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omparative Study on the Landscape Color Perception according to Existence of Energy Business in Rural Areas

농촌의 에너지사업 유무에 따른 경관색채 인식 비교연구

  • Kim, Eun-Ja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
  • Han, Chae-Won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
  • Choi, Jin-Ah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
  • Kwon, Soon-Chan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 김은자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한채원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최진아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권순찬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Received : 2017.04.28
  • Accepted : 2017.06.15
  • Published : 2017.06.30

Abstract

Recently, the rapidly growing new generation of renewable energy projects has emerged as an artificial building that creates a mix of natural environments and disruption to the environment. It serves as a quality inhibitor for rural landscapes and implies the absence of favorable rural landscape. Therefore, the study looked at the color scheme of residents, visitors, and experts in the village, which changed the color of the landscape, and analyzed the color scheme of residents, visitors, and experts. In order to do so, the village was divided into three types and conducted a survey by the general public and experts. In the case of the survey, residents of the three districts (Yeoju, Dam yang, Jeju) were surveyed for 210 residents, and the survey conducted a survey and analysis of 30 people in the area. As a result, both the general public and experts recognized the color change in the energy business, which resulted in the identification of associations and colors of the village. In addition, the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of the current situation showed that the education programs for the public were more important than the professionals, as the public show ed low levels of public awareness. Based on this research, we expect to be able to utilize the plan as a guideline for the project of installing solar panels, which is expected to be implemented in the beginning of the project, and can be used as a guideline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solar panels.

