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Welfare Facility

검색결과 255건 처리시간 0.033초

통합돌봄센터 계획을 위한 고령인구의 종합사회복지관 이용실태 연구 - 경기도 남부 4개 사회복지관을 대상으로 (A Study on the Use of General Social Welfare Facilities for the Planning of Integrated Care Center - Focused on four social welfare facilities in Southern Gyeonggi-do)

  • 한은비;장진샹;권순정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6권2호
    • /
    • pp.71-79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basic data for desirable location and functions of the integrated care center. Methods: Survey, Questionaire and statistical analysis are the main research method of this study. In order to collect data related to utilization pattern and favorite functions of the senior people, researchers have visited 4 social welfare facilities located in Southern Gyeonggi Province. 403 questionaires have been gathered from 4 facilities and they have been analyzed by using Excel Program of MS. Results: First, compared to other services, healthcare services have been preferred by many older people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This means that integrated care centers providing healthcare services for older people rather than services for children or disabilities is desirable. Second, Integrated Care Centers had better be established within the walk distance of elderly people. If it is not easy, the introduction of shuttle bus for older people is desirable. Especially, in case of large Care Center. Implications: This study shows that small facility with community care rather than big facility is desirable for small community in the point of friendliness, convenience, economy, etc.. However it is necessary to combine welfare service and healthcare service even in small centers.

노인요양시설의 서비스품질이 서비스만족과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rvice quality to service satisfaction and decision making in elderly care facility)

  • 김인;신학진
    • 한국노년학
    • /
    • 제29권2호
    • /
    • pp.579-591
    • /
    • 2009
  • 본 연구는 사회복지시설 특별히 노인요양시설의 선택이라는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실시에 따라서 시설이용자는 서비스선택이라는 의사결정에 직면하게 된다. 하지만 이용자의 의사결정이란 우리나라의 사회복지 현실에서는 비교적 새로운 개념이다. 검증을 위해서 전북지역의 20개 노인요양시설로부터 212명의 응답자에게 자료를 수집했고, 구조방정식(SEM)을 이용해서 분석했다. 연구모형으로 서비스품질은 서비스만족을 매개로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친다는 모형을 제안했다. 구조방정식을 통한 분석결과 서비스품질에서 서비스만족 경로의 표준경로계수는 0.556(t=4.608, p<0.01)으로 나타났고, 서비스 만족에서 의사결정 경로의 표준경로계수는 0.785(t=5.249, p<0.01)로 나타났다. 모형의 절대적합지수는 χ2 = 580.151(d.f.=317, p-value=0.000)이고, RMSEA=0.063이며, 상대적합지수 CFI=0.915로 모형은 절대적으로 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적합했다. 또한 서비스품질의 결정요인인 응답성, 신뢰성, 확신성, 공감성, 유형성이 검증되었고, 이들의 서비스품질 결정 가중치는 제시된 순서임이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는 서비스품질이 노인요양시설 이용자의 의사결정으로 이어지는 모델과 요인간의 역학관계를 제시하고 있으며, 시설관리자가 시설운영을 위해서 고려해야 할 서비스품질, 서비스만족, 그리고 의사결정과 관련된 요소를 시사하고 있다.

일본 정신보건복지센터의 운영체계 및 시설유형 분석연구 (1) (A Study on the Management System and the Facility Type of Mental Health and Welfare Center in Japan (1))

  • 임은정;채철균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57-65
    • /
    • 2014
  • Purpose : Mental health service desire has been diversified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economic level and rapid social change. Mental Health and Welfare Center(MHWC) is a provider of mental health services in Japan. This is a basic stage study which will suggest the architectural planning guidelines for MHWC. Methods : Data were collect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field surveys, and expert interviews to 69 MHWC in Japan. 1) Research for the policy and legal aspects of mental health support system. 2) Research for structural aspects of MHWC: Characteristics of establishment, management, and regional factors. 3) Research for the physical environment aspects of MHWC: Classification and evaluation of MHWC's Type by locational characteristics in Japan. Results :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into three points. The first one, Mental Health and Welfare Center's service has being expanded to suicide, depression and stress from chronic mental illness, to reflect social needs. The second one, The average population of area installed at Mental Health and Welfare Center was 2,307,570 person, and average area of the regions were $5,745m^2$. The third one, Mental Health and Welfare Center is divided into single-structure type and combine-structure type. And combine-structure type is divided into medical-combine type, welfare-combine type, and public-combine type.

