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eaking skills

검색결과 109건 처리시간 0.033초

비영어권 외국인 내원객의 조명 신호와 안내서를 이용한 검사방법 개선 효과(흉부 방사선 검사자를 대상으로) (Improvement of Inspection Methods using Lighting Signals and Guidebook for Non-English speaking Foreign Visitors (For chest X-ray Screening Examinees))

  • 곽종혁;최민경;김능균;김아연;김경립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577-584
    • /
    • 2020
  • 본 연구는 비영어권의 내원객 수가 나날이 증가하고 있고 그에 따른 방사선 검사 시 언어의 소통 및 의사전달에 한계가 있었다. 이에 검사를 위해 제작한 안내서를 배부 후 설명 전후에 따른 개선 효과를 알아 보았다. 검사 부위 인지 여부는 점수 척도가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고 검사의 불편 정도, 호흡 지침 이해 정도, 검사 설명 만족도는 제작한 안내서 설명 전후에 따라 점수 척도가 향상되었으며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다. 비영어권 외국인 내원객의 경우 영어나 한국어로 했을 때 보다 자국의 문자로 설명하는 것에 만족하였고, 그 방법 또한 검사실 내 조명 신호를 이용하여 외국인 내원객에게 호흡을 조절해야 하는 시기를 알려 줌으로써 효과적인 검사를 시행할 수 있었다. 향후 다양한 언어 통역 프로그램과 다양한 검사 부위에 따른 안내서 제작과 도구 개발, 방사선사 및 의료진의 외국어 능력 향상 등 여러 관점에서 의사소통 수단이 구현 될 때 비로소 의료서비스 및 영상 의학적 검사의 질이 개선 될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 다른 영상의학 검사실에서도 영어나 한국어를 이해하지 못하는 비영어권 외국인을 검사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매뉴얼을 마련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 된다.

L2 학습과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대안적 접근으로서의 구두 발표 (Oral Presentations as an Alternative Approach to Enhance L2 Learning and Communication Skills)

  • 김경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7호
    • /
    • pp.111-122
    • /
    • 2020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인식을 통해 의사소통 능력과 향후 진로의 관점에서 L2 구두 발표가 갖는 효과에 대해 살펴보고자 했다. 질적 연구 방식을 활용한 연구로 초급반과 중급반에서 L2 구두 발표 수업을 수강한 13명의 대학생이 심층적이고 반 구조화된 면접에 참여했다. 학생들의 다양한 의견으로 도출된 결과에 따르면, 구두 발표가 크게 세 가지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L2 구두 발표는 말하기, 쓰기, 읽기, 쓰기의 네 가지 언어 영역을 향상시키고, 발표에 대한 자신감을 고취시키며, 향후 취업에도 경쟁력을 불어 넣어 주는 것으로 인식되었다. L2 학습자들에게는 어려운 과제이지만, 구두 발표는 학교 수업과 직업 수행의 환경에서 요구되는 효과적인 의사소통능력을 배양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로 평가되었다.

말 늦은 아동의 문장 이해 전략 (Sentence interpretation strategies by typically developing and late-talking Korean toddlers)

  • 조수정;황민아;최경순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6권3호
    • /
    • pp.13-21
    • /
    • 2014
  • Late talkers are young children who are delayed in their expressive language skills despite normal nonverbal cognitive ability, adequate hearing and typical personality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entence interpretation strategies used by Korean-speaking late talkers and age-matched normal children. Nine late talkers and nine normal children matched by age at 30-35month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27 simple noun-noun-verb(NNV) sentences were generated by factorial combination of case-marker [nominal case-marker on the first noun and accusative on the second (C1), accusative on the first noun and nominative on the second (C2), and no case markers on both nouns (C0)], and animacy of the nouns [animate-inanimate(AI), inanimate-animate(IA), animate-animate(AA)]. All the children were asked to "act out" their interpretation of the given sentence. For each type of sentences the percentage of choices of the first noun as the agent was calculated. The results of group (2) ${\times}$ animacy(3) ${\times}$ case-marker(3) mixed ANOVA showed a significant main effect for 'animacy', 'case marker' and 'group(2) ${\times}$ case-marker (3)'. The late talkers relied on semantic (animacy) cues in their interpretation of the sentences, while the normal peers utilized both animacy and grammatical morpheme (case-marker) cu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late-talkers' comprehension skills were also delayed.

