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status satisfaction

검색결과 550건 처리시간 0.024초

불완전고용의 선행요인 및 불완전고용이 조직 적응에 미치는 영향 (Underemployment of the Reemployed: Antecedents and Effects on Organizational Adaptation)

  • 노연희 ;김명언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7권1호
    • /
    • pp.19-49
    • /
    • 2011
  • 본 연구의 첫 번째 목적은 불완전고용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고, 두 번째 목적은 불완전고용이 조직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는 종단으로 설계되어 2회의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가 수집되었으며, 1차 조사 시점에서 미취업 상태에 있었으나 2차 조사 시점에서는 재취업한 153명으로부터 자료를 얻었다. 불완전고용의 측정치는 임금, 사회적 지위, 기술활용도 및 고용형태변화의 차원에서 여섯 개의 측정치-'임금변화비(현재 임금/실직 전 임금)', '지위변화비(현재 직업지위/실직 전 직업지위)', '학력격차비(요구학력/실제학력)', '정규직에서 비정규직으로 고용형태가 변화했는지의 여부' 및 자기보고방식의 지각된 과잉자격 척도의 '성장가능성부재'와 '자격불일치' 요인-로 측정되었다. 먼저 불완전고용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의 효과를 살펴보고자, 선행요인으로 인구통계변인(성별, 연령, 학력 및 실업기간), 상황변인(경제적 곤란도와 부양가족 수), 개인특성변인(구직효능감, 우울·불안, 잠재적 기능)을 설정하였다. 주요 결과로는 연령이 높을수록 임금과 지위는 하향 변화하였고, 경제적 곤란도가 높을수록 자신의 학력보다 낮은 학력이 요구되는 직업에 재취업하였으며, 부양가족 수가 많을수록 직업지위가 하향 변화하였다. 개인특성변인 중 실업기간 동안 취업의 잠재적 기능을 유지할수록, 성장가능성부재로 측정된 불완전고용의 가능성을 낮추었고, 구직효능감이 높은 경우에도 마찬가지 결과를 보였다. 실업기간 동안 우울·불안 수준이 높을수록 자신의 학력보다 낮은 학력이 요구되는 직업에 재취업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불완전고용이 직무-조직 적합도 지각, 조직몰입,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로 측정된 조직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학력격차비 측면에서 불완전고용의 정도가 높을수록 개인-조직 적합도, 정서몰입 및 직무만족을 낮게 지각하였다. 또한 정규직에서 비정규직으로 변화할수록 정서몰입과 직무만족을 낮게 지각하였다. 그리고 성장가능성부재와 자격불일치는 조직 적응 전반에 걸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리조트 고객의 소비가치와 고객만족 및 행동의도와의 인과관계 연구: 성별과 결혼유무에 따른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Consumption Value Perceived by Resort Customers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s by Gender and Marital Status)

  • 김영중;권영국;윤혜현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72-89
    • /
    • 2012
  • 본 연구는 국내 리조트를 이용하는 고객들이 인지하는 소비가치가 고객만족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고, 이러한 인과관계에서 성별과 결혼유무에 따른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실증연구를 위해 확보된 324개의 표본을 바탕으로 연구모형의 신뢰성, 적합성 등을 검토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총 4개의 가설을 검증하였으며, 모형의 적합도는 ${\chi}^2$=467.489 (p<.001), df=326, CMIN/DF=1.434, GFI=.911, AGFI=.889, NFI=.881, CFI=.960, RMSEA=.037등으로 조사되었다. 연구결과 소비가치의 하위 차원 중 상황적 가치를 제외한 기능적 가치, 사회적 가치, 정서적 가치, 진귀적 가치는 고객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고객만족은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를 통해 고객들이 인지하는 리조트의 소비가치는 고객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쳐, 결과적으로 행동의도에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하게 된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한편 소비가치가 고객만족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성별과 결혼유무에 다른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성별과 결혼유무에 따른 조절효과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여대생의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이 우울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 (The Convergent Effect of Stress,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on Depression in Female Students)