노인의료복지시설 종사자들의 근무환경과 관리자 신뢰, 서비스 질과의 구조적 관계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Working Environment, Manager's Trust, and Service Quality of Workers in Elderly Medical Welfare Facilities)

  • 김미숙;정행준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63-172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료복지시설 종사자들의 근무환경과 관리자 신뢰, 그리고 서비스 질과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연구 모델을 설정하고 이를 규명하는데 있다. 그 결과 첫째, 노인의료복지시설 종사자들의 근무환경과 서비스 질 간에 유의한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료복지시설 종사자들의 근무환경과 관리자 신뢰는 유의한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노인의료복지시설의 목표 달성과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해서는 구성원들의 근무환경 조성과 신뢰관계 형성이 선행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노인의료복지시설 종사자들의 역량 함양과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관리자들은 구성원들의 개인 특성을 이해하고, 역할에 따른 임무를 부여하기 위하여 정확한 업무 분장과 인사관리가 필요 할 것이다.

사물인터넷 환경에서 청소년수련시설 종사자의 사회적 지지가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Service Quality of Youth Training Facility Employees in Internet of Thing Environment: The Mediating Effect of Empowerment)

  • 윤기혁;이진열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6권1호
    • /
    • pp.31-38
    • /
    • 2020
  • 본 연구는 청소년수련시설 종사자의 사회적 지지가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청소년수련시설 종사자의 서비스 질 향상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첫째, 사회적 지지와 임파워먼트는 서비스 질에 정적인 영향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둘째, 임파워먼트의 부분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종사자의 사회적 지지를 위해 청소년수련시설의 중간관리자와 시설장은 인터넷, 스마트 폰 등 사물인터넷 환경을 활용해야 한다. 둘째, 임파워먼트 향상을 위해 업무와 관련된 정보지원, 보상과 관련된 물질지원, 업무 처리와 관련된 평가지원 등의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종사자의 임파워먼트 향상을 위해 사물인터넷 환경을 활용한 증강현실(AR), 가상현실(VR), 플립러닝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f Deinstitutionalization News Articles for the Disabled: Focusing on Fairclough'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 JungHyun Kim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1권2호
    • /
    • pp.36-43
    • /
    • 2023
  • This study aims to derive discourse's linguistic meaning, production method, and social practice implications by analyzing news reports on de-facility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o this end, the discourse was analyzed by applying Fairclough's framework of critical discourse analysis. The subject of analysis is a news article on the de-facility of the disabled on the N portal site, and the analysis period is one year, from January 1 to December 31, 2022. First,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urface meaning of the news discourse on the de-facility for disabled people was ideological through the seriousness of the problem for disabled people, the poor environment, and the policy of de-facility for disabled people separated from reality. Second, the social meaning of the de-facility news discourse for disabled people appeared from a realistic perspective, such as the structural cause of the problem for disabled people and the need for sensible government policies and measures to practice de-facility for disabled people. Finally, the socio-cultural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de-facility news discours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proposed the development of a systematic and realistic de-facility management manual for the disabled, practical government policy support, and changes in self-support perception for disabled peopl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help find an alternative direction to reduce the gap between actual policies for de-facility for disabled people and practice in the field in the future.

고령자를 위한 지역 통합적 복지시설 계획 - 독일의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f Integrated Community Welfare Facilities Planning for the Elderly - Focused on the case in Germany -)

  • 남윤옥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4권7호
    • /
    • pp.75-84
    • /
    • 1998
  • Like all other European countries, as a result of gradual industrialization, Germany is just before the start of new social system; the so-called 'aged society'. Over half of the century, Germany focused their welfare system on facilities. However, with the start of the new 'aged society', they introduced a new concept which consists mainly on home care and community care. These new concepts resulted from the general idea that even elderly have the right to live an independent quality life. Therefore, to satisfy the elderly with such life it has been seen as necessary not only to offer them efficient protection but to introduce an economical welfare system and facility scheme. The regional integration plan for welfare is one of the open schemes in which the lifestyle of the elderly are seen as the whole. Participated by several members and specialists of all social standings, necessary facilities are planned. By looking into a project example carried out in Germany, this study is aimed to increase the quality of the elderly welfare system and facility construction plan.

