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Use Smartphone of Radiological Technologist

방사선사의 스마트폰 이용에 관한 연구

  • Jeong, Bong-Jae (Department of Radiological Science, International University of Korea)
  • 정봉재 (한국국제대학교 방사선학과 교수)
  • Received : 2020.07.25
  • Accepted : 2020.12.31
  • Published : 2020.12.31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content of use Tendency and addiction according to smartphone use of targeting radiological Technologist working in Gyeongnam area. The tool used as the data for the study is a survey. From April 21 to May 31, 2019, a total of 33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radiological Technologist working at medical institutions in Gyeongnam, and 300 copies suitable for the study were SPSS/PC Ver 18.0 program for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factors of the study subject's tendency to use smartphone were communication, information, leisure, and convenience. As for the addiction factors, a total of 37 questions were analyzed, including daily living disorder, virtual world orientation, tolerance, and withdrawal. Smartphone-related characteristics were set as monthly average fee, usage time, and SNS usage time, and technical statistics, t-test, ANOVA,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adiological Technologist tendency to use smartphones was 3.10±.55 points, which was average, and smartphone addiction was 2.34±.62 points, which was lower than the average.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radiological Technologist Tendency to use smartphone and addiction. The effect of radiological Technologist tendency to use smartphone on addiction it was found to account for 10.8%. Through this study, it can be said that it is important to analyze the addiction factors according to the tendency use smartphone of radiological Technologist and to prepare a desirable plan for smartphone use.

본 연구는 경남지역에 근무하는 방사선사를 대상으로 방사선사의 스마트폰 이용에 따른 이용성향과 중독에 관한 내용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자료로 사용한 도구는 설문지로 2019년 04월21일부터 05월31일까지 경남에 소재하는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방사선사를 대상으로 설문지 총 330부를 배부하여 연구에 적합한 300부를 SPSS/PC Ver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스마트폰 이용성향 요인으로는 의사소통, 정보, 여가, 편의성으로 하였으며, 중독요인으로는 일상생활장애, 가상세계지향, 내성, 금단으로 총 37문항으로 분석하였다. 일반적 특성으로 성별, 연령대, 학력, 근무기관, 근무부서를 기준으로 하였으며, 스마트폰 관련 특성으로는 월평균요금, 사용시간, SNS사용시간으로 기술통계, t-test, ANOVA, 상관관계및 회귀분석을 하였다. 방사선사의 스마트폰 이용성향은 3.10±.55점으로 평균정도로 나타났으며, 스마트폰 중독은 2.34±.62점으로 평균보다는 낮게 나타났다. 방사선사의 스마트폰 이용성향 및 중독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방사선사의 스마트폰 이용성향이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10.8%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방사선사의 스마트폰 이용성향에 따른 중독요인을 분석하여,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바람직한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Keywords

Ⅰ. INTRODUCTION

디지털 시대의 가장 대표적인 기기는 바로 우리가 일상에서 쉽게 휴대하고 사용하는 스마트폰이라고 할 수 있다. 스마트폰은 단순 휴대전화의 개념에서 인터넷이라는 개념을 가지고 있어 일상에서 누구나 쉽게 정보에 대한 검색을 손쉽게 해결할 수 있는 IT 기기가 되었다. 그만큼 스마트폰은 다양한 분야에 이용되는 디지털 기기로 사용자의 성향에 따라 그 이용도도 다양하다고 할 수 있으며, 사용범위 또한 개인의 성향에 따라 세분화되어 있다.

스마트폰은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24시간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게임, 인터넷, 정보검색, 교육, 교통, 금융서비스 등 다양한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스마트폰을 통해 인터넷 정보를 검색하면서 뉴스도 볼 수 있고, 영상통화를 하면서 저장되어 있는 사진을 전송할 수도 있는 등 멀티태스크가 가능한 생활의 신기원을 열어주기도 하였다[1].