Speech processing strategy and executive function: Korean children's stop perception

  • Kong, Eun Jong;Yoo, Jeewon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9권3호
    • /
    • pp.57-65
    • /
    • 2017
  • The current study explored how Korean-speaking children processed the multiple acoustic cues (VOT and f0) for the stop laryngeal contrast (/t'/, /t/, and /$t^h$/) and examined whether individual perceptual strategies could be related to a general cognitive ability performing executive functions (EF). 15 children (aged from 7 to 8) participated in the speech perception task identifying the three Korean laryngeal stops (3AFC) on listening to the auditory stimuli of C-/a/ with synthetically varying VOT and f0. They completed a series of EF tasks to measure working memory, inhibition, and cognitive shifting ability. The findings showed that children used the two cues in a highly correlated manner. While children utilized VOT consistently for the three laryngeal categories, their use of f0 was either reduced or enhanced depending on the phonetic categories. Importantly, the children's processing strategies of a f0 suppression for a tense-aspirated contrast were meaningfully associated with children's better cognitive abilities such as working memory, inhibition, and attentional shifting. As a preliminary experimental investigation, the current research demonstrated that listeners with inefficient processing strategies were poor at the EF skills, suggesting that cognitive skills might be responsible for developmental variations of processing sub-phonemic information for the linguistic contrast.

의사소통 능력에 대한 학습성과 평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the Assessment System for the Program Outcomes on the Communication Skill Competence)

  • 김진영;강성주;강보선;김대익
    • 공학교육연구
    • /
    • 제14권6호
    • /
    • pp.41-47
    • /
    • 2011
  • Professional communication skills in writing and speaking with multiple and complex audiences are required to engineers in society of modern technology. In this paper, we proposed the effective assessment system for the Program Outcomes on the communication skill competence(PO7), which is one of the 12 program outcomes stipulated by ABEEK (Accreditation Board for Engineering Education of Korea). To ensure logical connectivity of the assessment system, we carefully selected the performance criteria by defining the core concept of "written communication" and "verbal communication". Based on the selected performance criteria, the whole process of creating assessment tools and rubrics was explained in detail. It can be expected that the assessment for the Program Outcomes on the communication skill competence would be more systematic by using the proposed assessment system.

건축전공 대학생과 건설회사 노동자의 역량 비교 분석 (A Study on comparing competency of college students and construction company workers)

  • 황태홍
    • 산업진흥연구
    • /
    • 제6권4호
    • /
    • pp.31-38
    • /
    • 2021
  • 본 연구는 건축사회환경공학부 대학생과 건설회사 노동자들을 대상으로 K-CESA 핵심역량 중 비인지적영역(자기관리역량, 대인관계역량)과 인지적 영역(의사소통역량, 종합적사고력)을 측정하고 분석했다. 건설회사 노동자 25명과 𐩒𐩒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부 3, 4학년 대학생 36명 통 71명을 대상으로 K-CESA 진단평가를 실시했다. 집단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평균차이 검증인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했으며 사후검증으로 Scheffe 검증을 실시했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은 모두 유의수준 p<.05에서 검증했으며, 통계처리는 SPSS WIN. 23.0 프로그램을 사용해 분석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건설회사 노동자와 건축사회환경공학부 학생간 다섯 가지 능력(자기관리역량의 목표지향적 계획수립 및 실행능력, 대인관계역량의 협력, 중재, 리더십능력, 의사소통역량의 말하기 능력 및 종합적사고력역량의 분석적사고력능력)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전문가 요구 분석 및 문헌 분석을 통해 대학생들에게 필요한 전문가 요구 분석과 문헌 분석을 통해 목표지향적 계획수립 및 실행능력과 분석적사고력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했다. 후속 연구를 통해, 다양한 전공과 공공기관, 기업, 기타 조직 노동자의 역량을 비교하고 대학생을 위한 교과목 개발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국내 외국인 전용 카지노 종사자들의 요구분석에 따른 특수목적영어 연구 (A Study on English for Specific Purposes through Need Analysis of Workers at Foreigners-Only Casino in Korea)

