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rtphone Usage Time

검색결과 127건 처리시간 0.029초

성인 인터넷중독 및 스마트폰 이용 특성 (Adult Internet Addiction and Smartphone Use Characteristics)

  • 서보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305-317
    • /
    • 2014
  • 본 연구는 성인 인터넷중독자의 특성 및 인터넷 이용 특성과 스마트폰 이용 특성을 파악하여, 성인 인터넷중독자를 발굴하고, 교육, 예방 및 상담활동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데에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2010년도의 인터넷중독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성인 인터넷중독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인터넷이용 특성을 살펴보고, 인터넷중독자의 스마트폰 이용특성과 SNS 이용특성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20-39세 성인 중에 매일~최근 1주일 이내에 인터넷을 이용한 성인 4,787명을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서 성별, 나이, 교육정도, 직업종류, 직업유무에서 인터넷중독자 집단과 일반사용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가족 구성 및 생활 형태별 특성에서는 결혼과 소득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인터넷이용특성에서 인터넷이용시간, 인터넷 최초 이용 시기, 인터넷 이용용도에서 중독자집단과 비중독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마트폰 이용특성에서는 스마트폰 과다사용 인식,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한 인터넷 이용시간의 변화와 SNS 과다사용 인식에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연구의 방향을 논의하였다.

생성형 AI를 활용한 1:1 맞춤형 노인 스마트폰 교육 어플리케이션 개발 (Development of 1:1 customized Smartphone Education Application for the Elderly using Generative AI)

  • 추민영;박연우;노승현;허수진;허원회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4호
    • /
    • pp.15-20
    • /
    • 2024
  • 지자체는 초고령사회로 인해 발생하는 정보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고령자를 대상으로 스마트폰 사용법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하지만 1 대 다수의 교육 방식은 한계가 있으며, 고령자의 학습 효과가 미흡하여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고령자가 반복 학습할 수 있는 환경을 고려하여, 오프라인 교육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교육용 서비스를 제안한다. 이 서비스는 생성형 AI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실제로 어려워하는 부분을 식별하고, 개인별로 맞춤형 문제를 제공하여 개별화된 실습을 가능하게 한다. 이 앱을 기존의 지자체 교육 프로그램과 통합하여 활용하면, 1:1 맞춤형 교육, 시간 효율성, 그리고 교육 내용의 적절성 측면에서 스마트폰 교육의 효율성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COVID-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를 경험한 대학생의 사회·정서적 고립감과 우울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ocial-emotial isolation and depression on smartphone addiction in college students experienced COVID-19 social distancing)

  • 김윤희;김남영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496-506
    • /
    • 2023
  • 본 연구는 COVID-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를 경험한 대학생의 사회·정서적 고립감, 우울,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4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220명이며, 자료수집은 구글 폼으로 설문지를 구성하여 시행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2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변수의 특성에 따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은 사회·정서적 고립감(r=.44, p<.001), 우울(r=.51,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성별(β=.176, p=.001), 주말 스마트폰 사용 시간 7-9시간(β=.387, p=.001), 10-12시간(β=.313, p=.006), 12시간 이상(β=.299, p=<.001), 우울(β=.302, p<.001), 사회·정서적 고립감(β=.210, p=.004)이었다.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F=15.81, p<.001) 모형의 설명력은 43% (adj R2=.43, p<.001)였다. 따라서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하기 위해 사회·정서적 고립감과 우울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정신건강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활용할 필요가 있다.

모바일 SNS 사용이 30~40대 기혼여성의 대인관계 강화와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 사용촉진 요인을 중심으로 (Influence of Mobile SNS on Personal Relationship Enhancement and Self-esteem of Married Women in Their 30s and 40s: Based on Usage Acceleration Factors)

  • 김종기;한지연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3권1호
    • /
    • pp.53-71
    • /
    • 2014
  • The center of networking is moving toward mobile from PC based computing environment. The number of smartphone users are increasing rapidly today. One of the most popular smart phone applications is mobile SNS such as Kakao Story, Facebook, Twitter, Mobile Cyworld, etc. Mobile SNS means social network services based on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This research focused on mobile SNS usage of married women who have not enough time for face-to-face communication with their friends to enhance their friendship. Married women in their 30s and 40s have lots of things to do like housework and caring their children. Mobile SNS would help their communication in aspect such of free of space and time. Through Mobile SNS married women can reinforce their personal relationship and self-esteem.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Theory (SIP) is an interpersonal communication theory developed by Walther(1992). Once established, online personal relationships may demonstrate the same relational dimensions and qualities as face-to-face relationships. The theory explains how people get to know one another online, without nonverbal cues, and how they develop and manage relationships in the computer-mediated environment. The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indicates that marred women's Mobile SNS activities reinforce their personal relationship and self-esteem.

