검색결과 198건 처리시간 0.027초

Subject Approach to Information Retrieval with Special Reference to Bengali Documents: A Critical Study

  • Halder, Sambhu Nath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10권3호
    • /
    • pp.51-68
    • /
    • 2020
  • The library provides its services to satisfy the user's approach. Naturally, the development of library services may determine by considering the satisfaction of users. It traces users' perceptions regarding subject access highlighting problems in the retrieval of Bengali documents by subject. This study has designed to assess users' attitudes towards the retrievals of Bengali documents in OPAC through subject headings. For a collection of data, a representative sample has drawn from a large and heterogeneous population consisting of users in university libraries of West Bengal using a stratified sampling technique. Subsequently, under each of the universities, users' community was stratified into students, research scholars, and faculty members. Under each stratum, the sample selected on a random basis. The users met personally to collect relevant data, while they came to the library and went on to search OPAC. A structured schedule, prepared for the purpose, was presented before library users and consequently, interviews and interpretations recorded systematically. In this manner, several factors have identified concerning subject searching and retrieval performance for Bengali documents. This study explores the access using subject headings in multilingual information retrieval systems. Moreover, the suitability of subject headings for retrieval of Bengali resources has ascertained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The findings demand standard principles and rules for the construction of Bengali subject headings to maintain uniformity and consistency.

Roles of the Faculty and Librarian in the Collaborative Relationships at Vietnamese Universities: A Qualitative Methodology

  • Nguyen, Lan Thi;Tuamsuk, Kulthida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8권1호
    • /
    • pp.33-44
    • /
    • 2020
  • This article is a part of a doctoral research project on developing the faculty-librarian collaboration model to support learning and research at Vietnamese universiti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have crucial significance in drawing a broader view of the importance of faculty-librarian collaboration and the roles of such collaborators at Vietnamese universities. Qualitative methodology was used to formulate related topics and achieve these research objectives.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arried out at four universities in Vietnam with three key informants, including the faculty, librarian, and administrators (dean/vice dean of faculty, director/deputy director of the library). From March to April 2019, researchers conducted 29 interviews with three participant groups. The striking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ed that the faculty and librarians realized the significance of a collaborative relationship and expect that Vietnamese universities will design and deploy a model to boost the effectiveness of this collaboration. Besides this, the study found that the collaborators play certain important roles within the collaborative relationship, for instance, that of reference, coordinator, special lecturer, cooperator, and information user.

정보처리모형을 활용한 중학교 특수 국어 교과서 심화 학습활동 수록 매체 분석 (An Analysis of Media in Advanced Learning Activities of Middle School Special Korean Textbooks by the Information Processing Model)

  • 송기호;노정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9-50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 학생용 교과서에 수록된 매체의 특징을 정보처리모형을 기반으로 분석하고, 도서관 자료를 장애 학생의 수업 개선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중학교 국어 교과서 심화 학습활동에 포함된 매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장애 학생은 심화 학습활동을 수행하기 위하여 주로 시각을 통해서 정보를 수용하고 이해를 통해서 정보를 처리한 후에, 언어지능을 활용해서 결과를 산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삽화와 텍스트를 통해서 학습 내용을 수용하고, 추론과 설명 등 이해를 토대로 내용을 처리한 후에 쓰기와 말하기와 같은 언어 지능을 활용하여 결과를 산출한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도서관 자료를 장애 학생의 국어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현실적인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장애 학생의 독서 흥미 발달단계와 장서 맵핑을 활용한 다양한 투입 매체를 개발한다. 읽기-듣기를 활용하여 도서 자료를 제공한다. 심화 학습활동을 자기 주도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적절한 방법적 지식을 지도한다. 그리고 다양한 산출 활동을 도울 수 있는 글의 유형과 글쓰기 전략을 개발한다.

디지털 특수자료를 위한 XML 스키마 기반의 메타데이터 표현 체계 (A Metadata Representation Scheme based on XML Schema for Special Digital Collections)

  • 오삼균;채진석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09-131
    • /
    • 2004
  • 정보자원의 전달 매체와 형태가 다양화됨에 따라서 이에 대한 관리방법 또한 다양화되어 왔다. 도서관 환경에서는 정보자원를 위한 관리방법으로서 AACR, KCR 등의 목록규칙이 정립되었으며 이러한 목록규칙에 근거한 정보자원관리를 자동화하고자 하는 노력의 결과로서 MARC가 개발되었다. 하지만, MARC 레코드는 서지 레코드가 지니고 있는 의미적 관계의 표현을 지원하지 못하는 구조적 경직성으로 인해 다양하고 상이한 기술적 특성을 지니는 정보자원들을 적절히 기술하는데 제약이 따른다. 즉, MARC의 기본 설계 목적이 몇몇 정보유형에는 비교적 적합하더라도 새로운 형태의 정보유형의 다양성을 지원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MARC를 활용한 정보자원 관리 방식에서는 정보자원 간 연결 관계의 표현을 지원하지 못한다. 즉, MARC의 데이터 모델은 자원기술의 대상을 단일의 객체로 파악하는 단층 데이터 모델이기 때문에 여러 객체들 간의 연결 관계를 설정할 수 있는 다층 데이터 모델을 이용한 정보자원 기술이 필요한 경우는 적절치 못하다. 본 연구에서는 다층 데이터 모델을 지원하는 IFLA FRBR 기본 모델을 기초로 하여 전자도서관에서 사용되는 고서, 고문서, 음악 자료, 학술회의 및 세미나 자료의 관리에 있어서 이용자의 정보요구를 최대한 수용할 수 있는 최적의 메타데이터 모델과 이에 대한 XML 스키마 기반의 표현 체계를 제시하고자 한다.

