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martphone Use

Search Result 984,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관광경험에서의 스마트폰 활용 행태와 사용자 임파워먼트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중국인을 대상으로 (A study of Relationship Smartphone use behavior and User empowerment in Tour experience : Focusing on Chinese people)

  • 구철모;유문정;전유희;이지민;정남호
    • 지식경영연구
    • /
    • 제17권1호
    • /
    • pp.155-174
    • /
    • 2016
  • Recent years, a smartphone has been playing a role of searching, booking, and decision-makings in the tourism industry through tourists' user experiences and engagement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ourists' behavior toward smartphone usage regarding Chinese visitors who were ranked in Korea inbound tourism. This research model formulated two types of usage which identified explorlative use and exploitive use and the antecedent relationships of user empowerment including user competence, user impact, usage meaning, user trust. We analyzed SmartPLS2.0 for the hypotheses and found that first, user competence has a positive influence both of exploitative use and explorative use, second, user impact has a positive influence on exploitative use, but has not influenced on explorative use, third, usage meaning has not influence on exploitive use, but has a postitive influence on explorative use, and finally user trust has influence on both of exploitive and explorative use. Based on the results we found, we suggested Chinese tourists' smartphone usages' behaviors an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 PDF

세대간 스마트폰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비교·연구: 뉴실버 세대와 넷 세대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Factors Affecting Intergenerational Smartphone Use: Focusing on the New Silver Generation and the Net Generation)

  • 이충훈;정재욱;이중정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3권4호
    • /
    • pp.49-74
    • /
    • 2014
  • The introduction of smartphone caused the most revolutionary change in the domestic telecommunications market after the digital revolution. However, due to the saturation of the local market, it is expected to post negative growth in 2016 and the sales of national communication carriers is in stasis. Thus, the smartphone industry is starting to shift its marketing efforts to secure the silver generation who still has room for increase in the rate of smartphone usage. As the silver generation has physical limitations and differences in needs, the marketing strategy based on the smartphone utilization is not appropriate. This study suggests the new silver generation, who has high income level and similar characteristics to the younger generation, as the new customer segment for smartphone. We analyze the effects of the major variables of UTAUT on smartphone use, as well as examine how these relationships differ between the new silver and the net generation. We verified the hypotheses using a survey with 309 smartphone users. The research findings supported the hypotheses regarding the effects of performance expectancy, effort expectancy and facilitating conditions on smartphone use, but did not support the hypothesis on the effect of social influence. The result of the group comparisons showed that both generation have similar characteristics on innovativeness and cognitive absorption, but the moderating effect of age on performance expectancy, effort expectancy and use is stronger in conjunction with the new silver generation. The study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d in establishing a marketing strategy for the new silver generation.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사용실태가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Smartphone Usage by Elementary Schoolers on Their Creative Personality)

  • 박선주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567-574
    • /
    • 2014
  • 본 논문은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사용실태가 창의적인성 요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초등학교 4, 6학년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 자가진단과 초등학생용 창의적 인성 검사도구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한 후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6학년은 스마트폰 보유 여부와 스마트폰 중독 정도가 창의적인성에 영향을 미쳤으나, 스마트폰 이용기간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4학년은 스마트폰 사용실태 변인 모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특히 스마트폰 중독 정도와 창의적인성 사이에는 음의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기간의 길이보다는 스마트폰의 보유 여부가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21세기 핵심역량인 창의인성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학생들이 스마트폰 사용방법과 스마트폰 중독 예방을 위한 지속적인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사용의도 결정 요인에 대한 실증 연구 (An Empirical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Intention to Use Smartphone Applications)

  • 손규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628-635
    • /
    • 2012
  •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스마트폰 앱) 시장이 급속히 성장하고 있다. 본 연구는 스마트폰 앱에 대한 사용의도와 충성도의 변수인 정보품질(상호작용, 내용, 정황성)에 개인적인 태도(혁신성, 친숙성)가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혁신성, 콘텐츠품질, 정황성품질은 사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친숙성과 상호작용품질은 사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사용의도 역시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Effects of Posture on Neck Flexion Angle While Using a Smartphone according to Duration

  • Lee, Sang-Yong;Lee, Dae-Hee;Han, Seul-Ki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35-39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hanges in the neck flexion angle according to posture while using a smartphone and the duration of smartphone usage. METHOD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6 healthy young students in their 20s. The subjects wore a cervical range of motion instrument. They were instructed to use a smartphone while standing, sitting on a chair, and sitting on the floor. In all postures, they could use the smartphone and use their arms freely while keeping their back connected to the wall or the back of the chair. When sitting on the floor, they assumed a cross-legged position. The neck flexion angle was measured at zero, three, six, and nine minutes for each posture. RESULTS: Neck flexion is affected by the posture while using a smartphone (p<.05). Neck flexion in the standing position is larger than that in the sitting on the floor position. Neck flexion was affected by smartphone usage duration (p<.05). In general, as usage time increases, the neck flexion angle increases as well.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using smartphone in the standing position and for a short period of time is a method to reduce the neck flexion angle.

