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Entrepreneurial Intention

검색결과 94건 처리시간 0.034초

대학생의 종교몰입과 개인특성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Religious Commitment, Individual Traits,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of College Students in Korea)

  • 이주헌
    • 벤처창업연구
    • /
    • 제11권4호
    • /
    • pp.71-78
    • /
    • 2016
  • 종교는 개인과 사회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종교는 네트워크 형성과 사회문화 형성에 영향을 미쳐 개인의 의사결정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다. 또, 종교의 가르침은 윤리적 가치관에 영향을 미쳐 개인의 의사결정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다. 하지만, 세속화 가설에 의하면 사회가 효율화되고 구성원에 대한 교육수준이 증대할수록 종교의 통제력과 사회영향력은 떨어지게 된다고 한다. 종교와 창업의지 간에는 어떤 연관성이 있을까? 종교와 개인의 창업의사결정 간의 관계를 실증 연구한 논문은 많지 않다. 본 논문의 목적은 선행연구에서 확인된 성취동기, 문제해결력, 창업자 부모 및 친구 등과 같은 개인특성 변수와 아울러 종교몰입이 창업의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총 229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종교몰입은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종교몰입은 창업의지에 전통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는 개인특성 변수인 성취동기, 창업자 부모 및 친구, 문제해결력 등과 전혀 상관관계가 없었다. 둘째, 선행연구와 마찬가지로 성취동기, 창업자 부모 및 친구는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취동기와 창업의지 간의 관계에 있어서 창의성은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SOCIAL ENTREPRENEURSHIP INTENTIONS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UZBEKISTAN: A CASE OF TSUE

  • Lee, Chaewon;Khabibullo, Jurakulov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91-197
    • /
    • 2018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social entrepreneurship intentions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Uzbekistan focusing on the Tashkent State University of Economics(TSEU) as a study area. A 47 item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371 students of TSUE students in Uzbekistan by using convenience sample method. From a total of the 371 respondents, 278 (74.93%) were male, 93 (25.07%) were females and the average age of the respondents was approximately 22 years. The result indicates that the model in this study accounts for 67,7% of the variance in interpreting the social entrepreneurship intention. This study makes a contribution to the social entrepreneurship research area by including factors such as risk taking propensity, internal locus of control, moral obligation, self-efficacy and empathy as antecedents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hat also explains social entrepreneurial intention formation.

  • PDF

직업교육과 경력단절여성의 창업의지, 재취업욕구의 관계 연구 (The Relationship of Among of Vocational Education, Entrepreneurial Intention,Re-employmment Need of Career Interrupted Woman)

  • 김정희;변상해
    • 벤처창업연구
    • /
    • 제11권4호
    • /
    • pp.237-246
    • /
    • 2016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경력단절 여성의 직업교육에 대한 연구로 최근의 정부정책에 있어서 이슈가 되고 있는 사항들을 연구한 결과물이다. 경력단절여성의 직업교육이 창업의지와 재취업욕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경력단절여성의 직업교육의 성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A시에 소재한 취업관련기간에서 직업교육을 수강한 경력단절여성을 대상으로 직접 방문 및 인터넷을 통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회수된 자료는 spss 21.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사용된 통계기법은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 등이다. 추후 A시 뿐만이 아닌 전국으로 확대하여 연구가 실시된다면 보다 구체적이고 객관적인 연구가 될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교육은 경력단절여성들의 창업의지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직업교육은 경력단절여성들의 재취업욕구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 PDF

