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ends and Issues of Adolescent's Smart Phone Addiction Research in Korea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관련 국내 연구 동향

  • Received : 2015.05.18
  • Accepted : 2015.09.18
  • Published : 2015.12.31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rend of adolescent's smart phone addiction researches from 2012 to 2014 in Korea, and to propose further study for prevention of adolescent's smart phone addiction. Methods: Subjects were 169 researches about adolescent's smart phone addiction from 2012 to 2014 in Korea, and the theme was summarized as following: variables associated with adolescent's smart phone addiction, prevention and intervention strategies of it, the status and development of adolescent's smart phone addiction scale, awareness and prevention of smart phone addiction. Results: As a result of this study, 63.3% were as the most source of researches in 2014, and master's thesis was 74.6 percent. According to the theme of research, the most effects on smart phone addition is self-control and parenting and the most relational variables with smart phone addition are anxiety and parenting. The most affected by smart phone addiction is adaption of school life and conversational breakdown. The studies about prevention of smart phone addiction and intervention examine the effect of therapy program and group consultation. Conclusions: The educational program for using smart phone should be made and applied for preventing adolescent's smart phone addiction.

Keywords

References

  1. 권재환. 국내 인터넷중독 연구동향 학술지 게재 논문분석. 청소년학연구 2008;15(3):137-157.
  2. 김문실 외 12명. 알기 쉬운 간호연구방법론. 서울: 정담미디어. 2011.
  3. 김병년.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이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3;13(4): 208-217. https://doi.org/10.5392/JKCA.2013.13.04.208
  4. 김태진.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생활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서울: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4.
  5. 김학범. 스마트폰 중독에 관한 연구동향. 한국중독범죄학회보 2013;3(1):74-89.
  6. 김희진.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예방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개발[석사학위논문]. 청주: 한국교원대학교, 2014.
  7. 마기순. 집단미술치료가 스마트폰 중독 청소년의 대인관계와 자기발달에 미치는 효과[석사학위논문]. 서울: 명지대학교, 2014.
  8. 미래창조과학부. 한국정보화진흥원, 2013년 인터넷중독 실태조사. 서울: 미래창조과학부. 한국정보화진흥원, 2014.
  9. 박성미. 집단미술치료가 중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성과 자기효능감 및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효과[석사학위논문]. 서울: 한양대학교, 2014.
  10. 박수빈. 중학생의 스마트폰중독이 학교생활적응 및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서울: 국민대학교, 2013.
  11. 방송통신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2012년 스마트폰 이용실태조사. 서울: 방송통신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2013.
  12. 박승민, 김창대, 천명재. 청소년 인터넷 중독에 관한 국내 연구의 동향과 과제: 연구주제를 중심으로. 청소년상담연구. 2005;13(3): 3-14.
  13. 박지선. 청소년 및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석사학위논문]. 서울: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2.
  14. 백소진.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양육태도와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의 관계 : 대인불안의 매개효과 검증[석사학위논문]. 서울: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4.
  15. 서울시마약퇴치운동본부. 청소년약물남용예방과 치료. 서울: 서울시마약퇴치운동본부, 2012. http://www.drugseoul.or.kr/gnuboard4/bbs/board.php?bo_table=prevent&wr_id=10
  16. 송혜진. 스마트폰이용을 통한 SNS 중독에 관한 연구. 한국중독범죄학회보. 2011;1(2):31-49.
  17. 양유희. 울산광역시 중학생의 스마트폰 이용특성, 외로움, 가족기능, 사회적지지에 따른 스마트폰 중독성 연구[석사학위논문]. 울산: 울산대학교 대학원, 2014.
  18. 여성가족부. 2013 청소년 매체이용 실태조사, 서울: 여성가족부, 2013.
  19. 여성가족부. 2014년 인터넷.스마트폰 이용습관 진단. 서울: 여성가족부, 2014.
  20. 여성가족부, 통계청. 2014 청소년통계. 서울: 여성가족부, 통계청. 2014.
  21. 오영덕. 스마트폰 중독이 가족관계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전북: 한일장신대학교 대학원, 2014.
  22. 유예림.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이 공감능력과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서울: 서울기독대학교, 2014.
  23. 윤영숙. 중학생의 스마트폰 사용과 정신건강의 상관관계 : 인천광역시 동부 교육지원청 관내학교를 중심으로.[석사학위논문]. 인천: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3.
  24. 이수진, 문혁준. 중학생의 자기통제, 부모-자녀 간의 의사소통 및 학교생활만족도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2013;22(6):587-598. https://doi.org/10.5934/kjhe.2013.22.6.587
  25. 이윤미. 애착과 자기통제력이 중학생의 스마트 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 [석사학위논문]. 서울: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26. 이창호외 5명. 청소년의 소셜 미디어 이용실태 연구. 한국청소년개발원 연구보고서 2012;(12):1-396.
  27. 정명순. 초기청소년의 자기통제력과 학교생활 적응이 스마트폰중독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대구: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14.
  28. 정서림. 스마트폰 중독 잠재적 위험군 중학생의 중독예방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개발[석사학위논문]. 청주: 한국교원대학교, 2014.
  29. 조현옥. 중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수준에 따른 자아존중감, 충동성 및 지각된 스트레스의 차이[석사학위논문]. 대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1.
  30. 한국정보화진흥원. 스마트폰 중독 진단척도 개발연구. 서울: 한국정보화진흥원, 2011.
  31.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3 한국 청소년의 스마트폰이용 실태조사. 서울: 한국청소년정책원, 2013.
  32. 허지혜. 청소년의 친구관계와 자아존중감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대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3.
  33. Bandura A. Self-efficacy mechanism in human agency. American Psychologist 1982;37:122-147. https://doi.org/10.1037/0003-066X.37.2.122
  34. Carr L. The Shallow. 최지향 역.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 서울: 청림출판. 2011.
  35. Gottfredson M, Hirschi T. A general thoery of crime. Palo Alto CA: Stanfords University Press. 1990.
  36. Orford, J. Excessive appetites: A Psychological view of addictions(2nd ed). New York: Wiley & Sons.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