수도권 지역 직장인의 음식 관련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이용 실태와 만족도 (Usage and Satisfaction of Food-related Smartphone Applications of Office Workers in Seoul Area)

  • 길문경;정희선;윤지영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1096-1106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gure the usage status and satisfaction of food-related smartphone applications by generic characteristics and food purchase attributes of Seoul area workers. The results show that health vitality-oriented group, married compared to single, those with higher eating-out expenses possess more food-related applications (p<0.05). The primary reason for the usage of food-related applications was the need for food-related information (53.7%). The highest application subjects in use were restaurant-related information and recipe information. The real-life aid food-related applications utilized most were also restaurant information (60.7%) and recipe information (28.3%). Health vitality-oriented respondents especially turned out to use nutrition information and food functionality information often (p<0.01), and recipes or calories & diet information usage frequency was higher in women than in men (p<0.001). Restaurant-related information were more frequently used by singles, highly educated, and those with high income and eating-out expenses (p<0.05). Satisfaction of food-related applications was normal (3.06), showing that the satisfactory level is not yet high. Satisfaction regarding purchase attributes showed that the health vitality-oriented group (3.19) was more satisfied compared to other groups (p<0.05), and women (3.16) were more satisfied that men (2.89) were (p<0.05). Inconveniences of food-related applications were highest in usage fee (3.29), simplicity of information (3.28), lack of reliability of information and need for update (3.10).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es that various subdivisions of food-related applications users should be implemented; at the same time, food-related applications covering diverse subjects that regard each group's characteristics should be developed in order to utilize food-related knowledge and information as a marketing tool in the food industry; this can efficiently be done by paying attention to the quality of information and updates within applications.

스마트폰 사용자의 앱정리 유형에 따른 앱아이콘 탐색의 차이 연구 -아이폰 사용자 중심으로- (Differences in Finding Smartphone Apps across User Types Categorized by App Icon Arrangement Style)

  • 강민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143-155
    • /
    • 2017
  • 모바일 우선주의 시대에 수많은 모바일 앱이 쏟아지면서 사용자들이 보유하는 앱의 숫자도 증가하게 되었다. 그러나 실제로 자주 사용하는 앱의 숫자는 적고 많은 앱들이 언젠가 사용되기 위해 보관되고 있다. 이런 앱들을 사용자가 필요한 순간에 스마트폰에서 빠르게 찾도록 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들이 앱아이콘을 어떻게 관리하고 어떻게 탐색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에서 앱아이콘 정리, 앱아이콘 인지 및 디자인의 변화에 대해서 고찰하고 5가지 정리 유형(사용빈도, 유사성, 사용성, 심미성, 외부영향)을 추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30명의 아이폰 사용자들의 모바일 화면을 관찰 분석하여 유사성, 심미성, 외부의 영향을 3가지 주요 유형으로 확정하여 사용자 유형을 나누고, 각 사용자마다 자신의 폰에서 앱아이콘을 찾는 실험을 진행하여 사용자 유형별 아이콘 탐색 시간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자주 사용하는 앱의 경우는 대부분의 피험자들이 2초 이하로 빨리 찾았지만 자주 사용하지 않는 앱의 경우에는 유사성을 중심으로 정리하는 사용자가 평균 6초로 가장 빨리 찾았고 심미성을 고려해서 정리한 사용자가 평균 19초로 가장 오래 걸렸다. 또한, 사용자 유형별 인터뷰 결과 유사성 중심으로 정리하는 사용자에게는 앱아이콘 보다는 앱 이름의 기능 유추 여부가 중요하며, 심미성을 고려하여 정리하는 사용자에게는 앱아이콘의 칼라가 중요하고, 폴더 사용 없이 폰에서 제공하는 순서대로 앱을 배치하는 사용자들에게는 수많은 앱 아이콘들 사이에서 빠르게 시선을 잡아줄 수 있는 앱아이콘의 가시성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용자들의 성향을 고려하면서 앱 아이콘의 사용성을 높이기 위한 디자인을 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rduino를 활용한 손목 터널 증후군 예방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Carpal Tunnel Syndrome Prevention System Using Arduino)

