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lanum

검색결과 548건 처리시간 0.032초

Role of Trehalose Synthesis in Ralstonia syzygii subsp. indonesiensis PW1001 in Inducing Hypersensitive Response on Eggplant (Solanum melongena cv. Senryo-nigou)

  • Laili, Nur;Mukaihara, Takafumi;Matsui, Hidenori;Yamamoto, Mikihiro;Noutoshi, Yoshiteru;Toyoda, Kazuhiro;Ichinose, Yuki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7권6호
    • /
    • pp.566-579
    • /
    • 2021
  • Ralstonia syzygii subsp. indonesiensis (Rsi, former name: Ralstonia solanacearum phylotype IV) PW1001, a causal agent of potato wilt disease, induces hypersensitive response (HR) on its non-host eggplant (Solanum melongena cv. Senryo-nigou). The disaccharide trehalose is involved in abiotic and biotic stress tolerance in many organisms. We found that trehalose is required for eliciting HR on eggplant by plant pathogen Rsi PW1001. In R. solanacearum, it is known that the OtsA/OtsB pathway is the dominant trehalose synthesis pathway, and otsA and otsB encode trehalose-6-phosphate (T6P) synthase and T6P phosphatase, respectively. We generated otsA and otsB mutant strains and found that these mutant strains reduced the bacterial trehalose concentration and HR induction on eggplant leaves compared to wild-type. Trehalose functions intracellularly in Rsi PW1001 because addition of exogenous trehalose did not affect the HR level and ion leakage. Requirement of trehalose in HR induction is not common in R. solanacearum species complex because mutation of otsA in Ralstonia pseudosolanacearum (former name: Ralstonia solanacearum phylotype I) RS1002 did not affect HR on the leaves of its non-host tobacco and wild eggplant Solanum torvum. Further, we also found that each otsA and otsB mutant had reduced ability to grow in a medium containing NaCl and sucrose, indicating that trehalose also has an important role in osmotic stress tolerance.

Organomercurial lyase 유전자를 도입한 환경정화용 형질전환 까마중(Solanum nigrum) 선발 (Selection of transgenic Solanum nigrum L. used environmental remediation expressing organomercurial lyase)

  • 최경화;김용호;정현미;최영임;노은운;김현순;전재흥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5권4호
    • /
    • pp.291-298
    • /
    • 2008
  • 수은은 산업화될수록 방출량이 많아지고 자연생태계의 먹이사슬에 의한 생물학적 축적에 의하여 결국 인간에게 강한 독성을 나타내게 된다. 최근 중금속 무독화관련 유전자를 도입한 유전자변형식물체를 이용하여 중금속의 독성을 제거하거나 저감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유전자변형생물체는 자연생태계에 미치는 환경위해성을 평가하여 안전성을 검증한 후 환경에 방출해야만 한다. 환경정화용 유전자변형생물체의 환경위해성 평가기술개발연구에 이용하기 위한 형질전환 식물체 생산을 위하여 까마중에 유기수은 (organic mercury)을 무기수은 (ionic mercury)으로 전환시켜서 독성을 저감시키는 organomercurial lyase (merB) 유전자를 도입하여 형질전환 시켰다. 유전자 도입 및 발현이 확인된 2개의 형질전환 라인 (merB1, merB4)은 유기수은제제인 MMC $0.5{\mu}M$, PMA $1{\mu}M$에서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형질전환 1세대 종자도 $2{\mu}M$ MMC와 PMA에 저항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향후 이들 형질전환체를 이용하여 환경 정화용 유전자변형생물체의 환경위해성 평가방법 개발 연구를 수행 할 것이다.

식물체(植物體)의 Glucoalkaloids 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1보(第1報) 고속액체(高速液體)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감자(Solanum tuberosum var. May Queen)의 피층부(皮層部) 및 수질부(髓質部)의 Glucoalkaloids 측정(測定) (Studies on Goucoalkaloids in Plants I.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Analysis of Glucoalkaloids in Periderm and Cortex of Potato (Solanum tuberosum var. May Queen))