스마트폰은 다양한 분야에서 개인의 생활양식을 다양한 모습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개인의 스마트폰 이용 시간은 급속히 늘어나고 있음을 누구나 인지하고 있을 것이다. 실제 이용 시간에 대한 사례를 살펴보면 매년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개인의 생활패턴과 관련성이 크다고 할 수 있으며, 이용 시간 또한 늘어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스마트폰 이용자가 해마다 증가하면서 하루 평균 스마트폰 이용 시간도 늘어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의 김욱준 전문연구원의 ‘스마트폰 기반의 미디어 이용 형태 변화(2015~2019) 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 하루 평균 스마트폰 이용 시간은 약 104분으로 전년(약 99분)보다 5분가량 늘어났다고 하였다. 과거 하루 평균 스마트폰 이용 시간은 2017년(91분 1초), 2016년(76분 7초)으로 4년 연속 증가하는 추세다[2].

스마트폰의 이용 시간 증가는 개인 생활패턴의 변화를 동반한다고 볼 수 있다. 성인의 경우 직장생활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일상생활에서도 건강문 제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스마트폰에 의존적인 사람일수록 건강 문제에서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이 바로 수면의 질적 저하라고 할 수 있다.

스마트폰의 과다사용과 수면의 관계에 대한 기존의 논문 내용들은 스마트폰 중독이 수면 부족이나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바라보는 연구가 많았다. 이는 스마트폰의 중독으로 인해 충분한 수면을 취할 수 있는 시간이 부족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3].

스마트 폰의 역기능 중에서 중독은 심리적인 안녕을 해친다는 측면에서 폐해가 크다. 지금까지의 중독에 대한 개념은 주로 약물중독 혹은 물질중독으로 정의되어 왔으나, 스마트폰의 확산으로 인하여 게임중독 혹은 인터넷 중독이라는 새로운 형태의 중독 현상이 나타난 것이다. 이른바 스마트폰 중독은 인터넷 중독처럼 행위중독(behavioral addiction)의 일종으로 국가적으로 다루어야 하는 문제가 되었다[4].

스마트폰의 과다사용 환경에서 이용에 대한 심리와 인지 조절에 실패해 결과적으로 신체나 정신, 사회적 문제를 초래하는 상태로 정의하고, 원인을 심리와 인지적 차원으로 다각화하여 중독적 이용 행동과의 관련성을 논할 필요가 있다[5].

스마트폰의 이용은 많은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는 만큼, 다양한 부작용도 야기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대표적인 것이 바로 스마트폰 중독이라 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 중독은 모든 연령대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방사선사를 대상으로 스마트폰 사용방식을 분석하여 다양한 이용 성향과 영향력에 대하여 연구하며,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예방에도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Ⅱ. RESEARCH METHODS

본 연구는 방사선사의 스마트폰 이용에 관한 연구로 방사선사의 스마트폰 사용방식으로 인한 영향력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남지역에 근무하는 방사선사를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하였다. 자료수집에 사용한 설문지는 5점 척도로 리커트(Likert Scale)법으로 스마트폰 사용요인 및 중독요인을 파악할 수 있도록 구[6], 이[7], 송[8]의 내용을 고찰하여 작성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스마트폰 이용 성향 요인으로는 의사소통, 정보, 여가, 편의성으로 하였으며, 중독요인으로는 일상생활 장애, 가상세계지향, 내성, 금단으로 총 37문항으로 분석하였다.

일반적 특성으로 성별, 연령대, 학력, 근무 기관, 근무부서를 기준으로 하였으며, 스마트폰 관련 특성으로는 월평균 요금, 사용 시간, 소셜네트워크(SNS) 사용 시간, 주로 이용하는 소셜네트워크(SNS)로 하였으며, 연구의 자료로 사용한 설문지는 2019년 04월 21일부터 05월 31일까지 경남에 소재하는 의료 기관에 근무하는 방사선사를 대상으로 설문지 총 330부를 배부하여 연구에 적합한 300부를 SPSS/PC Statistics Package Program 18.0을 사용하여 설문 문항에 대한 신뢰도 분석과 기술통계, t-test, ANOVA, 상관관계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Ⅲ. RESULT

1. 일반적 특성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방사선사의 일반적 특성은 Table 1과 같이 성별, 연령대, 학력, 근무 기관, 근무 부서를 기준으로 하였으며, 스마트폰 관련 특성으로 는 월평균 요금, 사용 시간, SNS 사용 시간, 주로 사용하는 SNS, SNS 사용 목적으로 하였다.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research subjects

BSSHB5_2020_v14n7_915_t0001.png 이미지

성별에서는 남성 206(68.7%)이 여성 94(31.3%)명보다 많았으며, 연령대에서는 40대 101명(33.7%)으로 가장 많았다. 학력에서는 전문대 졸업이 223명(74.3%)으로, 근무 기관에서는 병원이 107명(35.7%)으로 나타났다. 근무부서에서는 일반영상검사실에 근무하는 방사선사가 203명(67.7%)으로 가장 많았다.

