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Entrepreneurial orientation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19초

기업가지향성, 시장지향성,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사회적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Market Orientation, 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on Performance in Social Enterprise)

  • 장성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355-366
    • /
    • 2014
  • 본 연구는 사회적 기업의 기업가지향성이 시장지향성, 기업의 사회적 책임(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및 사회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사회적 기업의 성과, 기업가지향성, 시장지향성, CSR활동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연구모형 및 가설을 설정하였다. 기업가지향성은 혁신성, 진취성, 위험감수성으로 분류하고, CSR활동은 지역사회의 책임과 환경적 책임으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연구모형은 사회적 기업으로 인증을 받은 115개의 사회적 기업을 대상으로 Smart PLS 2.0을 이용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혁신성과 진취성은 시장지향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위험감수성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장지향성은 지역사회의 책임과 환경적 책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지역사회의 책임과 환경적 책임은 사회적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업가지향성, 시장지향성, 기업의 사회적 책임 및 사회적 성과와의 영향력을 검증하여 사회적 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경력지향성과 노후준비도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네트워크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Individual Career Orientation and Preparation of Old Age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Focused on the Effects of Moderating Role of Social Networks)

  • 김은경;김종근
    • 벤처창업연구
    • /
    • 제10권6호
    • /
    • pp.27-36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잠재적 창업가의 개인 경력지향성, 노후준비도, 사회적 네트워크, 그리고 창업의지 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하고자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에 거주하는 잠재적 창업가들이며, 총 408명의 표본을 분석자료로 활용했다. 자료 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온라인 구글 설문방법과 오프라인인 면대면 설문 방법으로 수집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타당성분석, t-test, ANOVA,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력지향성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창업의지에 대하여 혁신지향성과 사업지향성, 자율지향성은 정(+)의 영향을 미치고 안정지향성은 부(-)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노후준비도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창업의지에 대하여 경제적 준비와 정서적 준비가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사회적 네트워크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창업의지에 대하여 조력과 롤모델 모두가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경력지향성과 창업의지와의 관계를 사회적 네트워크가 조절하는지를 분석한 결과 안정지향성과 사회적 네트워크의 조절효과가 있었으며, 이를 제외한 나머지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다섯째, 노후준비도와 창업의지와의 관계를 사회적 네트워크가 조절하는지를 분석한 결과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 PDF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창업의지 결정요인 비교분석 (A Comparison of Determinant Factors of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among Korean and Chinese Students)

  • 이지석;속대붕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권2호
    • /
    • pp.65-81
    • /
    • 2010
  • 본 연구는 한국 대학생과 중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경력지향성, 사회문화적 요인, 자기권능감이 창업의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한국과 중국 대학생들 간에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를 분석했다. 첫째, 경력지향성에서 기술지향성, 안정지향성, 자율지향성 수준은 한국 대학생이 중국 대학생 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 반면에 사업지향성에서는 한국 대학생이 중국 대학생 보다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사회 문화적 요인 중 기업이미지 수준은 한국 대학생이 중국 대학생 보다 낮게 나타났다.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창업의지 수준을 비교분석해 본 결과, 한국 대학생이 중국 보다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경력지향성 변수 중에서 사업지향성은 한국과 중국 대학생 모두 창업의지에 유의적 정(+)의 영향이 있었고, 안정지향성에서는 한중 대학생 모두 창업의지에 유의적으로 부(-)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권능감과 기업이미지는 한중 대학생 모두 창업의지에 유의적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네트워크 환경(가설 2-2)에서는 한국 대학생의 창업의지에는 가설이 기각된 반면에, 중국 대학생의 창업의지에는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Social Media Strategic Capability and the Distribution on Innovation Performance for High-Tech SMEs

  • NGAMMOH, Niramarn;MUMI, Atthaphon;POPAITOON, Sujinda;ISSARAPAIBOOL, Achariya
    • 유통과학연구
    • /
    • 제19권8호
    • /
    • pp.37-46
    • /
    • 2021
  • Purpose: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how high-tech SMEs can enhance innovation performance through the application and distribution of social media strategic capability and whether entrepreneurial orientation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media strategic capability and innovation.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e study followed a deductive approach based on the quantitative design in investigating the proposed relationships. The data was collected using a questionnaire, and the proposed relationships were examined based on a sample of 221 high-tech SMEs through the applic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By applying SEM, this study accounted for hidden and unobservable factors as well as reconciled the potential measurement errors. Results: As hypothesized, it was confirmed that social media strategic capability positively influences innovation performance. Besides, the findings supported the moderating effect of three dimensions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innovativeness, proactiveness, and risk-taking) towar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media strategic capability and innovation performance. Conclus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high-tech SMEs can enhance their innovation performance through social media by distributing and applying social media strategic capability along with entrepreneurial orientation. This study thereby enriches the literature of innovation on high-tech SMEs for implementing social media strategies as well as stimulating future social media research for entrepreneurship.