  • 황우진;우용호;노윤홍;정도운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31-532
    • /
    • 2016
  • 손목 터널 증후군은 수근관이라는 부분이 좁아지면서 정중신경이 눌리게 되어 통증이 발생하게 되는 질환이다. 예방을 위한 방법으로 꾸준한 손목 스트레칭이 필요로 하며, 사용자에게 맞는 생활 가이드가 제공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 스스로가 손목 터널 증후군의 위험성을 인지하고, 스트레칭을 할 수 있도록 손목 터널 증후군 예방 시스템(carpal tunnel syndrome prevention system, CTSPS)을 구현하였다.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설정한 사용 시간을 바탕으로 알림 및 잠금을 수행한다. 이때 사용자는 아두이노와 관성센서를 이용하여 손목 스트레칭을 할 수 있으며, 사용 패턴을 분석하여 사용자에 맞는 정보 및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 통신은 무구속을 만족하는 블루투스 4.0을 사용하였다. 또한 구현된 시스템을 평가하기 위해 피실험자 4명을 대상으로 3일간 스마트폰 사용 시간 및 터치 횟수를 측정하였고, 설문조사를 수행한 결과 스마트폰의 사용 빈도가 줄었으며, 긍정적인 효과를 증명할 수 있었다.

  • PDF

대학생의 스마트기기 사용수준에 따른 식생활 실태 (Dietary Life Status According to Smart Device Use of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 임선희;김미현;최미경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63-370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etary life status according to smart device use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2015, data was collected during a 3 month survey of the eating behaviors, lifestyles, eating habits, and use of smart devices of 550 university students, as well as their dependency on smartphones. Ultimately, 520 subjects (94.5% analysis rate)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their daily use time of smart device: low-use group (<4.7 hours, n=173), medium-use group (${\geq}4.7hours$ and <6.4 hours, n=174), and high-use group (${\geq}6.4hours$, n=173). The more frequent use groups showed a higher level of dependency on the smartphone. Breakfast was found to be the most commonly skipped meal; and the high-use group showed a higher response of irregular meals than low-use group. In assessment of eating habits, the subjects with less smart device usage ate more regularly and at fixed times, did not overeat, drank milk everyday, and did not consume processed food as often. To sum up, more irregularity of meal and undesirable eating habits were found among university students with higher use of smart devic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control of smart device usage would lead to a more desirable dietary life in university students.

스마트폰 통신성향을 고려한 TCP 개선방안 (TCP Algorithm Improvement for Smartphone Data Transmissions)

  • 이준엽;김현순;이웅희;김황남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1권10호
    • /
    • pp.1309-1316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저용량 데이터의 전송빈도가 높은 스마트폰의 데이터 통신 성향을 참조하여, 스마트폰의 특성에 알맞은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스마트폰의 사용량은 최근 비약적으로 늘어났으며, 실시간 지도검색, 대중교통 정보 확인, 게임, SNS 등의 사용 빈도가 높아지게 되었다. 이러한 스마트폰에서 주로 일어나는 저용량 데이터 통신은 TCP의 혼잡회피 단계가 나오기 이전에 데이터 전송이 끝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본 논문에서는 혼잡회피가 아닌 다른 TCP 관련 알고리즘을 조정하여 초기 통신 속도의 향상을 구현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알고리즘은 리눅스의 Quick ACK과 네이글 알고리즘(Nagle's algorithm)의 조절을 통하여 불필요한 지연을 줄이고, 짧은 통신에서도 안정적으로 높은 전송속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TCP를 개선하였다.

한국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과 가당 음료 섭취의 관련성: 제13차 청소년건강행태조사를 기반으로 (Associations between and Smartphone Use and Sugar-sweetened Beverage Intake among Korea Adolescents: The 13th Korea Youth Risk Behavior Survey (2017))

  • 김은정;김해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578-587
    • /
    • 2020
  • 본 연구는 한국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과 가당 음료 섭취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청소년 건강행위의 위험요인을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한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2017년 한국 청소년 건강행태 조사를 기반으로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는 54,603명의 청소년의 자료가 사용되었다. 일반적 특성, 스마트폰 사용 및 가당 음료 섭취와 관련된 변수는 익명으로 관리되는 온라인 설문 조사를 통해 수행되었다.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한 복합표본분석이 사용되었다. 스마트폰 사용 시간(aOR = 2.19, 95%CI = 2.05-2.34)과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스마트폰의 사용 목적(aOR = 1.51, 95%CI = 1.43-1.60)은 주 3회 이상 탄산음료 섭취와 관련이 있었다. 또한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한 가족과의 갈등은 탄산음료 섭취와 관련이 있었고(aOR = 1.42, 95%CI = 1.33-1.51), 친구와의 갈등은 단맛 음료 섭취와 관련이 있었으며 (aOR = 1.39, 95%CI = 1.30-1.49), 학업문제 경험은 탄산음료 섭취와 관련이 있었다(aOR = 1.79, 95%CI = 1.54-2.07). 그러므로 학교와 가정에서 스마트폰 사용을 통제하고 올바른 커뮤니케이션 기술을 학습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청소년의 가당 음료 섭취 감소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가족과 친구와의 긍정적 관계, 학업 스트레스의 적절한 관리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과 관련된 부적절한 건강행위 감소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