Keywords

References

  1. 권용덕, 김덕주, 허종구, & 안점판. (2012). 농촌형 에너지 자립마을 추진방안. 경남발전연구원.
  2. 김강섭, & 이규인. (2009).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농촌주택 개발모형 및 적용기법 연구. 농림부.한국농어촌공사.
  3. 김대수. (2003). 도시경관의 통합적 개선을 위한 색채관리제도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 김대식. (2008).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한 농촌개발. 한국농공학회지, 50(2), 6-15.
  5. 김리나. (2012). 경관색채 만족도 분석을 통한 색채 디자인 기준 설정에 관한 연구: 서울시 마포구 상업.업무시설 가로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김미영, & 김광남. (2009). 경관보전직불제사업의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 농촌지도와 개발, 16(4), 837-867.
  7. 김상범, & 이상영. (2006). 농촌경관계획을 위한 공간별 주요경관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2(3), 13-18.
  8. 김소윤, 윤준상, & 박덕병. (2015). 농촌관광마을 경쟁전략. 농촌지도와 개발, 22(3), 301-319.
  9. 김윤희. (2010). 지역경관 아이덴티티를 위한 환경색채 가이드라인 개발에 관한 연구. 동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0. 김은자, & 권순찬. (2015). 지역별 경관계획 현황과 농촌마을 및 건축물의 색채관리대상요소 도출.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17(5), 41-49.
  11. 남상운, & 김대식. (2008). 친환경 농촌마을계획을 위한 재생에너지 활용방안 연구: 태양에너지 자원 분석. 한국농공학회지, 50(3), 105-112.
  12. 도재형. (2014).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농촌 그린빌리지 입지선정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동상식. (2012). 전통적 경관요소를 고려한 농촌마을 색채분석: 지붕색채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리신호, 윤성수, 박형수, 전정배, & 최애순. (2011). 신재생에너지의 농촌마을 적용방안. 농업과학연구, 38(2), 349-360.
  15. 리신호, 윤성수, 서교, 장문기, 박진선, 박형수, et al. (2009). 농어촌 뉴타운단지의 신재생에너지 적용방안 연구 보고서. 농림수산식품부.한국농공학회.
  16. 문은배, 한지원, 김영훈, & 오경선. (2014). 환경 친화적 색채를 이용한 농촌 마을의 환경색채 연구. 한국색채학회논문집, 28(4), 63-73.
  17. 박동배, 이주량, 임영훈, 심성철, 서용석, & 김명관. (2015). 농업분야 신재생에너지 정책방향 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8. 박중신, & 김승근. (2013). 농촌마을 경관요소와 경관 선호도 조사연구: 충북 보은군 산외면 대원리를 중심으로.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15(4), 103-110.
  19. 박현찬, 이성창, 정상혁, 이승지, 김승주, & 박현정. (2010). 서울도시경관에 대한 인식 변화와 차이에 관한 연구. 서울도시연구, 11(4), 33-49.
  20. 박효철. (2014). 현대 농어촌과 전통한옥마을의 색채경관 비교. 한국색채학회논문집, 28(2), 59-69.
  21. 서주환, & 이경진. (1996). 농촌 정주생활권에 있어서 경관정비계획 방법에 대한 시론.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0(1), 9-17.
  22. 손창연, & 김종구. (2016). 농촌관광활성화를 위한 경관요소 도출 및 평가: 중국 농촌관광지를 대상으로. 대한토목학회논문집, 36(5), 937-945. https://doi.org/10.12652/Ksce.2016.36.5.0937
  23. 손호기, & 김상범. (2010). 농촌체험 마을경관의 보전가치평가 연구. 농촌지도와 개발, 17(4), 897-918.
  24. 송희중, 김대식, 도재형, & 구희동. (2013). 농촌마을 단위 경관진단지표 적용 및 경관형성방안에 관한 연구: 충청북도 9개 마을을 대상으로.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9(4), 149-160.
  25. 신정숙, & 최만진. (2014). 농촌경관계획 대상요소의 도출 및 분류 개선에 관한 연구. 주거환경, 12(4), 141-150.
  26. 여화선, 동상식, & 서주환. (2010). 농촌마을의 환경색채 개선에 관한 연구: 경주시 농촌마을의 건축물 지붕 색채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지식학회, 16, 63-71.
  27. 오순환. (2013). 등록문화재 주변 경관관리를 위한 색채가이드라인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8. 이보영. (1996). 시각정보체계로서의 도시환경색채 기능과 자연색채계(NCS)적 접근방법에 의한 경관의 질적 수준제고 방안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9. 이영. (2012). 농촌경관 관리를 위한 색채 선정 기법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0. 이진숙, & 김효정. (2010). 도시상징가로의 현황색채 분석 및 평가. 한국색채학회논문집, 24(1), 65-74.
  31. 이진영, & 김영주. (2009). 서울시 도시이미지 구축을 위한 서울시 제정 '서울색' 활용방안에 대한 디자인 실무자들의 의식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18(6), 166-175.
  32. 이진영. (2009). 색채를 이용한 서울의 도시이미지 형성방안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이현승, 이진호, & 권기명. (2008). 지역색 분석을 통한 환경색채 개선에 관한 연구: 부산의 해운대구를 중심으로. Paper presented at the 한국디자인학회 국제학술대회논문집, 166-167.
  34. 임소영. (2011). 신재생에너지를 중심으로 한 농촌전력화프로그램 개발협력 모델. 한국국제협력단.
  35. 임오연. (2010). 충청남도 환경색채의 현황조사 및 분석. 한국색채학회논문집, 24(3), 101-111.
  36. 임재성. (2013). 농촌경관의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관요소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7. 황재훈, & 류경무. (2001). 청주시 성안길 상업가로서 집단별 경관인식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 2(1), 7-22.
  38. 日本文通公. (2004). 魅せる農村景觀.ぎょうせい. 東京: 証生氏.
  39. 條原修. (1999). 景觀計劃 基礎 實際. : 大宇.
  40. Rapoport, A. (1997). Human aspects of urban form. Oxford: Pergamon Press.
  41. Orland, B., Kim, S. B., Campbell, K., & Stuckeman, E. R. (2011). A study on the approaches for assessing and managing rural amenity resources value. Journal of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5(1), 11-21.
  42. Hanyu, K. (1997). Visual property and affective appraisals in residential areas in day flight.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17(4), 301-315. https://doi.org/10.1006/jevp.1997.0067
  43. Linton.H. (1999). Color in architecture design methods for buildings, interiors, and urban Spaces. New York: McGraw-Hill Professional Publising.
  44. Hull, I. V., & Stewart, W. P. (1992). Validity of photobased scenic beauty judgements.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12(2), 101-114. https://doi.org/10.1016/S0272-4944(05)80063-5
  45. Lancaster, M. (1996). Colourscape. London: Academy Editions.
  46. Keeble. L. (1969). Principle 47 and practice of town and country planning. London: The Estates Gazette Limited.
  47. Norberg-Schulz, C. (1971). Existence, space and architecture. New york: Praeger.
  48. Norberg-Schulz. C. (1975). Meaning in western architecture. New york: Praeger.
  49. Krier.R. (1991). Architectural composition. London: Edition Axel Menges.
  50. Porter. T. (1997). Environmental colour mapping, Urban Design International, 2(1), 23-31. https://doi.org/10.1057/udi.1997.4
  51. O'connor, Z. (2006). Bridging the gap: Façade colour, aesthetic response and planning policy. Urban Design International, 11(3), 335-345. https://doi.org/10.1080/13574800600888251
  52. O'connor, Z. (2006). Environmental colour mapping using digital technology: a case study. Urban Design International, 11(1), 21-28. https://doi.org/10.1057/palgrave.udi.90001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