Orientation of Youth towards Social Entrepreneurship: An Empirical Study from Pakistan

  • ZUBAIR, Syed Sohaib;AYOOB, Ifrah;ALI, Kashif;KHAN, Mukaram Ali;AZAD, Muhammad;ZEESHAN, Muhammad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9호
    • /
    • pp.67-77
    • /
    • 2021
  • The importance of Entrepreneurship has been widely acknowledged by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worldwide, however, the idea of Social Entrepreneurship is still considered to be an emerging area. Entrepreneurship is vital not only because of its economic impacts but also because it helps to address issues of poverty and welfare, where it can act as a catalyst for change. The importance of social entrepreneurship is that it serves to turn a profit and find success while helping others throughout the world. They know the power of social enterprise and are eager to serve the societal and economic benefit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level of orientation of youth towards social entrepreneurship in Pakistan. The study identifies the role of various factors that affect Social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is conducted following a quantitative research strategy and survey research design where data is collected from 302 individuals.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and to test the hypotheses. The main finding of this research is that there is an increasing trend in the orientation towards social entrepreneurship. The exogenous variables namely Perceived Educational Support, Perceived Structural Support, and Perceived Relational Support were found to have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s on the endogenous construct of Social Entrepreneurial Orientation.

필리핀 스타트업의 기업가적 지향성과 기업성과에 관한 연구: 사회적 자본의 매개 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Startup Performance: The Cases from the Philippines)

  • 정지훈;김기석;조대연
    • 벤처창업연구
    • /
    • 제15권6호
    • /
    • pp.81-94
    • /
    • 2020
  • 스타트업은 혁신적 기술과 새로운 창업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창업하는 과정에서 조직의 역량 강화 및 성과를 창출해야 하는데, 그 과정에 필수불가결한 기업가정신에 대해 활발한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본 연구는 필리핀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스타트업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기업가적 지향성과 기업의 재무적 및 비재무적 성과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뿐만 아니라 사회적 자본을 매개변수로 하여 이것이 기업의 성과에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필리핀 93개의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완료하였으며, 필리핀 기업에 대한 탐색적인 목적으로 PLS-SEM 기반의 구조방정식모델로 활용하여 모형의 적합성을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필리핀 스타트업의 기업가적 지향성은 기업의 재무적 및 비재무적 성과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필리핀 스타트업의 기업가적 지향성은 사회적 자본의 구조적, 인지적, 그리고 관계적 차원에서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자본의 관계적 차원이 기업가적 지향성과 기업의 재무적 및 비재무적 성과와의 관계를 모두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기업가적 지향성은 사회적 자본을 통해 스타트업의 성과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기업가적 지향성이 국내 및 미국과 같은 국가뿐 아니라 개발도상국에서도 여전히 유효한 중요 요인임을 재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토대로 전략적 지향성의 개념과 같이 보다 통합적인 관점에서의 연구 필요성을 규명하였으며, 분석된 연구 결과를 반영하여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대학생의 개인 기업가지향성이 목표지향성과 창업동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of Individual Entrepreneurial Orientation, Goal Orientation, Entrepreneurial Motivation of Korean College Students)

  • 배병윤
    • 벤처창업연구
    • /
    • 제16권4호
    • /
    • pp.59-70
    • /
    • 2021
  • 청년실업의 문제는 이미 국내외에서 매우 심각한 사회적인 문제이며, 청년실업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의 한가지인 창업은 여러 방면의 관심 속에 연구되어오고 있다. 창업은 경제위기를 극복할 뿐만 아니라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혁신 인재를 육성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이유로 대학생들의 창업활성화를 위한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경제적 창업동기와 비경제적 창업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개인 기업가지향성과 목표지향성이 경제적 창업동기와 비경제적 창업동기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개인 기업가지향성과 창업동기(경제적, 비경제적)의 관계에서 목표지향성이 매개효과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결과 첫째, 대학생의 개인 기업가지향성은 목표지향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둘째, 대학생의 목표지향성은 경제적 창업동기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비경제적 창업동기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 확인되었다. 셋째, 대학생의 개인 기업가지향성은 경제적 창업동기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비경제적 창업동기에 정(+)의 영향을 미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넷째, 대학생의 목표지향성은 개인 기업가지향성과 경제적 창업동기 관계에서 매개 효과가 있으며, 또한 개인 기업가지향성과 비경제적 창업동기 관계에서 매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직장인의 기업가형 마인드셋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자본을 매개, 유지-행동성향을 조절변수로 (How Entrepreneurial Mindset of Office Workers Affects Entrepreneurial Intention: Roles of Social Capital and State-action Orientation)

