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rt Classroom

검색결과 94건 처리시간 0.028초

과학관련 사회쟁점(SSI) 토론 수업에서 스마트 기기의 활용 방식과 수업의 특징 (Features of Using Smart Devices in Socioscientific Issues Debate Classes)

  • 남혜인;강훈식;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787-797
    • /
    • 2017
  • 이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의 과학관련 사회쟁점(SSI) 수업에서 스마트 기기를 활용함으로써 나타나는 특징을 분석하였다. 경기도에 소재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27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SSI 토론 수업을 진행하였다.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SSI 수업을 자료 탐색, 자료 공유, 자료 요약 및 정리, 교실 토론, 온라인 토론의 총 5단계로 구분하여 단계별 특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자료 탐색 단계에서 학생들은 각자의 지식과 관심을 반영하여 자기주도적으로 심층적인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자신이 이해하기 쉬운 형태의 자료를 선택하여 학습하였다. 자료 공유 단계에서는 온라인보다 오프라인에서의 공유가 활발하게 일어났으며, 공유 과정을 통해 수집한 근거의 구체성과 타당성 및 출처의 명확성이 향상되었다. 자료 요약 및 정리 단계에서 학생들은 스마트 기기보다는 종이에 자료를 정리하였으나, 대부분의 학생들은 토론 과정에서 정리한 자료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였다. 교실 토론 단계에서는 구체적 근거에 기반한 주장과 반박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며, 이는 토론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를 높여 적극적인 토론 참여로 이어졌다. 온라인 토론 단계에서는 학생들이 양측의 논거를 재정리하고 검토할 뿐 아니라, 교실 토론에서 소극적이었던 학생들의 토론 참여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SSI 수업을 효과적으로 진행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모바일시대의 기초통계학 교육용 디지털 신경시스템: SmartNote (A Digital Nervous System for Elementary Statistics Education in the Mobile Age: SmartNote)

  • 한경수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18권3호
    • /
    • pp.333-342
    • /
    • 2011
  • 전통적인 강의실의 기초통계학 수업에서 많은 학생들이 수업에 집중하지 못하고 있다. 수업 시간에 졸거나, 잡담하거나, 휴대폰을 만지작거리면서 다른 생각에 잠겨 있다. 인터넷이 가능한 컴퓨터실에서의 강의와 실습은 인터넷이 제공하는 콘텐츠와 부단히 경쟁을 해야 한다. 이러한 문제를 조금이나마 해결해 보려고 시도한 방안이 교수와 학생을 하나의 유무선 네트워크로 묶는 교육용 디지털 신경시스템 하에서 기초통계학을 가르치고 학생들이 공부하게 하자는 것이다.

교수학습활동에서 교사들의 앱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eachers' Use of Applications in Teaching-Learning Activities)

  • 장세지;전석주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1-12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수학습활동에서 초등학교 교사들의 스마트폰 앱의 활용에 관해 조사하고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의 범위는 교수학습활동에서의 앱의 활용실태, 교사들의 교수학습활동에서의 앱에 대한 이해와 교실에서의 각 교과에서의 앱의 활용방법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시내에서 스마트 교육에 관심 있는 100명의 초등학교 교사에 대해 조사하였다. 이러한 교사들은 모두 스마트 연구학교에 근무한 적이 있거나 컴퓨터관련 석사학위를 취득한 교사들로 구성되어진다. 본 연구의 결과가 미래의 교사들이 앱을 활용한 수업을 설계함에 있어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Effects of Smart Reading in the Elementary English Classroom

  • Jeong, Myeonggi;Jeon, Heecheol;Kim, Jeongryeol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0권2호
    • /
    • pp.59-66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Smart reading program, Smartree, in an elementary English class. Recently in Korea, the use of smart technologies in education has become an issue with the introduction of a new educational platform and increased social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The Smart learning paradigm is converging with technology and social learning. This study examines an English reading method using smart technology and how it affects the improvement of elementary students' reading ability, we also suggest effective reading methods related to Smart learning suitable for this new educational tre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use of a tablet PC based Smartree reading program had meaningful effects on both improvements of cognitive reading ability and changes in affective attitude.

지오펜싱 기술을 이용한 학습 지원 시스템에 관한 연구 (Learning Assistant System Using Geofencing Technology)

  • 박희숙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6호
    • /
    • pp.631-636
    • /
    • 2019
  • 최근에 사용자 스마트 폰의 위치정보를 활용한 다양한 종류의 서비스들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동향을 기반으로 우리는 위치정보 기술의 한 분야인 지오펜싱 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형태의 학습 지원 시스템의 설계를 하였다. 본 시스템은 학습자가 스마트 폰을 휴대한 채로 가상울타리 영역으로 설정한 강의실 안으로 진입을 하는 경우 학습자의 스마트 폰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강의실의 위치를 식별하고 학습자의 스마트 폰으로 필요한 학습콘텐츠를 자동으로 제공을 한다. 우리의 시스템은 학습 콘텐츠들을 메시지나 모바일 쿠폰의 형태와 유사한 형태로 제공을 하고 있으며, 학습자들은 이러한 모바일 서비스 환경에 매우 익숙하다. 따라서 본 시스템으로 제공되는 학습콘텐츠의 이용은 학습자의 학습 효과를 향상하는데 도움을 줄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스마트 학습 환경에서 웹 콘텐츠 적응을 위한 부분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gmentation for Adaptation of Web Contents in Smart Learning Environment)

