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ces

검색결과 8,362건 처리시간 0.033초

ON THE DEBREU INTEGRAL OF FUZZY MAPPINGS IN BANACH SPACES

  • Park, Chun-Kee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B:순수및응용수학
    • /
    • 제16권3호
    • /
    • pp.315-326
    • /
    • 2009
  • In this paper, we introduce Debreu integral of fuzzy mappings in Banach spaces in terms of the Debreu integral of set-valued mappings, investigate properties of Debreu integral of fuzzy mappings in Banach spaces and obtain the convergence theorem for Debreu integral of fuzzy mappings in Banach spaces.

  • PDF

SPECTRAL DECOMPOSITION FOR HOMEOMORPHISMS ON NON-METRIZABLE TOTALLY DISCONNECTED SPACES

  • Oh, Jumi
    • 대한수학회지
    • /
    • 제59권5호
    • /
    • pp.987-996
    • /
    • 2022
  • We introduce the notions of symbolic expansivity and symbolic shadowing for homeomorphisms on non-metrizable compact spaces which are generalizations of expansivity and shadowing, respectively, for metric spaces. The main result is to generalize the Smale's spectral decomposition theorem to symbolically expansive homeomorphisms with symbolic shadowing on non-metrizable compact Hausdorff totally disconnected spaces.

SCHATTEN CLASSES OF COMPOSITION OPERATORS ON DIRICHLET TYPE SPACES WITH SUPERHARMONIC WEIGHTS

  • Zuoling Liu
    • 대한수학회보
    • /
    • 제61권4호
    • /
    • pp.875-895
    • /
    • 2024
  • In this paper, we completely characterize the Schatten classes of composition operators on the Dirichlet type spaces with superharmonic weights. Our investigation is basced on building a bridge between the Schatten classes of composition operators on the weighted Dirichlet type spaces and Toeplitz operators on weighted Bergman spaces.

근대공간의 장소성과 기억에 관한 연구 <서울역>, <온양민속 박물관>, <옥포조선소>를 중심으로 (A Study on Placeness and Memory of Modern Space With Focus on , , )

  • 배윤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권2호
    • /
    • pp.1-19
    • /
    • 2015
  • 한국의 근대화 시기는 1920년대 식민지 시기와 1960년대 경제개발시기 두 시기 나누어진다. 근대화시기에 만들어진 공간들은 대다수 국가주도형으로 생산된 공공의 공간들이다. 이러한 근대공간들은 기능성이 강조되는 공공 생산의 장소이자 근대 국가시스템의 장소정체성을 상징하는 국가권력 공간들 이었다. 사회의 변화에 따라 근대공간들은 이제 더 이상 장소적 기능을 상실한 채 모뉴멘트 건축물로 존재하며 과거의 장소정체성에 새로운 가치를 부여할 개념규정이 필요한 시기이다. 간이역, 발전소, 탄광, 물류창고, 폐 공장 등... 근대공간에 새로운 장소정체성이 확립되는 과정과 장소와 기억의 문제를 영상기록 하여 근대화의 큰 특징인 사고의 변화과정과 공간에 투영된 근대적 개념들, 근대사회의 제도, 체계 수립 과정에서 장소성, 공간 속 사람들의 관계성에 주목하고자 한다. 근대공간과 기억의 관계는 < 서울역 >에서, 근대공간과 근대 기록의 관계는 <온양민속박물관>에서, 근대공간과 장소정체성은 <옥포 조선소>에서 찾아본다. 각 장소의 정체성과 기억의 관계는 구술목소리와 영상기록을 통하여 근대공간(장소성)과 개인구술(기억)의 모순된 힘의 관계를 알아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