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tial indicator

검색결과 253건 처리시간 0.024초

공간구문론 분석에 의한 아파트 주동형식별 공간배치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tial Configu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Apartment Building Type based on the Space Syntax Analysis)

  • 박몽섭;박찬돈;하재명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185-194
    • /
    • 2004
  • This paper deals with the spatial configuration of the unit floor plan based on the apartment building type. It is generally agreed that various apartment building types were organized by diverse apartment unit floor plan. The reason behind this diversity, apartment unit plan are affected by the environmental condition and the diverse spatial composition of the unit floor plan. Apartment building types were classified by the similarity of the justified-graph type. This types classified into two category; One core type which were classified by the shape of the core, and multiple core type which were compounded by more than two core. These categories divided into 5 types, and 2 types. Each types were compared in view of the mean depth, relative asymmetry, integration value. Consequently, these types could be classified in the number of the unit floor plan. It is profitable to 3 unit types which was analyzed in view of an indicator of the spatial configuration. Therefore, 3 unit types is favorable to the composition of the apartment building types.

지방의료원 중환자부 건축계획을 위한 영역별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tial Composition by Zone for the Architectural Planning of the Intensive Care Unit in Regional Public Hospitals)

  • 여정;채철균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6권1호
    • /
    • pp.51-62
    • /
    • 2020
  • Purpose: The Intensive Care Unit (ICU) is an important inpatient care area where critical patients are treated intensively with advanced medical technology. The level of care of ICU and the modernization of related facilities is an important indicator of health care quality. At the present time, when the Regional public hospitals are frequently expanding, the rational planning of the ICU has become an important part of the medical institutions treating the ICU.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basic data with net area which can be used in the architectural planning of the ICU. Methods: The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the ICUs were conducted on 26 medical facilities, based on theoretical analysis through relevant guidelines, articles, and documents, and on the basis of the actual space composition and net area analysis through the architectural drawings. Results: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such as zone division, spatial composition, relationship between main activities and zones, composition of facilities in the zone and area ratio within each zone. 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paper are expected to be effective reference materials for future research for rational spatial organization and efficient operation of the Intensive Care Unit in regional public hospitals.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the Ecological and Natural Map in the Republic of Korea

  • Eui-Jeong Ko;Hyosun Leem;Junghyun Lee;Wooseok Oh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8권1호
    • /
    • pp.8-16
    • /
    • 2024
  • The integration and management of various national ecological assessments are essential for the benefit of the public. In the Republic of Korea, the Ecological and Natural Map (ENM) serves as a comprehensive platform that synthesizes the results of national ecosystem surveys into a unified system interface. To provide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our policy, we analyzed the ENMs and related appeals from 2014 to 2022. Following their implementation, the ENM Guidelines underwent nine revisions, with most of the revisions pertaining to appeals. Nine public announcements were made regarding the ENM, resulting in a gradual expansion of the conservation area. The data also showed a consistent increasing trend in appeals. Most of the 1st-grade areas in the ENM regions where appeals were filed have significantly decreased. The larger area or the smaller population density of an administrative distinct, the more appeals were filed. Our study presents information regard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ENM system. The analysis of the operational direction and indicator trends across the 16-year period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system provides valuable insights for similar systems.

Recent changes in the phytoplankton community of Soda Lake Chitu, Ethiopia, in response to some environmental factors

  • Demtew Etisa;Yiglet Mebrat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7권1호
    • /
    • pp.23-34
    • /
    • 2024
  • While scientific information on the spatial variation of soda lake Microalgae is important to limnological studies, little information was reported from the Ethiopian Rift Valley Lake, Lake Chitu.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dominant Microalgae taxa in Lake Chitu, Ethiopia. The collection of samples and in situ measurements of some physico-chemical parameters were recorded at three sites for one cycle in November 2021. Fourteen species or genera of Microalgae were identified. Among those, Bacillariophyta were the most important with regard to species abundance and the rarest in species richness. Cyanophyta were the second-most important group in terms of species richness and rarity. Comparatively, all microalgae taxa were rare at both the anthropogenic areas (AA) and the flooding area (FA), which could be mainly due to intensive human and animal intervention and associated with extreme turbidity. Among Cyanophyta, Chroococcus minutus, Microcystis aeruginosa, and Spirulina platensis/fusiformis were predominant at both AA and FA, revealing their adaptation to less clear water and pollution. But S. platensis/fusiformis attained the highest abundance at the FA, indicating their preference for water in a highly nutrient-enriched area. We concluded that the spatial variation of microalgae diversity in relation to water quality parameters has implications for the importance of microalgae as a baseline indicator of water quality assessment tools in lakes.