  • 송창운;박주영
    • 벤처창업연구
    • /
    • 제15권3호
    • /
    • pp.73-88
    • /
    • 2020
  • 창업관련 기존의 연구는 주로 청년과 대학생, 시니어 창업과 관련한 창업의도에 미치는 선행변수에 대한 연구들과 독립창업, 가맹점 창업, 소상공인 창업 등 창업형태에서의 창업에 대한 영향관계 연구들이 주류이나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한 창업의도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본 연구는 창업의도를 갖고 있는 직장인들에게 기존 선행연구에서 창업의도에 적용된 선행변수들이 동일한 영향을 주는지 여부와 유지행동성향이 직장인들의 창업의도에 조절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기업가형 마인드셋이 높은 직장인은 사회적 자본이 높았으며, 이러한 사회적 자본이 높을수록 창업의도가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사회적 자본이 직장인의 기업가형 마인드셋과 창업의도 사이에서 매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어, 선행연구와 마찬가지로 직장생활을 통해 형성하게 되는 사회적 자본이 직장인의 창업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기업가형 마인드셋은 그 자체로만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지만 직장인의 행동성향이 창업의도에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행동성향이 높은 직장인의 경우 기업가형 마인드셋이 높을수록 창업의도가 높았다. 본 연구는 직장인들에게 초점을 맞춘 창업연구로서 사회적 자본의 형성이 직장인의 창업의도에 중요한 역할을 미치며, 단순히 기업가형 마인드셋이 높다고 창업의도가 높아지는 것이 아니라 행동성향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밝혔다. 향후 직장인의 사회적 자본과 행동성향이 창업연구에서 더 많은 관심을 받을 것을 기대한다.

Business Performance Determinants of Salted Fish Distribution in Kapuk During the COVID-19

  • CHRISTIAN, Michael;DEWI, Dewi;REMBULAN, Glisina Dwinoor;INDRIYARTI, Eko Retno;WIBOWO, Suryo;YUNIARTO, Yustinus
    • 유통과학연구
    • /
    • 제19권6호
    • /
    • pp.29-39
    • /
    • 2021
  • Purpose: This study aims to measure whether market orientation,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marketing capabilities affected the business performance of salted fish distribution in Kapuk warehouse, West Jakarta at the beginning of the COVID-19 pandemic. This prolonged and difficult pandemic has had an impact on the business of selling salted fish, challenging organisations' ability to maintain business performanc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is study uses a PLS-SEM model approach using Smart PLS 3.0 and a questionnaire as the instruments. The conditions during the observation include 77 distributors who chose to keep doing business, and the research sample were measured by the number of distributors (business actors or people in charge). In this study, the variables of marketing capabilities, market orientation, and entrepreneurial orientation were used to analyse business performance. Results: Interestingly, the results of the study succeeded in explaining that during a pandemic market, both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marketing ability affected current business performance, although marketing ability remains an inconsistent mediator. Conclusions: This result serves as a reminder that surviving is the priority which must be focused on now, rather than crafting strategies to excel in competition that consume valuable effort and resources.

스타트업의 기업가지향성과 성과에 관한 연구: 기술지향성과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 (A Study on the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the Performance of Startups: The Mediating Effects of Technological Orientation and Social Capital)

  • 이은아;서정해;심연수
    • 벤처창업연구
    • /
    • 제14권2호
    • /
    • pp.47-59
    • /
    • 2019
  • 혁신적 기술과 아이디어를 보유한 스타트업이 창업과정에서 새로운 사업 및 조직을 창출하는데 필요한 기업가정신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이와 함께 스타트업의 지속적 경쟁우위 창출과 유지를 위해, 새로운 제품 및 시장을 개척하는 과정에서 어떻게 기업을 경영할 것인가를 설명하는 조직 차원의 기업가지향성이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는 스타트업의 성과에 미치는 기업가지향성의 영향을 연구하기 위해 기술 경쟁우위를 지속적으로 확보하려는 기술지향성과, 네트워크에 내재된 사회적 자본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기술지향성, 사회적 자본과 기업가지향성의 관계 및 역할 파악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스타트업 지원기관 등에 입주하고 있는 스타트업 144개 기업을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완료하였으며, PLS기반 구조방정식모델로 연구 모형의 적합성을 평가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스타트업의 기업가지향성은 기업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스타트업에서 기업가지향성은 기술지향성과 사회적 자본의 구조적, 인지적, 관계적 세 가지 차원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술지향성과 사회적 자본의 인지적 차원이 기업가지향성과 기업성과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기업가지향성은 스타트업의 성과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며, 기술우위와 사회적 자본을 증가시켜 스타트업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스타트업의 기술지향성 강화와 전략지향성 연구에 대한 필요성을 규명하고, 사회적 자본 등 다양한 관점의 기업가지향성 연구 필요성을 규명하였다. 본 연구는 그동안 스타트업 연구에서 강조되어 왔던 네트워크의 연결성뿐만 아니라 네트워크에 내재된 인지체계의 역할과 중요성에 대해 확인함으로써 스타트업 연구에서 사회적 자본의 통합적 논의를 확장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마지막으로 분석된 연구 결과를 반영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