  • 김성희;김진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485-494
    • /
    • 2020
  • 본 연구는 외국인 전용 카지노 종사자를 대상으로 직장에서 필요한 특수목적영어 (ESP)에 대한 요구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들에게 가장 적절한 강사와 영어 학습 동기를 함께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부산에 있는 외국인 전용 카지노에 근무하는 9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응답자들은 카지노 업무에서 영어 말하기가 가장 필요한 영역이며 그 다음으로는 영어 듣기라고 응답하였다. 카지노 종사자들의 업무 분야에 따라 필요로 하는 영어 학습 요구에 대한 유의미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이들은 영어 의사소통에서도 가장 어려움을 느끼는 영역도 영어 말하기이며 그 다음이 영어 듣기라고 하여 학습이 필요한 영역과 어려움을 느끼는 영역의 순위가 동일함이 드러났다. 카지노 업무 중 영어 사용시간은 부서 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마케팅 부서 직원들의 영어 사용 시간이 가장 길었다. 카지노 직원들의 가장 큰 영어 학습 동기는 자아실현이었으며, 그 다음은 원활한 업무 처리였다. 이들에게 가장 이상적인 영어강사는 카지노 경험을 가진 한국인 강사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이중 언어를 구사하는 한국인 강사라고 응답하였다. 외국인 전용 카지노 종사자들의 영어 요구분석을 수행한 이 연구는 이 직업군에 필요한 영어 교육과정 방향을 정립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A STUDY FOR DEVELOPMENT OF UNIVERSITY MATHEMATICS COURSE BASED ON REAL LIFE CONTEXT AND CLASSROOM DISCUSSION

  • Rhee, Hyang Joo
    • Korean Journal of Mathematics
    • /
    • 제22권1호
    • /
    • pp.45-56
    • /
    • 2014
  • Modern society demands leaders who are trained with competence to not only approach knowledge but also create new knowledge by comprehensively understanding and applying it, and a leader with character and commitment to share one's ideas with others and be able to accept criticisms. In response to these societal changes, universities are increasingly adopting 'small group discussion-based classes with an attempt to develop and strengthen communication skills through reading, writing and speaking. This paper seeks to introduce a case of a math lecture, where discussion-based class was applied to mathematical education, requiring practical problem-solving through an argumentative thought process.

영어능력 인증제, 능력별 교과과정, 그리고 대학 교양영어 교육: 학생과 교사의 인식에 대한 고찰 (Certification of English proficiency, proficiency-based curriculum, and College English program: A consideration of students' and teachers' perceptions)

  • 방영주
    • 영어어문교육
    • /
    • 제9권2호
    • /
    • pp.193-211
    • /
    • 2003
  • This study aims to illustrate students' and teachers' perceptions towards certification of English proficiency and proficiency- based curriculum, and to investigate their needs for developing college English program. A total of 597 students and 28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findings showed that both groups acknowledged the usefulness of the certification of English proficiency and proficiency-based curriculum. However, both groups showed a negative response to 'waive test' (testing for the replacement of English required class). They also expressed high level of needs in increasing the number of courses and credit hours, reducing the class size, and improving facilities. Both groups perceived speaking and listening as more important skills, while students showed various preferences for effective language practice activiti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 hat the introduction of certification of English proficiency should he supplemented with follow-ups both in pedagogical aspect and on administrative level.

  • PDF

유아영어교사의 자질과 양성 교과목에 관한 실태연구 (A Study on the Qualifications of Early Childhood English Teachers and Curricula for Early Childhood English Teachers in Training)

  • 최혜정;조성자
    • 아동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17-36
    • /
    • 2007
  • This study examined educational and career backgrounds of 180 early childhood English teachers and curricula of training courses for early childhood English teachers in continuing education centers across 6 areas in Korea. Data analyses showed that (1) curricula for early childhood English teachers consists of basic practical conversation, English teaching skills, understand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general English knowledge. (2) Most teachers are women between 30 to 40 years of age, university graduates with majors in English literature, English education and/or early childhood education with confidence in speaking in and listening to English. (3) They were satisfied with their retraining courses. (4) English pronunciation skill was not always related to English conversation skill, but clarity of pronunciation influenced teaching confiden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