비상시 용수 연계공급 성능의 시·공간적 평가를 위한 A-PDA 모형 및 공급성능지표의 적용 (An application of the A-PDA model and the water supply performance index for the temporal and spatial evaluation of the performance of emergency water supply plans via interconnections)

  • 옥수연;김수리;전환돈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1권11호
    • /
    • pp.977-987
    • /
    • 2018
  • 상수관망시스템의 운영목적은 탄력성을 높여 각종 비정상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방향으로 점차 변화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비정상상황에 따른 단수구역 발생에 대한 사후대책 대비를 통한 탄력성 향상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한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수계전환에 따른 비상공급 수원확보이며, 비상관로를 통하여 인접 배수블록으로부터 단수된 구역에 용수를 공급할 수 있다. 성공적인 비상연계 운영을 위해서는, 수리학적 해석을 통하여 시공간적인 측면에서의 공급성능을 평가해야 한다. 비상연계 시, 공간적인 범위를 결정하는 주요 요소는 관경, 위치 및 관저고와 같은 비상관로에 해당하는 제원이며, 시간적인 범위를 결정하는 주요 요소는 연계배수지의 용량과 정수장에 공급 가능한 추가수량이다. 본 연구에서는 A시의 상수관망에 대하여 배수지 1지에 문제가 발생하여 타 배수지들로부터 비상연계를 받는 시나리오에 대하여 모의를 진행하였다. 배수지의 저류량 및 유입량에 대한 모의를 위하여 Advanced-Pressure Driven Analysis 모형을 사용하였으며, 수리해석 결과를 바탕으로 공급범위기준지표 및 공급시간기준지표를 산정하여 연계공급성능에 대한 다각도적인 평가를 진행하였다. 이에 비상연계에 대하여 소비자들이 실제 체감하는 공급성능을 시공간적인 측면에서 파악할 수 있었으며, 설계제원의 타당성에 대한 검토가 가능하였다. 이는 비상연계 성능향상을 위한 구조적 대책 및 비구조적 대책 수립에 대한 의사결정에 용이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새만금사업의 친환경개발지표 설정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co-friendly Environmental Indicators for Saemangeum Project)

  • 류재홍;이상훈;구자건
    • 환경영향평가
    • /
    • 제15권4호
    • /
    • pp.279-288
    • /
    • 2006
  • Saemangeum reclamation project was started in 1991 with the purpose of eco-friendly reclamation, but without clear definition of eco-friendlines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out the environmental indicators to define and evaluate the eco-friendliness of Saemangeum project. The methodology to identify the indicators included the analysis of similar reclamation projects, professional discussions, and Delphi survey. The eco-friendly indicators are theoretically based on the five elements of eco-friendliness; 1) resource consumption, 2) energy consumption, 3) pollution emission, 4) bio-diversity, 5) social amenity. The 69 indicators were explained in detail for the convenient use of the indicators by the potential users. The 69 indicators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such as pre-evaluation, process evaluation, and post-evaluation. In terms of spatial consideration, the 69 indicators were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such as direct influence area and indirect influence area. Also the 69 indicators were classified into 7 categories: 1) sea, 2) lake, 3) agricultural land use, 4) industrial land use, 5) residential land use, 6) tourism land use, and 7) environmental land use. Twenty core indicators were selected from the 69 indicators by surveying the importance of each indicator. The core indicators are recommended in case of time and budget strain. When there are few quantitative data accumulated for the reclamation project, 5 macro indicators are recommended to be used. Macro indicators are qualitative in nature, and may be used in order to evaluate the overall eco-friendliness of a reclamation project.

Network RTK 품질 분석 방법론별 성능 지표와 사용자 항법 정확도의 상관성 (Correlation between the Position Accuracy of the Network RTK Rover and Quality Indicator of Various Performance Analysis Method)

  • 임철순;박병운;허문범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375-383
    • /
    • 2018
  • 정지한 객체의 측위에 사용되던 Network RTK (real time kinematics) 기술을 이동형 항체의 항법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보정정보와 함께 사용자의 성능을 대표할 수 있는 지표가 함께 제공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I95 (ionospheric index 95) / G95 (geodetic index 95), SBI (semivariance based index), RIU (residual interpolation uncertainty) 등의 지표 도출 알고리즘을 분석하고 이를 국토지리정보원의 기준국 원시 데이터와 VRS (virtual reference station) 사용자에 적용함으로써 정밀 항법 성능 지표로의 활용 가능성을 타진하였다. 24시간 데이터를 처리한 결과 보정정보의 비선형성을 나타낼 수 있는 RIU 지표와 Network RTK 사용자의 위치 정확도와의 상관성이 0.52로 타 지표에 비해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향후 이동 항체의 항법 성능 지표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발파암 계수의 3차원 공간 분포에 기초한 암석 파쇄도 예측 및 발파 패턴 설계 (Prediction of Rock Fragmentation and Design of Blasting Pattern based on 3-D Spatial Distribution of Rock Factor)