  • 황춘선;이성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4
    • /
    • 1982
  • 본 연구(硏究)는 식물체(植物體)의 glucoalkaloids에 관한 연구(硏究)의 일환으로서 먼저 감자(solanum tuberosum var. May Queen)의 glucoalkaloids(${\alpha}-chaconine$, ${\alpha}-solanine$)를 고속액체(高速液體) 크로마토그래피에에 의하여 분리, 정량법을 확립하는 것과 동시에 감자를 피질부(皮質部), 수질부(髓質部)로 나누어 각각의 부위(部位)에 존재하는 glucoalkaloids 측정(測定)을 목적으로한 것이다. (1) 충전제(充塡劑)를 $Nucleosi-NH_2(10{\mu}m)$$4.0mm\; I.D{\times}15cm$$4.0mm\;I.D{\times}15cm$의 stainless steel관(管)에 충전(充塡)하여 그것을 직렬(直列)로 연결하였다. 용리액(溶離液)으로는 tetrahydrofuran : phosphate buffer : acetonitrile(50 : 25 : 25, v/v/v)을 사용하였고 검출파장(檢出波長)을 208nm, 유속(流速)을 1ml/min로 하였다. (2) 상기방법(上記方法)에 의하여 glucoalkaloids의 하나인 ${\alpha}-chaconine$은 6.92분, ${\alpha}-solanine$은 10.96분 후에 용출(溶出)하여 완전히 분리(分離)될 수 있었다. 그리고 점체 하나를 분석하는 데 12분간으로 완료하여 본 방법(方法)이 glucoalkaloids를 분석하는데는 가장 좋은 방법(方法)이라는 것을 알았다. (3) 감자를 피층부(皮層部) 및 수질부(髓質部)로 나누어서 glucoalkaloids를 조사한 결과 양부위(兩部位) 공(共)히 ${\alpha}-chaconine$${\alpha}-solanine$이 검출되었고, 피층부(皮層部)가 수질부(髓質部)보다 훨씬 그 함량이 많았다.

  • PDF

감자 껍질 분획성분의 항발암 효과 (The Effects of Anticarcinogenic Activity of Solanum tuberosum Peel Fractions)

  • 배송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905-909
    • /
    • 2002
  • 일상생활에서 애용되고 있는 감자는 조리 시 껍질이 거의 폐기되고 있는 점을 감안하여, 폐기 농산물의 재활용의 측면에서 감자껍질(Solanum tubverosum Peel)을 수거하여 추출, 분획한 후 항균 및 항발암 효과를 살펴보았다. 항균성 검사로는 5가지의 균주에 대한 감자껍질의 분획물의 농도별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 전반적으로 SPMEE에서 가장 큰 항균력을 보였으며, 특히 Pseudomonas aeruginosa 균주에서는 앞서 4가지 균에서는 활성이 없던 수층인 SPMA에서 항균활성이 크게 나타났다 감자껍질의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를 MTT assay로 실험 한 결과,3종류의 암세포 HepG2, HeLa 및 MCF- 7세포주에서 모두 ethylether분획층인 SPMEE층에서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가 크게 나타났으며 특히 MCF-7의 경우는 저농도 첨가 시부터 SPW층에서 높은 억제효과를 보였다. 또 HepG2세포를 이용한 감자껍질의 분획물의 암예방 QR 유도 활성효과를 본 결과, butanol 분획층인 SPMB에서 괄목할 만큼 높은 QR 유도 활성이 증가되었다. 본 실험 결과, 감자껍질에는 전반적으로 SPMEE층에서 높은 항균성을 보여 항균제로서의 개발가능성이 충분히 엿보이며, 나아가 암세포 증식억제효과도 SPMEE층에서 아주 컸다. SPMB와 SPMEA층에서도 그 효과가 돋보인다. 암을 예방하는 inducer는 SPMB층에 많이 존재하는 것으로 사료되며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기초로 하여 폐기 감자껍질을 이용한 단계적인 생리활성 물질의 분리 동정이 계속 이루어져 폐기식품 활용 및 건강 대체 식품 개발의 연구 대상으로서 기대가 되는 바이다.

까마중(Solanum nigrum L.)의 유식물 절편체에서 부정아 형성 및 식물체 재분화 (Adventitious Shoot Formation and Plant Regeneration from Explants of Solanum nigrum L.)

  • 오순자;고석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77-284
    • /
    • 2012
  • 본 연구는 기내에서 발아된 까마중 유식물체의 조직별로 신초 및 뿌리 유도를 통해 효율적인 재분화 조건을 확립하고자 실시하였다. 신초 형성은 식물체 부위별로 서로 달랐으며, 잎에서의 신초 형성빈도가 자엽이나 하백축 그리고 상배축보다 높았다. 절편체당 신초의 수는 잎과 자엽에서 다소 많았으며, 신초의 길이도 다른 부위에 비해 잎과 자엽에서 빠른 증식과 신장을 나타내었다. 특히, 2.0 mg $L^{-1}$ BAP가 첨가된 배지에서 재분화율, 신초의 수와 길이가 증가하여 2.0 mg $L^{-1}$ BAP가 고빈도 신초의 유도 및 생장에 효율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뿌리분화는 IBA와 IAA가 NAA보다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0.05 mg $L^{-1}$ IAA가 첨가된 배지에서 뿌리 형성율이 90%이며, 뿌리의 갯수와 길이도 각각 평균 4.0개와 7.82 cm로 가장 양호하게 나타났다. 더욱이 배양토에 이식한 재분화체는 100%의 생존율을 보였으며 정상적인 식물체로 생장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2.0 mg $L^{-1}$ BAP 조건에서의 잎 절편에서 다발성 신초 유도, 그리고 0.05 mg $L^{-1}$ IAA 조건에서의 뿌리형성 유도가 까마중의 대량번식을 위한 최적의 조건임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