스마트폰 관련 특성에서는 Table 2와 같이 월평균 요금은 4 ~ 6만 원이 90명(30.3%)으로 가장 많았으며, 스마트폰 사용 시간에서는 1~2시간이 80명(26.7%)으로, SNS 사용 시간에서도 1~2시간이 75명(25.0%)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시간으로 나타났다. 주로 사용하는 소셜네트워크(SNS)로는 중복선택에서 1순위 선택으로는 카카오톡, 2순위는 밴드, 3순위 선택에서는 페이스북으로 나타났다. SNS의 주된 사용 목적은 친구와의 대화가 232명(77.3%)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Table 2. Characteristics of smartphone

BSSHB5_2020_v14n7_915_t0002.png 이미지

2. 신뢰도 분석

본 연구에 사용한 설문지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Table 3과 같이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신뢰도 분석에서는 Cronbach’s Alpha 계수를 이용하여 내적 일관성을 분석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의 개념에 대하여 여러 개의 항목으로 구성되는 척도의 타당성 평가에 이용되는 방법이다.

Table 3. Results of the Reliability Test of Questions

BSSHB5_2020_v14n7_915_t0003.png 이미지

a: Propensity b: Addiction

스마트폰 이용 성향에 대한 요인별 신뢰도 분석 결과는 의사소통 0.616, 정보 이용 0.713, 여가 0.591, 편의성 0.807로 나타났으며, 스마트폰 중독과 관련 신뢰도 분석은 일상생활 장애 0.691, 가상지향 0.774, 내성 0.611, 금단 0.944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0.6 이상이면 비교적 신뢰도가 높다고 볼 수 있다.

4. 스마트폰 이용 성향 및 스마트폰 중독 분석

방사선사의 스마트폰 이용 성향과 스마트폰 중독 분석에는 의사소통, 정보, 여가, 편의성, 일상생활 장애, 가상세계지향, 내성, 금단 등, 총 37문항으로 구성하였다. Table 4와 같이 전체적인 스마트폰 이용 성향 및 스마트폰 중독의 기술통계는 이용 성향에서 3.10±0.55점, 중독 2.34±0.62점으로 스마트폰 이용 성향은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스마트폰 중독은 보통보다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Table 4. Descriptive Statistics for the Smartphone use Tendency and Addiction Factors

BSSHB5_2020_v14n7_915_t0004.png 이미지

연구 대상자의 스마트폰 이용 성향과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일반적 특성 분석으로는 Table 5와 같이 성별에서는 독립표본 t-test로 분석하였으며, 연령, 학력, 근무 기관, 근무부서는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으로 스마트폰 이용 성향과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Table 5. Difference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martphone use Tendency and Addiction Factors

BSSHB5_2020_v14n7_915_t0005.png 이미지

*p<0.05, **p<0.001

성별에서는 스마트폰 이용 성향(M=3.29)과 스마트폰 중독(M=2.48)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

연령별 분석에서는 스마트폰 이용 성향(M=3.27)은 21 ~ 30세가 스마트폰 중독(M=2.61)에서도 21 ~ 30세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

학력에 따른 차이 분석에서는 스마트폰 이용 성향(M=3.25)과 스마트폰 중독(M=2.46)에서 대학교 졸업인 방사선사가 전문대졸업과 대학원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근무 기관별 스마트폰 이용 성향과 스마트폰 중독의 차이 분석에서는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방사선사가 이용 성향(M=3.17)과 스마트폰 중독(M=2.38)에서 타 기관에 근무하는 방사선사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근무부서별 차이 분석에서는 핵의학과와 종양학과에 근무하는 방사선사가 스마트폰 이용 성향(M=3.18)과 스마트폰 중독(M=2.70)에서 타 근무부서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5. 스마트폰 이용 성향에 대한 상관관계

방사선사의 스마트폰 이용 성향에 대한 요인별 상관관계 분석은 Table 6과 같다.

