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lar panels

검색결과 198건 처리시간 0.031초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3RT heat pumps

  • Moon, Chang-Uk;Choi, Kwang-Hwan;Yoon, Jung-In;Jeon, Min-Ju;Heo, Seong-Kwan;Sung, Yo-Han;Park, Sung-Hyeon;Lee, Jin-Kook;Son, Chang-Hyo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1권2호
    • /
    • pp.140-145
    • /
    • 2017
  • Newly designed vapor-injection heat pumps have been proposed and analyzed in the present study. An economizer-type vapor-injection (V-I) system has been employed as the standard system because of its reliability and simple control method. The V-I system has a re-cooler and re-heater for cooling and heating, respectively. Solar panels have been installed in the V-I heat pump as well as in the re-heater in order to enhance heating capacity and performance. R410A has been employed as a working fluid and performance analysis has been conducted under various conditions.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V-I system with the re-cooler yielded a marginally higher coefficient of performance (COP) than the conventional V-I refrigeration system. (2) By increasing the re-cooler cooling capacity, enhanced system performance a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V-I system was observed. (3) The re-heater negatively affected the system performance; hence, the V-I heat pump with the re-heater yielded a lower COP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V-I heat pump used for heating. (4) Although the solar panels increased the system performance, this increase could not offset performance degradation by the re-heater.

농촌의 에너지사업 유무에 따른 경관색채 인식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Landscape Color Perception according to Existence of Energy Business in Rural Areas)

  • 김은자;한채원;최진아;권순찬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4권2호
    • /
    • pp.127-142
    • /
    • 2017
  • Recently, the rapidly growing new generation of renewable energy projects has emerged as an artificial building that creates a mix of natural environments and disruption to the environment. It serves as a quality inhibitor for rural landscapes and implies the absence of favorable rural landscape. Therefore, the study looked at the color scheme of residents, visitors, and experts in the village, which changed the color of the landscape, and analyzed the color scheme of residents, visitors, and experts. In order to do so, the village was divided into three types and conducted a survey by the general public and experts. In the case of the survey, residents of the three districts (Yeoju, Dam yang, Jeju) were surveyed for 210 residents, and the survey conducted a survey and analysis of 30 people in the area. As a result, both the general public and experts recognized the color change in the energy business, which resulted in the identification of associations and colors of the village. In addition, the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of the current situation showed that the education programs for the public were more important than the professionals, as the public show ed low levels of public awareness. Based on this research, we expect to be able to utilize the plan as a guideline for the project of installing solar panels, which is expected to be implemented in the beginning of the project, and can be used as a guideline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solar panels.

강판 마감형 조립식 벽패널 복사냉난방시스템의 냉난방 방열 특성 평가 (Evaluation of Heating and Cooling Thermal Output Characteristics of Prefabricated Steel Wall Panel System for Radiant Heating and Cooling)

  • 임재한;구보경;김성임;송승영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33권2호
    • /
    • pp.70-77
    • /
    • 2013
  • Recently the radiant panel heating and cooling system has been regarded as an alternative of low temperature heating and high temperature cooling by applying the renewable energy sources to the heating and cooling of buildings. Especially this system can be used as HVAC system alternatives in super high-rise buildings for energy saving and thermal comfort. Also it can be possible to reduce the plenum space because the minimum ventilation air will be supplied into the space. This study focused on the evaluation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thermal output in prefabricated steel wall panel system for radiant heating and cooling. In order to evaluate the thermal output according to both various supply water temperatures and supply water flow rates, three-dimensional dynamic heat transfer analysis was performed. As results, for the heating mode, thermal output increased by 26% with the supply temperature increasing by $5^{\circ}C$. The surface temperature of panels range within $1{\sim}3^{\circ}C$. For the cooling mode, thermal output decreased by 18.2% with the supply temperature increasing by $2^{\circ}C$. The surface temperature of panels range within $0.5{\sim}1^{\circ}C$ and it was shown the even temperature distribution.