장·노년층의 스마트폰 과의존 영향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A exploratory study for Influential factors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in elder and older Group)

  • 배성만;고영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7호
    • /
    • pp.111-121
    • /
    • 2017
  • 스마트폰의 사용은 청소년뿐만 아니라 장, 노년층에서도 일상의 한 부분이 되고 있는 것에 비해 이들을 대상으로 한 스마트폰 과의존 관련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국의 장 노년층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과의존과 관련된 변인들을 탐색하기 위해 인구사회학적 변인, 스마트폰 사용 양, 스마트폰 사용 유형과 심리 정서적 변인이 장 노년층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정보화진흥원의 2016년 인터넷 과의존 실태조사 자료 중 50대와 60대에 해당하는 5627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스마트폰 주중사용횟수, 주말 사용횟수, 주중사용시간이 많을수록 그리고 정보추구와 게임을 위한 스마트폰 사용이 증가할수록 스마트폰 과의존이 높았다. 반면, 오락추구와 커뮤니케이션 유형은 스마트폰 과의존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또한, 외로움과 불안이 증가할수록 스마트폰 과의존이 증가한 반면, 사회적 자본이 클수록 스마트폰 과의존이 낮았다. 본 연구를 통해 장, 노년층의 스마트폰 과의존과 관련된 특성들을 이해하고, 이러한 지식을 장, 노년층의 스마트폰 과의존 문제를 해결하는데 활용할 필요가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장, 노년층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들 간의 인과관계에 대한 가설검증도 필요해 보인다.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사용 실태가 독서 실태 및 자기조절읽기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Effec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Use of Smart Phone upon Reading and Self-regulated Reading)

  • 김태용;박선주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433-442
    • /
    • 2014
  • 본 논문은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사용 실태가 독서 실태 및 자기조절읽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 자가진단과 독서 실태 및 자기조절읽기 검사를 실시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스마트폰 보유 여부와 스마트폰 중독 정도에 따라서는 독서량, 독서시간, 자기조절 읽기에 영향을 미쳤으나, 스마트폰 이용기간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초등학생들의 올바른 스마트폰 사용 방법과 스마트폰 중독 예방을 위해 학교 및 가정에서 지속적인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며, 스마트 시대에 적절한 독서 지도방안 등도 연구되어져야 할 것이다.

방사선사의 스마트폰 이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se Smartphone of Radiological Technologist)

  • 정봉재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915-922
    • /
    • 2020
  • 본 연구는 경남지역에 근무하는 방사선사를 대상으로 방사선사의 스마트폰 이용에 따른 이용성향과 중독에 관한 내용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자료로 사용한 도구는 설문지로 2019년 04월21일부터 05월31일까지 경남에 소재하는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방사선사를 대상으로 설문지 총 330부를 배부하여 연구에 적합한 300부를 SPSS/PC Ver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스마트폰 이용성향 요인으로는 의사소통, 정보, 여가, 편의성으로 하였으며, 중독요인으로는 일상생활장애, 가상세계지향, 내성, 금단으로 총 37문항으로 분석하였다. 일반적 특성으로 성별, 연령대, 학력, 근무기관, 근무부서를 기준으로 하였으며, 스마트폰 관련 특성으로는 월평균요금, 사용시간, SNS사용시간으로 기술통계, t-test, ANOVA, 상관관계및 회귀분석을 하였다. 방사선사의 스마트폰 이용성향은 3.10±.55점으로 평균정도로 나타났으며, 스마트폰 중독은 2.34±.62점으로 평균보다는 낮게 나타났다. 방사선사의 스마트폰 이용성향 및 중독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방사선사의 스마트폰 이용성향이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10.8%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방사선사의 스마트폰 이용성향에 따른 중독요인을 분석하여,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바람직한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청소년의 학업성적별 스마트폰 이용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martphone Use on Suicidal Ideation by Adolescents' Academic Grades)

  • 전상남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15
    • /
    • 2024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학업성적별 스마트폰 이용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방법: 제19차(2023년) 청소년 건강행태조사 원자료를 활용하여 총 52,875명의 표본을 분석하였다. 학업성적은 상, 중, 하로 분류하였으며, 학업성적별 스마트폰 이용시간, 스마트폰 의존도, 자살생각에 대해 x2검정, ANOVA,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학업성적 '하', '중', '상' 순서로 스마트폰 이용시간, 스마트폰 의존도, 자살생각은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모든 성적 그룹에서 스마트폰 의존도는 자살생각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청소년의 올바른 스마트폰 이용과 자살 예방을 위하여 맞춤형 교육 및 정신건강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스마트폰 보안 취약 요소에 따른 분석 연구 (The Research of Security Vulnerabilities of Smartphone)

  • 최희식;조양현;주헌식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119-127
    • /
    • 2013
  • The merits of Smartphone are portability, convenience and especially a lot of information can be stored in the device. Especially in Smartphone, users can install programs that cannot install to normal cell phone and users can use many different services through these Smartphone programs. Also Smartphone can connect to Internet through network, so it can access information anytime, anywhere easily. Security of personal information and variety of information which stored in Smartphone are in risk. In Chapter 2 of thesis, it will discuss the definition and features of the Smartphone and market trends. In Chapter 3 of thesis, it will discuss security vulnerabilities of Smartphone and it will analyze and research security vulnerabilities of Smartphone in Chapter 4. In conclusion, it will check users' identification twice in useful application especially application that relate to finance and mobile payment. By checking users' identification several times, it will help to defend from security threats. Users can use Smartphone safely and convenience by know how to prevent from mobile hacking for personal and private information. the quality of APIs matching by the clustering and hierarchical relationships mechan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