  • 서진호;김명희;박만곤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325-333
    • /
    • 2016
  • The development of smart technology has brought the conversion of closed traditional e-learning contents into open flexible smart learning contents consisting of learner-centered modules, without the constraints of time and space by use of smart devices from the uniformed and passive classroom between teachers and learners. It has been demanded an open, personalized and customized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s of smart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s according to wide supply of various smart devices. In this paper, we discuss about the status of the smart teaching and learning systems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structure of the web contents for smart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s by use of smart devices. And we propose a method how to block web contents, to extract them, and adapt personalized segments of web contents by adaptive algorithm into smart learning devices. We extract blocks from the web contents based on the smart device information and the preference information of the learners from existing web contents without the hassle of learners environment. After specifying a block priority from the extracted web contents by the adaptive segment algorithm, it can be displayed directly to the screen to fit the individual learning progress of the learners.

교육 프로파일링을 융합한 스마트 교안제작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mart Teaching Plan Production System Combined Education Profiling)

  • 김기봉;조한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3호
    • /
    • pp.185-191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프로파일링 기술을 교육 분야에 융합하여 스마트 교안 제작을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필요한 제반 요소에 대해 살펴보고, 이에 부합되는 기술인 프로파일링 기술, 기술 동향, 제품 동향에 대하 살펴보았다. 이를 기반으로 구현에 필요한 요소인 스마트 교안 제작 및 편집기술, 스마트 교안 관리기술, 교안 편집 및 연동기술에 대해 제안을 하였다. 제안된 기술을 기반으로 시스템이 구축되면 수업 교안 저작, 콘텐츠 파일 관리, 수업 강의 기능이 복합적으로 구성되며, 수업 진행을 원활히 수행하고 개개인의 학습 능력에 따라 이해도가 향상될 수 있다.

초등과학에서 스마트러닝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 태양계와 별 단원을 중심으로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Smart Learning Teaching-Learning Program in Elementary Science Class - Focused on the unit of Solar System and Star)

  • 윤희건;최선영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9권3호
    • /
    • pp.321-332
    • /
    • 2015
  • 본 연구는 '태양계와 별' 단원에 대한 스마트러닝 교수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초등학생들의 과학적 태도, 과학 흥미도,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초등학교 5학년 과학 교과 내용 중 '태양계와 별' 단원을 선정하여 설계한 스마트러닝 수업은 스마트기기의 다양한 콘텐츠를 활용하여 학습자간 상호작용과 협업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였으며, 그 결과를 공유하여 교사 및 학생 상호 간 피드백을 받을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러닝 교수 학습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과학적 태도, 과학 흥미도와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둘째, 스마트러닝 수업에 대한 설문조사와 개별면담 자료를 통해 긍정적인 반응을 확인하였다. 특히 수업의 '참여도'와 '흥미도' 부분에서 만족도가 높았고 스마트기기의 사용으로 수업을 게임처럼 재미있게 생각하는 반응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론에 근거하여 다른 단원, 다른 주제에 대한 스마트러닝 교수 학습 프로그램 개발과 연구의 필요성, 스마트러닝이라는 새로운 수업방식으로 흥미와 태도를 이끌어 내기 보다는 과학에 대한 본질적인 관심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방안과 같은 후속 연구의 방향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 PDF

교사들의 스마트 교육 수용과 유아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인식 탐구 (Exploring Teachers' Perceptions and Beliefs about the Acceptance of Smart Education and Preschoolers' Digital Literacy)

  • 이은정;이재신
    • 정보화정책
    • /
    • 제23권3호
    • /
    • pp.64-83
    • /
    • 2016
  •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유아의 스마트 미디어 이용과 유아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인식과 신념을 살펴봄으로써 스마트 교육을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해보고자 한다. 연구에서는 인터뷰를 통해 유아교사들이 스마트 교육 수용과 관련하여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유아교사들은 유아들의 스마트 미디어 이용에 대하여 긍정적이기보다는 부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었으며 스마트 교육의 제한적인 활용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교사들이 가진 기술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는 스마트 교육의 수용을 저해하는 장애물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들의 인식 개선이 스마트 교육 활성화의 중요한 전제 조건임을 보여준다.

스마트 교실에서 디지털교과서와 디바이스 호환성, 사용성 분석 (An Analysis of Compatibility and Usability of Digital Textbook and Device in The Smart Classroom)

  • 최상현;박대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38-341
    • /
    • 2016
  • 스마트 시대와 더불어 스마트 교육이 시행되었지만, 활성화되지 못하고 현재는 잠정적으로 중단된 상태이다. 스마트 교육에 필수인 디지털 콘텐츠가 부족하고 질이 낮으며, 교육 기자재도 가격이 비싸고 도입 예산에 비해 효과가 적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학생들의 학습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스마트 교육에 필수적인 디지털교과서와 교육 기자재의 도입에 중점적으로 고려해야할 호환성과 사용성을 분석한다. 본 논문을 통해 제한된 예산을 사용하는데 최적의 교육 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하여 침체된 스마트 교육 확산을 다시 활성화하고, 스마트 교육의 종주국으로서 위상을 제고하며, 교육의 질을 높여 국가의 미래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