사회적지지가 베이비부머의 창업기회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창업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Effect of Social support on Baby boomer's Entrepreneurial Opportunity Competence: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 김상수;임왕규
    • 벤처창업연구
    • /
    • 제12권5호
    • /
    • pp.101-115
    • /
    • 2017
  • 본 연구는 베이비부머 (1955-1963년생)를 대상으로 창업자기효능감을 매개 변수로 하여 사회적지지가 창업기회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창업정책과 교육은 청년창업사관학교 등의 제도를 통해 대부분 대학생 및 청장년층을 위주로 진행되고 있고, 또 이들을 대상으로 사회적지지나 제도적지원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반면, 베이비부머에 대한 연구는 복지부문에 치우치고 있고 실제로 이들은 은퇴 후 생계를 위해 치밀한 준비없이 생계형 창업에 뛰어들고 있으나, 이 베이비부머를 대상으로 한 사회적지지가 기회형 창업 추진에 필요한 창업기회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다시피 하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적지지가 베이비부머의 창업기회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주로 서울시와 경기도 일원에 거주하는 베이비붐 세대들로부터 수집한 설문지 387부를 실증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사회적지지가 창업기회역량의 기회인식과 기회평가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지지가 창업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정서적, 물질적 지지만 자신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정서적지지와 평가적지지만 자기조절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정서적지지와 물질적지지만이 과업도전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창업자기효능감 중 자기조절효능감과 과업도전감 만이 창업기회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 및 과업도전감 모두가 기회평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적지지가 창업자기효능감을 매개하여 창업기회역량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부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대학생의 취업선호도와 창업의도에 관한 사회적 영향관계 분석 (An Analysis of Social Influence on University Students' Job Preferences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 김유신;성창수;박주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0호
    • /
    • pp.133-143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과대학생을 대상으로 취업을 선호하는 원인과 추후 창업의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사회적 영향요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특히 부모, 지인, 개인의 창업경험과 취업 및 창업동아리 경험 등 사회적 영향관계가 취업을 선호하는 학생들의 진로선택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창업교육을 이수한 공과대학생 중 향후 진로를 취업으로 선택한 학생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공학계열 학생들의 취업 선호 이유로 안정적인 수입, 기업만의 시스템 경험, 부모님의 취업선호, 자금부족과 창업에 대한 지식부족 등으로 나타났다. 또한 취업을 선호한 학생들의 사회적 영향관계 중 지인의 창업경험에 따라 창업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공과 대학생들의 창업의도 및 이해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론과 창업교육의 학습방향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실증적인 분석을 통한 창업교육 관련 향후 연구문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노인준비와 사회적네트워크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Preparation for the Old Age and Social Networks on Enterpreneurial Intentions)

  • 김은경;강영숙
    • 벤처창업연구
    • /
    • 제11권5호
    • /
    • pp.105-115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잠재적 창업가의 노후준비도, 사회적 네트워크, 그리고 창업의도 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305명의 서울과 수도권에 거주하는 잠재적 창업가들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설문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타당성분석, t-test, ANOVA,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후준비도가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창업의지에 대하여 경제적 준비와 정서적 준비가 부(-)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사회적 네트워크가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창업의도에 대하여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전역예정 직업군인의 내적·외적요인이 창업의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창업지원프로그램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Affecting Entrepreneurial Intentions of Korean Professional Soldiers Waiting for Retirement: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Entrepreneurial Support Programs)

  • 김용식;하규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2078-2086
    • /
    • 2011
  • 본 연구는 창업의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전역예정 직업군인의 내적 외적 특성요인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창업가의 특성요인과 창업의욕간의 인과관계를 창업지원프로그램의 매개변수를 고려하여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0년 이상 장기복무 후 전역을 5개월에서 1년을 앞두고 있는 직업 군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총 361명의 자료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내적 특성요인은 창업의욕에 정적인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외적 특성요인은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창업지원프로그램이 사회적 인식과 창업의욕 사이에서 매개 변수로서 역할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과 차후 연구 과제를 논의하였다.