Table 6. Correlations of Smartphone use Tendency

BSSHB5_2020_v14n7_915_t0006.png 이미지

**p<0.01

의사소통은 정보 이용(r=.552), 여가(r=.409), 편의성(r=.590)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정보 이용, 여가, 편의성에서도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6. 감염관리 수행도의 상관관계

방사선사의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요인별 상관관계 분석은 Table 7과 같다.

Table 7. Correlations of smartphone Addiction

BSSHB5_2020_v14n7_915_t0007.png 이미지

**p<0.01

일상생활 장애는 가상세계지향(r=.632), 내성(r=.504), 금단(r=.584)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가상세계지향, 내성, 금단에서도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7. 스마트폰 이용 성향이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회귀분석

방사선사의 스마트폰 이용 성향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스마트폰 이용 성향에 대한 요인을 독립변수로 하였으며, 스마트폰 중독을 종속변수로 하여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Table 8과 같다.

Table 8. Regression Analysis on Affecting the Addiction of smartphone Tendency to Use Factors

BSSHB5_2020_v14n7_915_t0008.png 이미지

dependent variable : total addiction

분석 결과 F 분포를 통해 고려할 때 이 회귀방정식의 유의도 수준은 유의한 것(p=.000)으로 나타났으며, R2 값은 .108으로 10.8%의 설명력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스마트폰 이용 성향 요인에서 여가만이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Ⅳ. DISCUSSION

본 연구는 경남지역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방사선사를 대상으로 스마트폰 이용에 관한 연구로 스마트폰 이용 성향과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였다. 스마트폰 이용 성향의 특성 요인으로는 의사소통, 정보, 여가, 편의성으로 하였으며, 중독요인으로는 일상생활 장애, 가상세계지향, 내성, 금단요인으로 하였다. 스마트폰 이용 성향 및 스마트폰 중독을 분석한 결과 스마트폰 이용 성향 3.10 ± 0.55점으로 이는 권[9]의 연구에서 스마트폰만 있으면 검색을 통한 빠른 정보습득과 SNS를 통한 사회적 관계 형성, 여가활동과 바쁜 업무수행 등을 스마트폰으로 할 수 있다고 하였다. 스마트폰 중독은 2.34± 0.62점으로 박[10]의 연구에서 스마트폰 중독이 신체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어 건강을 해할 수 있을 뿐이라, 과다한 요금으로 인한 경제적 문제, 그로 인한 부모와의 갈등, 학업의 부적응, 언어파괴의 문제 등 다양한 사회적 문제를 유발하고 있다고 하였다.

스마트폰 관련 특성에서는 월평균 요금은 4 ~ 6만 원이 90명(30.3%)으로 가장 많았으며, 스마트폰 사용 시간에서는 1 ~ 2시간이 80명(26.7%)으로, SNS 사용 시간에서도 1 ~ 2시간이 75명(25.0%)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시간으로 나타났다. 주로 사용하는 소셜네트워크(SNS)로는 중복선택에서 1순위 선택으로는 카카오톡, 2순위는 밴드, 3순위 선택에서는 페이스북으로 나타났다. SNS의 주된 사용 목적은 친구와의 대화가 232명(77.3%)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이는 이[11]의 중장년층의 스마트폰 이용 성향 및 중독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월 사용 스마트폰 사용금액 6만 원 이하, 일 스마트폰 이용 시간 1 ~ 3시간, SNS 사용 시간에서도 30분 ~ 1시간이 가장 높게 나타난 것으로 연구 결과가 일치하였다.

방사선사의 일반적 특성으로는 성별, 연령, 학력, 근무 기관, 근무부서로 하여 분석하였다.