다차원척도법을 이용한 어린이도서관 별치 자료에 대한 인지 거리 연구 (A Study on the Cognition Distance of Separately Shelved Items by Multi-dimensional Scaling Analysis in Children's Libraries)

  • 김효윤;조재인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51-71
    • /
    • 2017
  •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과 고학년, 학부모로 구성된 어린이 도서관 이용자들 200여명이 인지하는 별치 자료간 희망 인지 거리를 다차원척도법(Multi-Dimensional Scaling: MDS)과 K-means 군집분석을 활용해 비교 분석하고 이들의 인지 거리가 실제 어린이 도서관에 어떻게 투영되어 있는지 몇 가지 사례를 통하여 검토해 보았다. 다차원척도법은 분석 대상의 유사성이나 속성 등을 평가하여 공간상에 투영시키는 기법으로 마케팅에서 주로 시장 진단을 위해 활용되지만, 제품이나 시설에 대한 이용자의 인지적 거리를 분석하여 이상적인 물리적 배치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분석 결과, 별치 자료간 인지 거리에 있어 초등학교 저학년과 고학년 그리고 학부모 집단간에 각각 차이가 나타났으며, 특히 유 아동자료와 컴퓨터자료 그리고 유아자료와 아동자료간의 인지 거리에 있어 큰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Y구의 3개 어린이도서관을 대상으로 분석된 인지 거리 체계가 어떻게 투영되어 있는지 확인해 본 결과, 특정 집단의 인지 체계에 완벽히 부합하는 공간 구조를 지닌 도서관은 존재하지 않았으나, 공통적으로 유 아동자료와 컴퓨터자료, 그리고 유아자료와 아동자료가 분리 배치되어 있다는 점에서 학부모와 초등학생들의 인지 거리가 부분적으로 투영되어 있는 것으로 검토되었다.

콜론분류법에 바탕한 자동분류시스템의 개발에 관한 연구 - 농학 및 의학 전문도서관을 사레로 - (Developing an Automatic Classification System Based on Colon Classification: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Books housed in Medical and Agricultural Libraries)

  • 이경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23권
    • /
    • pp.207-261
    • /
    • 199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1) to design and test a database which can be automatically classified, and (2) to generate automatic classification number by processing the keywords in titles using the code combination method of Colon Classification(CC) as well as an automatic recognition of subjects in order to develop an automatic classification system (Auto BC System) based on CC which can be applied to any research library. To conduct this study, 1,510 words in the fields of agricultrue and medicine were selected, analized in terms of [P], [M], [E], [S], [T] employed in CC, and included in a database for classification. For the above-mentioned subject fields, the principle of an automatic classification was specified in order to generate automatic classification codes as well as to perform an automatic subject recognition of the titles included. Whenever necessary, editing, deleting, appending and reindexing of a database can be made in this automatic classification system. Appendix 1 shows the result of the automatic classification of books in the fields of agriculture and medicin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below. 1. The classification number for the title of a book can be automatically generated by using the facet principles of Colon Classification. 2. The automatic subject recognition of a book is achieved by designing a database making use of a globe-principle, and by specifying the subject field for each word. 3. The automatic subject-recognition of input data is achieved by measuring the number of searched words by each subject field. 4. The combination of classification numbers is achieved by flowcharting of classification formular of each subject field. 5. The efficient control of classification numbers is achieved by designing control codes on the database for classification. 6. The automatic classification by means of Auto BC has been proved to be successful in the research library concentrating on a Single field. The general library may have some problem in employing this system. The automatic classification through Auto BC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1. Speed of the classification process can be improve. 2. The revision or updating of classification schemes can be facilitated. 3. Multiple concepts can be expressed in a single classification code. 4. The consistency of classification can be achieved with the classification formular rather than the classifier's subjective judgement. 5. A user's retrieving process can be made after combining the classification numbers through keywords relating to the material to be searched. 6. The materials can be classified by a librarian without subject backgrounds. 7. The large body of materials can be quickly classified by means of a machine processing. 8. This automatic classification is expected to make a good contribution to design of the total system for library operations. 9. The information flow among libraries can be promoted owing to the use of the same program for the automatic classification.