  • 이선영;이정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2호
    • /
    • pp.335-344
    • /
    • 2016
  • 본 연구는 여대생의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2015년 11월부터 12월까지 여대생 249명으로부터 자기기입식 설문을 조사하였다. 연구도구는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 우울이었다. 자료분석은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상관분석,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 일반적 특성과 관련한 우울의 차이는 학년(F=7.03, p<.001), 건강상태(F=15.19, p<.001), 전공만족(F=18.02, p<.001), 동아리(t=1.98, p=.049)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여대생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스트레스(${\beta}=.45$, p<.001), 자아존중감(${\beta}=-.34$, p<.001), 사회적 지지(${\beta}=-.14$, p=.004), 전공만족(${\beta}=-.11$, p=.018) 순이었다. 우울을 낮추기 위해 스트레스에 대처하도록 하고 자아존중감이나 사회적 지지를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여대생들의 정신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노인 근로자의 일자리 특성이 흡연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Job Characteristics on Smoking and Mediating Effects of Job Stress among Older Workers)

  • 이성은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51-61
    • /
    • 2014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job characteristics on smoking,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job stress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smoking among elderly workers. Methods: This study employed data from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and a total of 778 older workers were used for analysis. Current smoking status, job stress, job characteristics including physical job demands, job demands related to contents, working days, regularity of working hour, satisfaction with income, and sociodemographic factors were analyzed. Descriptive analysis, t-tests, chi-square test,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d logistic regression were used for analysis. Results: Results showed that physical job demands and regularity of working hours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smoking of elderly workers. The higher level of physical job demands and regular working-hour increased the risk of smoking. Also, physical job demands, job demands related job contents, and income satisfaction directly impacted on job stress. However, job stress did no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smoking. Conclusions: The findings suggest that smoking interventions for older workers should take into account job characteristics. Implications for practice and future study directions are discussed.

농촌 다문화 가정의 특성 및 유형분석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Rural Areas)

  • 이남효;김은순;김정연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95-108
    • /
    • 2016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rural areas and to classify their types by applying multi-variate techniques and cluster analyses. Data for the study were obtained by a surveying 120 married migrant females in rural areas of Chungchengnam-do, South Korea. By utilizing the factor analys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families, 16 basic variables related to these female subjects were categorized into 6 factors: 'marriage length and age', 'language skill of migrant female', 'language skill of husband', 'family satisfaction', 'income and education', and 'general living satisfaction in Korea with remittance'. By appling the cluster analysis, multi-cultural families in rural areas were divided into the following 5 types: 'stable settlement', 'average but stagnant', 'below average yet positive', 'high- income with little communication', and 'young low-income'. In all types, it is strongly recommended to develop various programs regarding vocational education for the migrant females in order to increase their economic opportunities as well as social status.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조직효과성과의 관계 - 개인 및 조직특성 중재효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es :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Personal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 김정희;문혁준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5권8호
    • /
    • pp.49-59
    • /
    • 2007
  •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eacher empowermen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personal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on the relationship of teacher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e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808 teachers who worked at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all parts of Korea. This study was surveyed with the questionnair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eacher empowerment had a positive and meaningful influence on all components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uch as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Secondly, as for the moderating effects of personal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on the relationship of teacher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eachers' educational background had moderating effects on job performance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married or unmarried status of teachers, teachers' experiences in other institutes, type of institute, and the number of teachers working in an institute had moderating effect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lso, the number of teachers working in an institute had moderating effects on job satisfaction. However, teachers' period of service in their present institutes didn't have moderating effects between teacher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남녀 청소년의 친사회적 행동 관련 변인 연구 (Correlates of Prosocial Behaviors in Male and Female Adolescents)

  • 이승미;이경님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6권2호
    • /
    • pp.1-12
    • /
    • 2008
  • The variables studied in relation to adolescents' prosocial behaviors were grade, prosocial moral reasoning, empathy, self-esteem, parental prosocial behaviors, support and marital conflict, social economic status, peer prosocial behaviors and support, teacher support,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The sample consisted of 837 seventh and tenth grade adolescents. Statistics and methods used for the data analysis were Cronbach's alpha, frequency, percentage,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Several major results were found from the analysis. First, female students had more prosocial behaviors than male students. Second, male and female students' prosocial behaviors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grade, prosocial moral reasoning, empathy, self-esteem, parental and peer prosocial behaviors and support, teacher support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However, female students' prosocial behaviors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parental marital conflict. Third, important variables predicting male and female students' prosocial behaviors were empathy, peer prosocial behaviors and parental prosocial behaviors. Important variables predicting male students' prosocial behaviors were teacher support and prosocial moral reasoning. On the other hand, the important variable predicting female students' prosocial behaviors was self-esteem.

