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Defined and Realized Attributes of SMART Education

스마트교육의 속성과 구현 실태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2017.03.30

Abstract

Since the development of Smart technology and the advent of various Smart media, a learning environment for individual learners and the school has been changing. In the stream of changing learning environments, in 2011, the government announced SMART education strategies, introducing the term officially, "SMART education." With the governments' efforts to develop and implement SMART education in school, many policies has been enacted and many research has been conducted and increased gradually. However, as policies of SMART education have initiated in situation where there is no clear understanding in regard of SMART education, many researchers and teachers confused of SMART education and its identity and attributes, even though it has been 6 years since the concept was introduced. Unfortunately, SMART education has been implemented as one type of instructional methodology as utilizing Smart technology. Thus, in this research, we tried to build theoretical foundation of SMART education through analyzing former research on SMART education to define the attributes of SMART education. To examine how SMART education has been implemented in terms of its attributes, also, we analyzed research that conducted instruction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n SMART education in actual learning environments. As the results of former research analysis, the attributes of SMART education includ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open learning environment, self-directed learning, customized learning, and social learning. In majority of research, SMART education focused on utilizing Smart technology and media in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s but self-directed, and customized learning were less adapted in SMART learning environments. In the following research, how to improve educational benefits of SMART education through adapting original attributes of SMART education need to be examined.

스마트 기술의 발달과 다양한 스마트 매체의 등장은 개인의 학습 환경과 학교교육 현장에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이에 정부는 학습 환경의 변화에 발맞추어, 2011년 스마트교육 추진 전략을 발표했고, 스마트교육이라는 용어를 공식적으로 등장시켰다. 이후 정부를 중심으로 스마트교육을 학교 현장에 도입하고자 다양한 정책이 실행되어 왔으며, 스마트교육에 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스마트교육이라는 개념이 등장한지 6여 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스마트교육은 정체성에 대한 혼란을 안고 있으며, 스마트교육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부재한 상황에서 기술적 측면을 중심으로 정책이 추진되면서 일선현장의 교사들은 스마트교육을 단순히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수업으로 이해하고 있는 경우가 많으며, 이로 인해 스마트교육은 단순히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수업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스마트교육의 이론적 기틀 마련을 위해 선행연구 분석을 토대로 스마트교육의 속성을 정의하였으며, 스마트교육 연구 가운데 실증 및 사례 연구를 검토 분석하여 실제 교육현장에서 스마트교육이 어떤 속성들을 중심으로 구현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선행연구 분석 결과 도출된 스마트교육의 속성은 정보통신기술(T), 열린 학습 환경(E), 자기주도 학습(S), 맞춤형 학습(C), 소셜 러닝(SL)의 5가지로 나타났다. 실증 및 사례연구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실제 교육현장에서 구현되고 있는 스마트교육의 속성은 정보통신기술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기기 및 매체의 활용을 중심으로 나타났으며, 자기주도 학습, 맞춤형 학습은 스마트교육 환경에서 적절히 활용되지 못하고 있었다. 추후 연구를 통해 스마트교육이 가지고 있는 특성을 교육 현장에서 제대로 활용하여 교육적 효과를 제고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