외팔보 엑츄에이터 시스템 구조 및 구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ructural System and Implementation of Cantilever Actuator System)

  • 윤근영;백수황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651-656
    • /
    • 2019
  • 본 논문은 오염물질 제거를 위한 외팔보 엑츄에이터 시스템 구조 및 구현에 관한 연구이다.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외관 자재들 중 특히 유리의 경우 외부 노출로 인해 단기간에 오염이 된다. 이와 같은 오염물질은 미관상의 퇴색은 물론 사용자에게 보건상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또한 최근 신재생에너지원으로 태양광 패널에 대한 수요가 많이 증가되고 있는데, 이와 같은 태양광 패널의 발전량은 먼지 등에 의해 감소될 수 있으며, 입사량의 감소는 결국 발전량을 저해하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먼지와 같은 오염물질을 주기적으로 제거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전문 작업자가 외벽에 붙은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경우가 많은데, 안정성을 확보하였다 하더라도 현장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돌발 변수로 인해 사고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외팔보 엑츄에이터 구조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외팔보 엑츄에이터에 대한 구조적인 시스템을 구성하고 시제품을 제작하여 동작성을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는 외팔보 엑츄에이터의 오염물질 제거에 대한 효용성을 검토하였다.

폐채석장 부지 활용을 위한 유휴 공간의 태양광 발전 잠재량 분석 (Analysis of Photovoltaic Potential of Unused Space to Utilize Abandoned Stone Quarry)

  • 김한진;구지윤;박형동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31권6호
    • /
    • pp.534-548
    • /
    • 2021
  • 서울 시내를 비롯한 국내 곳곳에 채굴이 종료된 다수의 폐채석장이 존재한다. 폐채석장은 낙석 등의 안전 문제와 공간 활용도 문제로 인해 항상 개발 대상 구역으로 거론되는데, 폐채석장 인근에 현재 국가적 지원을 받는 태양광 에너지 발전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사당 IC 인근 폐채석장 부지를 대상으로, 사면에 직접 부착하는 방식과 낙석 방지 시설에 부착하는 방식 등 두 가지 상황에 대해 각각 분석했다. 관련 안전 기준 및 사례가 없어 지형 정보와 적절한 가정을 통해 사면에 직접 설치하는 태양광 패널에 대한 발전 잠재량을 추산했다. ArcGIS로 나타낸 DEM(Digital Elevation Model) 등 지형 고도 정보로부터 실제 폐채석장 절개면 부위의 표면적을 Python 프로그래밍을 통해 연산하여 설치 가능한 패널 용량과 각도를 계산하였다. 또, 낙석 방지 시설에 태양광 조사 방향으로 태양광을 설치하는 상황을 가정하여 가상의 방지벽에서의 발전 잠재량을 분석해보았다. 두 가지 방식의 발전량 도출은 모두 재생에너지 발전량 분석 프로그램 SAM(System Advisor Model)을 통해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자원 생산이 끝난 폐채석장이 다시 한번 재생에너지 자원 생산지로 활용될 가능성을 보여준다.

풍력 Sail 돛 제어장치를 이용한 친환경 태양광 레져보트의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 관련 성능평가에 대한 연구 (Performance Evaluation and Technical Development of Eco-environmental Photovoltaic Leisure Ship with Sail-controlling Device With Respect to Solar-Hybrid Generating System)

  • 오경근;문병영;이기열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57-67
    • /
    • 2016
  • As a new technical approach, an attempt was made to realize a photovoltaic system for an eco-environmental leisure ship by simultaneously actuating nine photovoltaic solar panels in association with the application of a sail-controlling system using wind energy. In this approach, the photovoltaic system consisted of a solar module, an inverter, a battery, and the relevant components, while the sail-controlling device was equipped with sail up/down and mast turning systems. The previously mentioned eco-environmental leisure ship utilizes a photovoltaic hybrid system that uses solar and wind energy as renewable energy sources. Furthermore, this research included a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manufactured prototype, the acquisition of the purposed quantity values, and development of the purposed items. The significant items, including the sail up/down speed (seconds) and mast turning angle (degrees) were evaluated for a performance test. A wind direction sensitivity of 90% and maximum instant charging power of 900 W were also obtained in the process of the performance evaluation. In addition, the maximum sail time was also evaluated in order to acquire the optimum value. The performance evaluation showed that the prototype with a photovoltaic hybrid system was suitable for sailing an eco-environmental leisure ship using solar and wind energy.