  • 심현진;서종석;류동우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5권4호
    • /
    • pp.264-274
    • /
    • 2005
  • 대규모 채석을 위한 최적 발파 패턴은 파쇄 입도의 분포에 따라 추산된 최소 발파 비용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파쇄 입도의 분포를 예측하는 문제는 매우 중요하다. 파쇄 입도 분포의 예측에 사용된 모델은 현장 시험발파로부터 얻은 발파석에 대한 입도 분포와 비교 검토하여 선택하였다. 그 결과 Kuz-Ram 모델을 파쇄 입도 모델로 선정하였으며, 이 모델은 현지 암반의 상태를 고려할수 있는 발파암 계수라는 지배적 인자를 사용한다. 전체 생산 비용 산정을 위해 발파암 계수의 3차원 공간 분포의 추정은 매우 중요한 문제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규모 발파 예정 대상 구역 전체의 발파암 계수에 대한 3차원 공간 분포를 추정하기 위해 순차적 지시 시뮬레이션을 적용하였다. 순차적 지시 시뮬레이션은 조건부 시뮬레이션의 한 종류로서, 크리깅 기법에 비해 높은 변동도 모델 재현성과 취득된 조사 자료의 분포 모델에 관한 정보를 활용함으로써 추정치에 대한 불확실성을 보다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발파암 계수의 3차원 분포로부터 대상 구역 전체의 발파암 TYPE을 분류할 수 있었으며, 각 TYPE별 최적 발파 패턴을 설계할 수 있었다. 또한, 지반고별 발파암 계수의 분포에 대한 정량적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각 공정단계별 비용을 추산하여 공정계획을 세우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GIS를 활용한 공간분석에서 지역 특성의 반영 방법 - 평창을 사례로 - (Regional Characteristics Reflection Method in the Spatial Analysis Applying GIS - Case of Pyeongchang -)

  • 김창환;이기환;정영호;배선학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93-106
    • /
    • 2006
  • 본 연구는 GIS를 이용한 공간분석에서 평가대상이 되는 지역의 특성을 최대한 반영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 다기준의사결정을 위한 공간분석에서 지역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단계는 평가지표값을 표준화하는 단계와 평가지표간의 중요도를 결정하는 단계로 조사되었다. 평가지표값을 표준화하는 단계에서는 실측값을 표준화값으로 변환할 때 기준이 되는 임계치의 조정을 통하여 지역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고, 평가지표간의 가중치 부여 단계에서는 토지이용 현황을 적용하여 지역 특성을 반영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지역의 특성이 반연된 평가방법으로 연구 지역의 개발가능등급 평가를 수행한 결과 기개발지역과 신규개발지역에서 모두 높은 상관도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공간평가에서 전문가 조사와 문헌 조사의 한계를 보완하여 지역의 특성을 반영 할 수 있는 방법으로 본 연구에서 적용한 방법이 타당성이 높음을 의미한다.

  • PDF

공간계획 활용을 위한 도시 열환경 취약성 평가 연구 - 서울시를 사례로 - (Vulnerability Assessment to Urban Thermal Environment for Spatial Planning - A Case Study of Seoul, Korea -)

  • 엄정희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109-120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열환경 취약성 평가에 관한 국 내외 선행연구 고찰을 바탕으로 열환경 취약성 평가에 적합하면서 도시 및 환경계획 등 공간계획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 취약성 평가지표를 선정하고, 이를 활용하여 사례지역인 서울시의 열환경 상태를 진단하였다. 이를 위해 폭염, 도시 열섬, 도시 미기후 등 국내 외 열환경 취약성 평가에 활용된 지표들을 고찰하여 도시 열환경 취약성 평가를 위한 15개 지표를 선정하였는데, 기후노출 분야의 건물체적, 민감도 분야의 열환경 취약 건축물, 적응능력 분야의 녹지면적 등 도시구조적 공간적 지표를 포함하였다. 선정된 지표 중 사례지역인 서울지역에 대해 활용가능한 12개 지표의 공간정보를 구축하고, 퍼지이론을 활용한 GIS 공간분석을 통해 서울의 열환경 취약성을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 강남 지역이 강북 지역보다 열환경에 더 취약한 것으로 파악되었는데, 강남 지역에서는 서초구, 강남구, 동작구, 영등포구, 강서구 일대의 열환경 취약성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강북 지역에서는 동대문구, 강북구, 광진구, 중랑구 일대가 다른 구에 비해서 취약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지역 및 서울시 외곽지역에 위치한 관악구, 도봉구, 은평구, 노원구 등은 관악산, 북한산 등 산림의 영향으로 인해 '기후노출'과 '민감도' 분야의 취약성이 낮았다. 하지만, 자료수집의 한계로 활용하지 않았던 '적응능력' 분야의 에어컨 보유 현황 지표가 분석에 반영된다면, 서초구, 강남구 등 취약성이 높게 평가된 지역의 결과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기존의 국내 열환경 취약성 평가에서 활용하지 않았던 도시구조적 공간적 지표를 활용함으로써 도시 및 환경계획 분야에서 열취약성을 개선하기 위한 정책 마련에 기여하고, 열환경 위험성을 저감하기 위한 공간계획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