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rt

검색결과 20,411건 처리시간 0.045초

농촌지역 스마트빌리지 사업의 우선순위 서비스 도출과 추진 전략 - 충청남도 금산군을 중심으로 - (Smart Service and Progressive Strategies of a Smart Village Project in Rural Area - A Case Study of Geumsan-gun -)

  • 남윤철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4권2호
    • /
    • pp.37-44
    • /
    • 2022
  • In this paper, for the smart village project in Geumsan-gun, the problems of the village were derived for the residents. And the business model of the smart village was presented. In the introduction, we looked at domestic cases related to the smart village project. And In November 2019, this paper reflected the results of the resident survey(314) and extracted important smart services using the IPA method.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are as follows. The government's smart village project aims to increase agricultural and fishery production and improve the urban environment. Geumsan residents want to increase agricultural production and develop tourism. The smart village model in Geumsan-gun is promoted in three directions. (1) Smart villages require smart services for crime prevention, parking lots, and public transportation. (2) Smart villages need ICT-based ginseng festivals, smart farms, and tourism services. (3) Smart villages need ICT-based culture and welfare services. The rural areas in Korea are expected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ir living environment through the smart village project.

스마트시티: 최근 문헌에 대한 리뷰 (Smart Cities: A Review of the Most Recent Literature)

  • 마크 호프만
    • 정보화정책
    • /
    • 제27권1호
    • /
    • pp.3-35
    • /
    • 2020
  • 스마트시티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새로운 정보통신기술, 도시계획, 도시경제발전, 보건 등의 다양한 분야가 스마트시티 연구 혹은 실무에 적용된다. 그래서 스마트시티에 대한 정의는 다양하게 진화하고 있으며 때로는 혼란도 가지고 온다. 연구자들의 전공에 따라 개별적으로 연구되고 있는 스마트시티에 관한 전반적인 리뷰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 스마트시티라는 아이디어가 어떻게 발전해 왔으며, 주요 구성요소 그리고 실제적으로 집행되어 왔는지 정리해 보고자 한다. 특히 최근 2016년부터 지금까지 진행되어 온 학술적 연구들에 대해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이전 초기부터의 연구 정리는 Albino외 (2015), Cochia(2014)연구를 참조하면 된다. 이 리뷰논문에서는 먼저 스마트시티의 다양한 정의에 대해 소개하고 논의하였다. 두 번째로는 스마트 시티를 구성하는 여러 가지 관련 용어를 정리하였다. 세 번째로는 스마트 시티 발전정도를 측정하려는 시도인 인덱스에 관한 연구를 정리하였다. 네 번째로는 스마트 시티 연구의 건설적 비판(critique)으로 연구방향을 제시한 자료들을 분석하였다. 다섯 번째로는 스마트시티 연구를 어떻게 분류하고 구분할지에 대한 분류 체계(taxonomy)에 대한 제시가 있다. 여섯 번째로는 최근 가장 많이 언급되고 있는 여섯 가지의 분야- 스마트 경제, 스마트 거버넌스, 스마트 리빙, 스마트 피플, 스마트 환경, 스마트 모빌리티-에 대해 리뷰 하였다.

기업의 환경요인을 통한 기술혁신이 Smart Factory 구축에 미치는 영향 연구 -흡수역량을 조절변수로- (A Study on the Effect of Technological Innovation on the Implementation of Smart Factory through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Enterprise -Absorption Capacity as Moderating Variable-)

  • 진성옥;서영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407-420
    • /
    • 2019
  • 본 연구는 '기업의 환경요인을 통한 기술혁신이 Smart Factory 구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연구이다. 연구 목적은 Smart Factory를 구축할 때 내부환경이나 중점적으로 추진할 요인을 고려하고 구축하여 Smart Factory의 활용도와 효과를 높이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Smart Factory를 구축한 기업의 관련 인원들에게 설문을 조사하여 SMART PLS로 통계분석 하였다. 연구결과는, 기업 내부 조직 요인과 자기효능감은 기술혁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기술혁신은 Smart Factory 구축의 핵심요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조절변수인 흡수역량은 기술혁신요인과 상호작용으로 Smart Factory 구축의 핵심요인에 부분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Smart Factory를 구축하려는 기업이 활용할 수 있으며, 실증분석을 통한 Smart Factory 구축연구에 이론적 토대를 마련한 의의가 있다.