서울지역 의류학 전공 대학생들의 진로결정수준에 관한 연구 (Career Decision Level of Clothing and Textile Major College Students in Seoul Area)

  • 이민선;이윤정;문희강;이예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4권11호
    • /
    • pp.1870-1879
    • /
    • 2010
  • This study aimed at examining the career decision level of Clothing and Textile major college students in Seoul area. With the increasing rates of youth unemployment, preparing college students for their future career and guiding them in making career decision is imperative.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 and motivation orientation were considered as influencing factors, as well as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 survey was conducted to 282 students majoring Clothing and Textiles at seven universities and 277 complete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The questionnaire measured respondents' major satisfaction, motivational orientation, career decision level, and demographics (gender, age, school and department names, class standing, expected graduation date, subjective social status, and GPA). Descriptive statistics, K-means cluster analysis, one-way analysis of variance followed by Duncan multiple comparisons were conduct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Clothing and Textiles majors were overall satisfied with their major, but the satisfaction level was higher for female than male students. Those who were satisfied with their major were less likely to feel anxious about career decision-making. The High-Motivation group and the Intrinsic-Motivation group showed lower anxiety over career decision-making compared to Low-Motivation and Extrinsic-Motivation groups. This study has implications for college advisors in that it provides basic information on students' career decision level and the influencing factors.

노인교육 참여가 노인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A Study about the Effects of Education for the Elderly on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 이진희;김욱
    • 한국노년학
    • /
    • 제28권4호
    • /
    • pp.887-905
    • /
    • 2008
  • 본 연구는 노인교육 참여가 노인이 지각하는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개념을 노인이 경험하는 부정적 정서상태인 고독감과 긍정적 정서상태인 삶의 만족도로 구분하여 노인교육 참여가 노인의 고독감 감소와 삶의 만족도 증진에 기여하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에 거주하는 만 60세 이상 노인 288명(노인교육 참여 146명, 노인교육 비참여 142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고, SPSS 13.0 WIN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사도구는 UCLA 고독감 척도, 삶의 만족도 척도(LSIZ) 그리고 일반적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연구결과, 노인교육 참여노인이 비참여노인에 비해 고독감은 낮고 삶의 만족도는 높게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과 노인교육 참여여부를 포함하여 실시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건강상태가 나쁠수록,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노인교육에 참여하지 않을수록, 주관적 생활수준이 어려울수록 고독감이 높았고, 희귀모형은 전체고독감 변량의 22.1%를 설명해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건강하다고 느낄수록, 노인교육에 참여할수록, 종교활동을 할 경우, 주관적 생활수준이 부유할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았고, 희귀모형은 전체 삶의 만족도 변량의 28.1%를 설명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로부터 노후생활과 노인교육을 위한 정책, 실천, 그리고 후속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노인장기요양 인력의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 만족이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Work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n Turnover Intention: A Study of Long-term Care Workers)

  • 이주재
    • 한국노년학
    • /
    • 제31권2호
    • /
    • pp.277-290
    • /
    • 2011
  • 이 연구는 노인장기요양 인력의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 만족이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들의 이직 의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제언을 하고 있다. 장기요양서비스를 제공하는 인력의 높은 이직률이 노인들에 대한 서비스 연속성과 서비스 질을 방해하고 있기 때문에 이직에 대한 해결책이 필요하다. 연구 대상은 전남지역 노인장기요양기관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 간호사, 요양보호사를 포함하는 직원 235명이다. 조사 기간은 2009년 7월 1일부터 10일까지 진행하였고, 자료수집은 자기기입식 방법의 설문지를 활용하여 수집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 SPSS 12.0을 이용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사용한 직무스트레스 척도는 MBI의 정서적 탈진 척도롤 활용하였고, 직무 만족은 한국노동패널의 전반적 직무만족도 척도를 활용하였으며, 이직 의도는 조직구성원의 자발적 이직 의도를 측정하는 척도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에 의하면, 사회인구학적 특성으로 연령, 교육수준, 직위, 기관위치 등의 변수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 만족 변수도 이직 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쳤다. 연구 결과를 통해 이직 의도를 예방하기 위하여 직무 스트레스를 줄이고, 직무 만족을 높이는 전략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결론으로 장기요양 인력의 이직 의도를 예방하기 위한 제도적 실천적 함의를 제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