창업 및 재취업 교육이 재취업불안, 재취업스트레스,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Middle-Age' Entrepreneurship & Re-Employment Education Influences Re-Employment Anxiety, Re-Employment Stress, Entrepreneurial Intention)

  • 김서호;변상해
    • 벤처창업연구
    • /
    • 제11권6호
    • /
    • pp.71-81
    • /
    • 2016
  • 2000년에 접어들어 고령화 사회로 진임하게 된 대한민국은 2017년 고령사회로의 진입하게 됨에 따라 장기적으로 청년 노동력의 감소와 그로인한 숙련된 중장년 및 고령인구의 감소가 국가경제의 중요이수로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은퇴 및 실직자들의 창업 및 재취업이 사회의 중요한 화두가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중년기를 위한 창업 및 재취업교육이 재취업불안, 재취업스트레스 그리고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실시하였다. K에 소재한 G교회에 출석중인 은퇴자 67명을 선정한 후 각각 실험집단 32명과 통제집단 35명으로 구분하였다. 매주 1회 총 13회기의 창업 및 재취업교육을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창업 및 재취업 교육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재취업불안이 감소되었다. 둘째, 창업 및 재취업 교육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재취업스트레스가 감소되었다. 셋째, 창업 및 재취업 교육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창업의도가 향상되었다.

  • PDF

금융업 종사자의 은퇴기대, 사회적 지지 및 창업의지가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Retirement Expectations & Social Supports & Entrepreneurial Intention for Employees Engaged in Financial Business on the Preparation for their Old Age)

  • 김형석;강신기
    • 벤처창업연구
    • /
    • 제17권1호
    • /
    • pp.251-265
    • /
    • 2022
  • 2019년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는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769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14.9%를 차지해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의 압축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다. 금융업 종사자는 대표적인 고임금 근로자들로 업종별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금융업 종사자 대부분이 정년이전에 희망퇴직을 하는 경우가 많고, 퇴직 이후에 성공적인 전직이나 창업을 하는 경우도 드물다. 본 연구는 금융업 종사자들의 은퇴기대, 사회적 지지 및 창업의지가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과 개인특성에 따라 노후준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수도권 및 대구지역에 근무하는 금융업 종사자 280명이고, 자료 분석은 SPSS Win Ver. 18.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성 분석,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금융업 종사자의 은퇴기대가 노후준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연구한 결과 은퇴를 새로운 출발로 보는 사람들은 경제적, 신체적 노후준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금융업 종사자의 사회적 지지는 경제적 노후준비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가족관계는 신체적 노후준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서·사회적 노후준비에는 가족관계와 친구관계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금융업 종사자의 창업의지는 경제적, 신체적 노후준비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정서·사회적 노후준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금융업 종사자의 개인특성이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연령, 결혼 여부 및 직장 내의 직급은 노후준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창업교육 경험 있음은 경험 없음에 비해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정보기술 수용성과 디지털미디어 활용역량이 시니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기회인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Information Technology Acceptance and Digital Media Utilization Capability on Senior Entrepreneurship Inten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Opportunity Recognition)

  • 홍정기;허철무
    • 벤처창업연구
    • /
    • 제17권4호
    • /
    • pp.173-191
    • /
    • 2022
  • 글로벌 경제위기와 고령화 추세 그리고 급속한 디지털 전환은 한국 사회에 큰 부담이자 위기이다. 이러한 환경 변화와 경기침체는 시니어들의 퇴직 후 창업 및 재취업에 대한 이슈가 사회적으로 부상하고 있다. 본 연구는 시니어를 대상으로 하고 창업할 시 어떤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특히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피할 수 없는 정보통신기술(ICT) 및 디지털 미디어에 대한 활용 역량에 초점을 두었다. 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시니어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하였다. 유효한 287개를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통계분석에는 SPSS 24.0와 Macro Process 4.0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 분석 결과, 정보기술 수용에 대한 자기효능감, 개인 혁신성, 디지털미디어를 활용한 커뮤니케이션 역량은 시니어 창업 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정보기술에 대한 지각된 유용성과 디지털미디어 기기 활용역량은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유의한 영향을 미친 변인 중 개인혁신성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회 인식은 자기효능감, 개인혁신성, 커뮤니케이션 역량과 시니어 창업 의도 간에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시니어의 창업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 중에서 디지털미디어 활용역량 역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실증적으로 검정했다는 점에서 학술적 및 실무적 의미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