태양위치추적 캔위성의 개발 (Design of Solar Tracking CanSat)

  • 정인지;문지환;김민수;임병덕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327-334
    • /
    • 2013
  • 2012년 8월, 교육과학기술부와 KAIST 인공위성 센터 주최로 국내 최초의 캔위성 경연대회가 열렸다. 본 논문은 대학부 최우수 수상팀의 캔위성의 설계에 대한 것으로, 개념설계 단계에서 부터 대회 결과에 이르기까지의 전반적인 내용을 다룬다. 캔위성의 임무는 GPS 정보, 자세정보, 지상 이미지 정보를 송신하는 필수임무와 낙하하는 동안 태양이 떠 있는 방향으로 캔위성의 센서부를 지향하는 창의적인 임무로 구분된다. 센서부가 안정적으로 태양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도록 IMU와 Servo motor를 이용하여 자세제어를 수행하도록 설계하였다. 약 150m 상공에서 캔위성을 낙하시켜 임무 수행을 한 결과, 자세제어와 태양 위치 추적 기능이 성공적으로 수행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 모듈의 Potential Induced Degradation(PID) 현상 (Potential Induced Degradation(PID) of Crystalline Silicon Solar Modules)

  • 배수현;오원욱;김수민;김영도;박성은;강윤묵;이해석;김동환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326-337
    • /
    • 2014
  • The use of solar energy generation is steadily increasing, and photovoltaic modules are connected in series to generate higher voltage and power. However, solar panels are exposed to high-voltage stress (up to several hundreds of volts) between grounded module frames and the solar cells. Frequent high-voltage stress causes a power-drop in the modules, and this kind of degradation is called potential induced degradation (PID). Due to PID, a significant loss of power and performance has been reported in recent years. Many groups have suggested how to prevent or reduce PID, and have tried to determine the origin and mechanism of PID. Even so, the mechanism of PID is still unclear. This paper is focused on understanding the PID of crystalline-silicon solar cells and modules. A background for PID, as well as overviews of research on factors accelerating PID, mechanisms involving sodium ions, PID test methods, and possible solutions to the problem of PID, are covered in this paper.

퍼지 상태 공간 분할 기법을 이용한 지능형 태양광 추적시스템 설계 (Designed of Intelligent Solar Tracking System using Fuzzy State-Space Partitioning Method)

  • 김관형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10호
    • /
    • pp.2072-2078
    • /
    • 2011
  • 태양광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시스템은 태양을 정면으로 바라 볼 때 가장 큰 효율을 얻을 수 있다. 즉, 태양의 위치에 대한 집광판(PV; Photovoltic)의 법선벡터를 일치시켜야 가장 높은 효율을 얻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시간의 변화에 따라 태양의 이동경로를 추적할 수 있도록 태양의 그림자를 판독할 수 있는 8개의 CdS 센서 모듈을 통하여 태양의 위치를 판독하여 태양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시하고자 한다. 태양광 추적시스템의 퍼지제어기(fuzzy controller)는 퍼지 입력공간에 대한 격자형 퍼지분할(grid-type fuzzy partition) 영역으로 분할한 후 퍼지규칙(fuzzy rule)을 수립하여 시스템을 제어하도록 설계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태양광 추적을 위한 간단한 모형의 2축 제어시스템을 구성하였으며, CdS 모듈의 좌표축과 집광판의 좌표축을 일치시키도록 구성하였다. 이러한 시스템은 고정된 장소 및 선박과 같은 이동하는 환경에 효과적으로 태양광을 추적할 수 있는 지능형 퍼지제어기의 적용가능 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중막 구조를 적용한 우주용 전개형 메쉬 안테나의 열적 특성 분석 (Thermal Characteristics Investigation of Spaceborne Mesh Antenna with Dual-parabolic Surfaces)

  • 김혜인;채봉건;오현웅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86-93
    • /
    • 2022
  • 우주용 전개형 메쉬 안테나는 궤도 운용 시 RF 성능을 보장하기 위해 극한의 궤도 열 환경 하에서 극심한 온도변화에 의한 열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는 열설계가 필수적이다. 일반적으로 궤도 상에서 전력 생성을 위해 전개형 태양전지판이 주로 적용되고 있으나, 태양전지판으로 인한 그림자로 인해 안테나 표면에 극심한 온도구배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개형 메쉬 안테나 후면부에 멤브레인 시트를 적용하고, 시트 후면부에 유연 태양전지셀을 부착하여 전개형 태양전지판으로 인한 온도구배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중막 구조의 설계 방식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안테나 열설계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궤도 열해석을 통해 안테나 표면에서 발생하는 온도구배 분석을 수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