IoT Delegate: Smart Home Framework for Heterogeneous IoT Service Collaboration

  • Kum, Seung Woo;Kang, Mingoo;Park, Jong-Il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0권8호
    • /
    • pp.3958-3971
    • /
    • 2016
  • With Internet of Things (IoT) technology, home environment becomes smarter than ever. Not only smart devices such as smart phone or smart TV, but also various IoT devices including sensor, smart thermostat, and smart scale has now become very common on the market. These devices have connectivity to the Internet, so that user can read data from the device or control the device using Internet technology. However, due to diversity of smart home requirements, device collaboration in smart home remains a challenging task still. Usually smart home is built with various technologies to fulfill its own purpose, and these purposes cover very wide area from controlling low-power sensor devices to controlling high-performance devices like smart TV and smart phone. This variety of smart home requirements makes smart home very complicated due to mixed network architecture, protocol and technology. In this paper, a framework to enable managing and collaborating heterogeneous IoT devices in smart home environment is proposed. Several programming models are defined in the proposed framework to make application development for heterogeneous devices more intuitive. The proposed framework has been implemented as a web service, and a case study with real-world smart home IoT devices is presented.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관련 국내 연구 동향 (Trends and Issues of Adolescent's Smart Phone Addiction Research in Korea)

  • 김영숙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7-29
    • /
    • 2015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rend of adolescent's smart phone addiction researches from 2012 to 2014 in Korea, and to propose further study for prevention of adolescent's smart phone addiction. Methods: Subjects were 169 researches about adolescent's smart phone addiction from 2012 to 2014 in Korea, and the theme was summarized as following: variables associated with adolescent's smart phone addiction, prevention and intervention strategies of it, the status and development of adolescent's smart phone addiction scale, awareness and prevention of smart phone addiction. Results: As a result of this study, 63.3% were as the most source of researches in 2014, and master's thesis was 74.6 percent. According to the theme of research, the most effects on smart phone addition is self-control and parenting and the most relational variables with smart phone addition are anxiety and parenting. The most affected by smart phone addiction is adaption of school life and conversational breakdown. The studies about prevention of smart phone addiction and intervention examine the effect of therapy program and group consultation. Conclusions: The educational program for using smart phone should be made and applied for preventing adolescent's smart phone addiction.

스마트 TV와 스마트 폰 연동 게임을 위한 프레임워크 (Game Framework for Linking Smart TV and Smart Phones)

  • 정규만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33-37
    • /
    • 2019
  • 스마트 폰을 비롯한 스마트 TV 등 여러가지 스마트 기기의 보급으로 인해 스마트 기기 간의 연동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TV와 스마트 폰을 연동하기 위한 게임 프레임워크를 제시하고, 시범 콘텐츠를 통해 제시된 프레임워크의 효용성을 증명하였다. 스마트 기기 사이의 연결 문제는 기본적으로 이기종 간의 연결 문제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이기종 기기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과 보안까지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핵심적인 데이터는 클라우드 컴퓨팅 개념을 도입하여 서버에 저장하고 스마트TV에서는 이 데이터를 이용해 게임을 수행하는 형태로 작동한다. 제시된 프레임워크는 게임을 비롯한 여러 가지 관련 분야에 적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Personal Smart Travel Planner Service

  • Ki-Beom Kang;Myeong Gyun Kang;Seong-Hyuk Jo;Jeong-Woo Jwa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1권4호
    • /
    • pp.385-392
    • /
    • 2023
  • The smart tourism service provides tourists with personal travel planner services and context-awareness-based tour guide services.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personal travel planner service that creates my travel itinerary using the smart tourism app and the travel planner system. The smart tourism app provides recommended travel products and POI tourist information used to create my travel itinerary. The smart tourism app also provides the smart tourism chatbot service that allows users to select POI tourist information easily and conveniently. The travel planner system consists of the smart tourism information system and the smart tourism chatbot system. The smart tourism information system provides users with travel planner services, recommended travel products, and POI tourism information through the smart tourism app. The smart tourism chatbot system consists of named entity recognition (NER), dialogue state tracking (DST), and Neo4J servers, and provides chatbot services as a smart tourism app. Users can create their own travel itinerary, modify the travel itinerary while traveling, and then register it as a recommended travel product to users, including acquaintances.