  • PDF

컨스펙터스방법을 이용한 장서평가연구 (A study of collection evaluation using conspectus methodology)

  • 박진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63-191
    • /
    • 1998
  • 본 연구는 국내 최초로 컨스펙터스(Conspectus)에 대한 개념과 이론을 발전시키고 그 이론을 실제로 성서학 전문도서관의 장서평가에 적용함으로써 새로운 장서평가 모형을 제시할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컨스펙터스는 도서관의 규모와 상황에 적합하게 장서를 주류, 강목, 요목별로 구분하여, 현재장서수준(CL), 수집의지수준(AC), 목표장서수준(GL)이라는 세가지 차원에서 분석 평가한 후, 각 장서에 적합한 장서수준기호를 부여하는 표준화되고 객관적인 장서평가방법이라 할 수 있다. 평가대상 도서관인 대한성서공회 성서학문헌정보자료실의 장서평가를 위하여 서가목록분석법과 목록대조법, 주문중인 자료의 주제별 수서데이터분석, 이용자설문조사방법을 이용하였으며 그 결과를 종합하여 각 주제별 장서에 미국서부지역도서관망 컨스펙터스의 장서수준기호를 부여하였다. 따라서 평가 대상도서관 장서중 성서학 강목의 현재장서수준은 '3cW', 수집의지수준은 '4W', 목표장서수준은 '4W', 목표장서수준은 '4W'였다. 본 연구는 신학도서관의 장서평가 모형으로 응용될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도서관간의 협동장서개발업무를 활성화시킬수 있을 것이다.

  • PDF

전문비서 정보활용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교육요구 분석 연구 (An Analysis on Education Needs for Information Literacy Programs of Professional Secretaries)

  • 최인숙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445-466
    • /
    • 2008
  • 본 연구는 정보제공자로서의 전문적인 역할 수행이 요구되는 비서직을 위한 정보활용교육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실무중심의 정보활용 교육과정 구성방안과 교육내용 개요를 제시하였다. 비서의 정보활용교육의 필요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한 결과 학력 수준이나 비서학 전공지식 수준과는 관계가 없고 정보제공업무 과제 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활용 교육요구 분석 결과 인터넷 메타검색엔진, 인터넷 전문검색엔진, 연산자사용법, 디지털도서관 활용법, 유즈넷 이용법, 정보서비스기관 이용법, 인터넷 참고정보원, 맞춤정보서비스 이용법, 주제조사의뢰 이용법, 문헌배달서비스 이용법, 전자저널 이용법, 상용데이터베이스 이용법, 원문제공서비스 이용법, 탐색전략모델 활용법, 인터넷 일반검색엔진의 순서로 교육과정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교육내용은 실무 예제중심의 실습으로 구성할 것을 제안한다.

대학도서관 장서평가 연구 - A대학교도서관 정치학장서를 중심으로 - (Assessing a University Library Collection: with a Special Reference to Political Science Collection in A University Library)

  • 장덕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133-152
    • /
    • 2013
  • 대학도서관에 있어서 장서개발의 목적은 각 학문분야별로 구성된 장서의 강점과 균형은 유지하고 약점은 보완하여 장서구성의 체계성과 망라성을 유지하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대학도서관들은 장서의 규모를 확충하는데 주력한 반면 그 품질을 제고하는 데에는 미처 관심을 갖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이는 무엇보다 최적의 장서를 유지하기 위하여 필수적인 과정인 장서평가를 제대로 수행하지 못한데 기인하는데,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이 연구는 대학도서관에 소장된 특정 주제분야 장서를 중심으로 장서평가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표본 대학도서관의 정치학 장서를 대상으로 장서의 현황을 분석하고, 과연 장서가 학과의 학부 학생들과 대학원생의 학습 및 연구지원, 교수의 연구지원과 얼마나 밀접한 관련성을 맺으며 개발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정치학 강의에서 사용된 교재 및 연구자들이 학술활동 과정에서 인용한 문헌의 리스트를 작성하고 이에 근거한 대학도서관의 장서 보유 현황을 조사함으로써 정치학 교육과 연구에 있어서 필요한 장서의 현황, 장서의 최적성 수준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도서관지도정보시스템 구축을 위한 메타데이터 개발 연구 (A Study on Designing of Metadata for Constructing the Library Map Information System)

  • 노영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41-264
    • /
    • 2010
  • 세계에는 수많은 도서관이 있지만 어떤 시스템도 이 모든 도서관에 대한 정보를 총체적으로 제공하는 기관은 없다는 인식에서, 본 연구에서는 위키원리 기반 도서관지도정보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또한 구글지도서비스를 매쉬업함으로써 도서관위치정보서비스도 제공하고자 하였다. 새로운 서비스 시스템이 개발됨에 따라, 이 시스템을 통해 제공될 정보의 효과적 조직 및 관리를 위해 새로운 메타데이터를 개발할 필요가 있었으며, 이를 위해 델파이 연구기법을 적용하였다. 델파이 전문위원으로 대학, 전문, 학교, 공공, 국가도서관의 사서를 포함하여 도서관 지도정보의 전문가인 연구소의 연구원 및 대학의 교수진 등 총 13명을 위촉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한 제 3차에 걸친 델파이 설문분석과정을 통해, 초기 메타데이터 항목에 대한 추가, 수정, 삭제가 이루어졌으며, 도서관 위치정보, 도서관 정보, 장서정보, 행사정보로 구성된, 4개 부문 49개 항목의 메타데이터가 최종적으로 제안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