성별에서는 스마트폰 이용 성향(M=3.29)과 스마트폰 중독(M=2.48)에서 여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 연령별 분석에서는 스마트폰 이용 성향(M=3.27)과 스마트폰 중독(M=2.61)에서 21 ~ 30세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 학력에서 스마트폰 이용 성향(M=3.25)과 스마트폰 중독(M=2.46)에서 대학교 졸업인 방사선사가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근무 기관별 스마트폰 이용 성향과 스마트폰 중독의 차이 분석에서는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방사선사가 이용 성향(M=3.17)과 스마트폰 중독(M=2.38)에서 타 기관에 근무하는 방사선사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근무부서별에서는 핵의학과와 종양학과에 근무하는 방사선사가 스마트폰 이용 성향(M=3.18)과 스마트폰 중독(M=2.70)에서 타 근무부서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방사선사의 빈도가 적어 신뢰성에는 한계가 있다고 할 수 있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방사선사의 스마트폰 이용 성향과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이용 성향과 중독에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스마트폰 이용 성향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다중 회귀분석에서는 10.8%의 설명력과 함께 여가만이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남지역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방사선사의 스마트폰 이용 성향은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스마트폰 중독은 평균 이하의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관점에서 방사선사의 스마트폰 이용 성향과 스마트폰 중독에서 다양한 양상과 역기능을 파악함으로써 그에 따른 적절한 예방과 올바른 사용법을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Ⅴ. CONCLUSION

우리나라의 디지털 문화는 다양한 스마트기기와 환경으로 생활 수준 향상에 따른 접근성이 향상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스마트기기의 활용도가 날로 증가하는 시점에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방사선사의 디지털 의료장비 및 스마트 기기의 사용도 날로 증가하고 있다. 의료장비의 디지털화와 함께 스마트폰의 사용 또한 일반인과 마찬가지로 그 활용도가 다양하다고 할 수 있으며, 사용에 따른 변화도 급변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경남지역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방사선사의 스마트폰의 이용 성향은 일반인의 수준과 큰 차이가 없으며, 스마트폰 중독에서도 평균 이하의 수준으로 사용자 스스로가 충분하게 극복 가능하다고 할 수 있는 것이 무엇보다 주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스마트폰은 현대인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는 중요한 기기로 편리함과 사용이라는 관점에서 사용시간을 스스로 통제할 수 있는 자기조절 능력과 지나친 앱 사용, 동영상 시청 및 게임 시간의 조절을 통한 정신건강 문제 등, 다양한 방안과 함께 슬기로운 스마트폰 사용 방법을 모색하여야 하며, 향후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스마트폰 사용에 따른 지속적인 변화를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References

  1. Y. H. Lee, "Influence of Smartphone Use Tendency and Addiction on Middle Aged People", Graduate School Daegu University of Gyeongbuk, p. 1, 2014.
  2. https://www.yna.co.kr/
  3. H. Y. Lee, "The impact of middle school students smartphone usage level on their health:The mediating effect of sleep quality", Graduate School of Health and Welfare, Cha University of pocheon, p. 15, 2014.
  4. Y. H. Lee, "Influence of Smartphone Use Tendency and Addiction on Middle Aged People", Graduate School Daegu University of Gyeongbuk, p. 4, 2014.
  5. H. J. Kim, "An Integrated to Examine Smartpheone Use and Addiction Process: Focusing on Reconceptualizing of addiction",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of Seoul, p. 151, 2017.
  6. M. J. Gu,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Smartphone Addiction of Adults: Focused on The Effects of Mindfulness and Resilienc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pp. 123-125, 2016.
  7. Y. H. Lee, "Influence of Smartphone Use Tendency and Addiction on Middle Aged People", Daegu University of Korea, Gyeongbuk Gyeongsan, pp. 25-36, 2014.
  8. D. Y. Song, "The Effects on the Job Involvement and Job Performance as Smartphone Addiction of Office Workers", Myonji University of Korea, seoul, pp. 88-92, 2008.
  9. K. D. Kwan, T. Y. Iim, W. S. Choi, S. B. Park, D. H. OH, "The Future Opened by Smartphones", Samsung Economic Research Institute, Vol. 741, 2010.
  10. S. J. Park, M. A. Kwon, M. J. Baek, N. R. Han, "Relation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of College Students using Social Network Service", The Korea Contents Society, Vol. 14, No, 5, pp. 289-297, 2014. http://dx.doi.org/http://dx.doi.org/10.5392/JKCA.2014.14.05.289
  11. Y. H. Lee, "Influence of Smartphone Use Tendency and Addiction on Middle Aged People", Graduate School Daegu University of Gyeongbuk, p. 27,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