스마트교육의 속성과 구현 실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fined and Realized Attributes of SMART Education)

  • 윤가영;이효진;박인우
    • 한국교육학연구
    • /
    • 제23권1호
    • /
    • pp.183-204
    • /
    • 2017
  • 스마트 기술의 발달과 다양한 스마트 매체의 등장은 개인의 학습 환경과 학교교육 현장에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이에 정부는 학습 환경의 변화에 발맞추어, 2011년 스마트교육 추진 전략을 발표했고, 스마트교육이라는 용어를 공식적으로 등장시켰다. 이후 정부를 중심으로 스마트교육을 학교 현장에 도입하고자 다양한 정책이 실행되어 왔으며, 스마트교육에 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스마트교육이라는 개념이 등장한지 6여 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스마트교육은 정체성에 대한 혼란을 안고 있으며, 스마트교육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부재한 상황에서 기술적 측면을 중심으로 정책이 추진되면서 일선현장의 교사들은 스마트교육을 단순히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수업으로 이해하고 있는 경우가 많으며, 이로 인해 스마트교육은 단순히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수업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스마트교육의 이론적 기틀 마련을 위해 선행연구 분석을 토대로 스마트교육의 속성을 정의하였으며, 스마트교육 연구 가운데 실증 및 사례 연구를 검토 분석하여 실제 교육현장에서 스마트교육이 어떤 속성들을 중심으로 구현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선행연구 분석 결과 도출된 스마트교육의 속성은 정보통신기술(T), 열린 학습 환경(E), 자기주도 학습(S), 맞춤형 학습(C), 소셜 러닝(SL)의 5가지로 나타났다. 실증 및 사례연구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실제 교육현장에서 구현되고 있는 스마트교육의 속성은 정보통신기술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기기 및 매체의 활용을 중심으로 나타났으며, 자기주도 학습, 맞춤형 학습은 스마트교육 환경에서 적절히 활용되지 못하고 있었다. 추후 연구를 통해 스마트교육이 가지고 있는 특성을 교육 현장에서 제대로 활용하여 교육적 효과를 제고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스마트' 용어의 적용사례 분석을 통한 '스마트시티'의 개념정립을 위한 연구 (A Study on Setting up the Concept of Smart City through Analysis on the Term 'Smart')

  • 최봉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943-949
    • /
    • 2011
  • 최근 스마트폰을 비롯한 스마트 기기와 스마트 홈 등 스마트 공간들이 다양한 형태로 발전되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의 발전은 공상과학이나 영화에서나 존재하는 것이 아닌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현실화되 고 있다. 바야흐로 지금은 "스마트" 용어의 시대이다. 하지만 짧은 기간 동안 스마트라는 용어가 무분별하게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면서 스마트시티에 대한 개념적 혼선이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시티에 대한 명확한 개념 정립과 향후 스마트시티가 나아가야할 방향 등 정책적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즉, 스마트 용어가 도시 및 공간에 적용되고 있는 스마트시티에 대하여 살펴보고 스마트시티의 발전 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스마트' 용어의 적용사례를 분석한 결과, 스마트란 용어는 '지능화, 첨단적'의 개념을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지만, 스마트시티의 정의는 다양한 견해로 보이는 걸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스마트시티는 단순히 '스마트(smart) + 도시(city)'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도시를 스마트하게 만들고자 하는 의미로 사용되어야 하는 것으로 보는 것이 옳다고 할 수 있다.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이용이 인지와 언어 발달에 미치는 영향 : 스마트미디어 중독 경향성의 매개효과와 어머니의 스마트미디어 이용 지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Effect of the Use of Smart Media on the Cognitive and Language Development of the Preschooler: The Mediating Effect of Smart Media Addiction Tendency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Maternal Guidance on Smart Media Usage)

  • 김은지;전귀연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8권1호
    • /
    • pp.13-29
    • /
    • 2020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choolers' smart media usage in regards to cognitive and language development, especially the mediating effect of preschoolers' smart media addiction tendency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maternal guidance on smart media usage. The study surveyed 273 preschoolers' mothers who lived in Daegu City and Kyungpook Province.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reschoolers' smart media addiction tendenc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 media usage time in regards to cognitive and language development. Second, maternal active mediation and monitoring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choolers' smart media usage time and smart media addiction tendency. Third, there was a maternal co-use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preschoolers' smart media addiction tendency on language development. In conclusion, preschoolers' smart media addition tendency mediated the effect of smart media usage time on cognitive and language development. Among the mediation pathways, the influence of preschoolers' smart media addiction tendency on language development was moderated by maternal co-use.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maternal guidance should be applied differently depending on preschoolers' smart media addiction tendency. This study examined preschoolers' and maternal smart media-related variables on preschoolers' cognitive and language development in order to provide preliminary data that can be used to explore the maternal guidance on how to use smart media for their preschool childr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