  • PDF

정신장애를 가진 노숙 청년의 시설 이용 경험 : 탈시설화의 이면(裏面), 생존을 위한 두 체계의 반복 이용을 중심으로 (Experiences of Institutions Utilization among Homeless Young Men with Mental Health Problems: Inevitable Repeated Usages between Two Facility Systems behind the Deinstitutionalization)

  • 김소영
    • 사회복지연구
    • /
    • 제48권3호
    • /
    • pp.83-116
    • /
    • 2017
  • 정신건강복지법의 개정으로 촉발되고 있는 탈시설화 논의는 정신보건영역의 시설로부터 지역사회로 정신장애인의 삶의 공간을 이동시키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탈시설화 논의가 이 두 공간에서의 단선적 이동만을 상정한 채, 특히 가족관계가 단절되고 경제적으로 심각한 어려움에 처해 있는 취약한(vulnerable) 정신장애인의 시설 간 순환을 남겨둔 채 진행되는 것에 문제를 제기하고자 하였다. 특히 정신보건시설체계와 노숙인시설체계를 넘나들며 시설에 의존해야 하는 이들의 문제를 조명함으로써 탈시설화의 논의를 보완하고자 하였다. 이 두 시설체계를 반복적으로 이용하는 정신장애를 가진 남성 청년노숙인의 사례를 통해 생존을 위해 정신질환과 노숙이라는 중첩된 위험을 관리하며 끊임없이 장소를 바꾸어가며 시설을 이용하는 패턴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것은 시설 간 의뢰와 자원이 없는 당사자들의 자발성에 기대어 더욱 촉발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상황은 지역사회 내에서 삶을 영위할 수 있을 정도의 자원과 지지체계가 부재한 상황에서 사실상 불가피한 선택으로 여겨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설을 맴도는 정신장애인의 삶은 여전히 지극히 불안정하고 복지의 관점에서도 바람직하지 않다는 점에서 확장된 탈시설화 논의를 통해 심각히 고려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한국과 일본의 노인복지시설 관련정책의 비교 고찰 (Comparative Study of Welfare Facility Policies for the Elderly in Korea and Japan)

  • 남윤철
    •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109-117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our elderly welfare policy and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and to propose the future direction of policy for the elderly with comparison to that of Japan. The comparative study results of Korea and Japan are as follows: As the basis of elderly welfare, care insurance for the elderly is now fixated in the two countries. On the other hand, for quantitative expansion in Korea, the quality level has been gone down. Due to qualitative evaluation, the growth of facilities has slowed and material welfare providers was also a decline in the number of operators. Two countries in the field of community welfare in recent years has been actively promoting. It is the most important to solve the social welfare problem with local councils who know the area, which is a part of the future to focus and to support. Due to huge construction investment of facility, there is the burden of operators. This facility is appropriate for an extension of the home. However, it is in the hard economic times. Until now, the number of people in a room is at least four according to the legal standard of Korea, there are a few private rooms. On the other hand, in Japan, unit-care was phased since 2002 and private rooms have been expanded. In Japan, health center for the elderly plays an important role with special elderly nursing home among facilities for the elderly. Health center provides services that are recovering, nursing, and caring to support independence for the elderly after acute phase of treatment. As treatment and care, the aim of health center is to return the elderly to home. On the other hand, there are a few health centers for returning the elderly to home in Korea. Furthermore, in Japan, a project for preventive care has been begun. The project is needed in Korea.

사회복지조직의 조직효과성 연구경향 분석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What Can We Learn From Past Research? A Review)

  • 박지혜;박은주;조상미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1권1호
    • /
    • pp.33-55
    • /
    • 2009
  • 본 연구는 1980년 이후 사회복지조직의 효과성 연구를 다룬 논문 20편의 연구경향을 파악함으로써 사회복지조직의 조직현상에 대한 이해 도모, 조직관리에의 실천적 함의 제공 및 향후 사회복지조직의 조직효과성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대부분의 연구가 사회복지관과 생활시설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조직효과성의 이론적 기반으로 내부과정접근모델이 가장 많이 적용되고 있어, 향후 사회복지조직의 성장과 외부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조직과 지표 및 연구방법론의 활용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조직관리 측면에서 조직효과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집단적 개발적 조직문화, 분권적 조직구조, 변혁적 리더십, 외부와의 개방적 관계 활용을 제안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