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ll-Medium sized hospital nurses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26초

중소병원 간호사의 의료기관인증제 인식 및 직무스트레스, 조직몰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Awareness of Healthcare Accreditation,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urnover Intention of Small and Medium sized Hospital Nurses.)

  • 최인;황혜민;김주옥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160-168
    • /
    • 2017
  • 본 연구는 중소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의료기관인증제 인식, 직무스트레스, 조직몰입과 이직의도를 파악하고 이 요인들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한 500병상 이하의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간호사 202명이었다. 자료수집을 위한 설문조사는 2015년 12월 1일부터 2016년 3월 30일까지 최근 인증평가를 실시한 5곳의 중소병원에 연구자가 직접 방문하여 기관의 승인 후 간호사들에게 설문조사를 하는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중소병원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일반적 특성은 연령(F=4.68, p<.001), 결혼상태(F=3.92, p<.001), 부서유형(F=3.23, p<.008)이었다. 간호사의 이직의도와 의료기관인증제 인식(r=-.46, p<.001), 조직몰입과는 음의 관계(r=-.35, p<.001), 직무스트레스와는 양의 관계(r=.21, p=.002)로 나타났다. 회귀분석 결과 중소병원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변수는 조직몰입, 근무유형, 직무스트레스가 유의하였으며 전체 22.0%의 설명력을 가졌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의료기관 인증제를 실시하는 중소병원 간호사의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해서 중소병원 관계자는 간호사가 직무에 몰입할 수 있는 환경과 제도적 개선에 힘써야 할 것으로 보이며 직무스트레스의 경감을 위한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또한 근무유형별 이직의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특수파트, 병동, 외래 등의 근무유형별로 차별화된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지방 중소병원 간호사의 소진, 언어폭력 경험, 사회적 지지가 직무배태성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 (Effect of Burnout, Verbal Abuse Experience, and Social Support on Job Embeddedness in the Small and Medium Sized Hospital Nurses)

  • 이승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2호
    • /
    • pp.477-487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지방 중소병원 간호사의 소진과 언어폭력경험, 사회적 지지가 직무배태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었다. 자료는 497명의 중소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2017년 8월 23일부터 10월 30일까지 자가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사의 지무배태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소진, 언어폭력 경험, 사회적 지지, 직위가 확인되었다(Adjusted $R^2=.45$). 따라서 간호사의 직무배태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간호사의 소진을 낮출 수 있는 업무환경을 조성하고, 상사와 동료의 사회적 지지를 높일 수 있는 지지적인 환경을 조성해 나감으로써 간호사의 직무배태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간호관리자는 간호사를 위한 언어폭력 예방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간호조직문화가 간호사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중소병원을 대상으로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es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 Focused on Small to Medium Sized Hospitals)

  • 이지원;어용숙;하영수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75-87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depends on their organizational cultures. A survey, including the Organizational Culture Scale, Job Satisfaction Scal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cale, was administered to 276 nurses working at 4 small to medium sized hospitals in B city. The dominant organizational culture of nursing organization was relation-oriented culture. The mean score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2.68 and 4.25 respectively.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innovation-oriented, task-oriented and relation-oriented culture.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rank-oriented culture. Innovation-oriented, clinical career, relation-oriented and rank-oriented culture were variables influencing on job satisfaction and innovation-oriented and rank-oriented culture were major variables influenc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conclusion, innovation-oriented and rank-oriented cultur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nurse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refore, we have to develop strategies to enhancing the innovation-oriented culture and to reducing the rank-oriented culture.

중소병원 임상간호사의 감염관리 지식과 표준주의 수행도 (Infection Control Knowledge and Standard Precaution Practice among Clinical Nurses in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

  • 이순희;양인숙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107-115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중소병원 간호사의 감염관리 지식, 표준주의 수행도를 파악하고 표준주의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규명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횡단적 서술적 조사연구 방법으로 7개 중소병원 간호사 258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감염관리 지식은 평균 7.25점, 표준주의 수행도는 평균 3.61점이었으며, 임상경력(r=.123, p=.047)과 직위(F=5.356, p=.005)에 따라 표준주의 수행도에 차이를 보였다. 감염관리 지식과 표준주의 수행도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r=.421, p<.001), 표준주의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직위(β=-.187, p=.025)와 감염관리 지식(β=.408, p<.001)으로 나타났다. 중소병원 간호사의 의료관련감염 관리를 위한 표준주의 수행도를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일반간호사를 대상으로 감염관리에 대한 융복합 교육이 요구된다.

간호사의 회복탄력성과 지각된 개인 및 조직의 지지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Resilience and Perceived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Suppor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Hospital Nurses)

  • 진승희;김정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5호
    • /
    • pp.293-303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의 회복탄력성, 지각된 개인적 및 조직적지지, 조직몰입 정도를 확인하고 간호사의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자료는 일 지역 6개 종합병원에 재직 중인 임상경력 6개월 이상의 간호사 195명을 대상으로 2015년 3월15일부터 4월27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의 조직몰입도는 지방의 종합병원 간호사들의 조직몰입도와 유사한 수준이었던 반면에 수도권 대형 종합병원 간호사들 보다는 낮았다. 대상자의 조직적 지지에 대한 지각과 회복탄력성, 팀 간호방법과 팀-기능 간호방법이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F=17.31, p<.001, Adjusted $R^2=.53$). 따라서 조직수준의 지지 강화와 회복탄력성 향상을 통하여 간호사의 조직몰입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고려하여야 하며, 특히 간호사들의 조직적 지지에 대한 지각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팀 간호방법을 확대 적용하는 등 간호업무방법 개선 정책 등이 필요하다.

중소병원 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과 호혜성이 직무배태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Nurse Work Environment and Reciprocity on Job Embeddedness in the Small and Medium Sized Hospital Nurses)

  • 박경임;김은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8호
    • /
    • pp.63-73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중소병원 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과 호혜성이 직무배태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자료수집은 G시에 소재한 4개의 중소병원에서 근무하는 206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2019년 3월 4일부터 22일까지 수행하였다. 간호사들이 지각한 직무배태성 점수는 5점 만점에 평균 3.06점으로 중간 이상이었으며, 간호근무환경의 하위변인 중 간호사 지원체계와 안전관리체계가 높을수록, 그리고 호혜성 하위변인 중 협력자간 상호균형과 환자나 보호자에 대한 애정과 호의가 높을수록 직무배태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회귀 분석결과 연구모델은 직무배태성의 66.0%를 설명하였고, 이 중 직무배태성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강력한 변인은 간호사 지원체계임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중소병원의 간호관리자들은 간호사 인력관리를 위한 직무배태성 향상방안으로 급여향상, 전문성 계발 및 승진기회 제공 등 간호사를 지원하는 간호근무환경 조성과 함께, 간호 팀 내 또는 타 보건의료 전문인과의 협력관계 유지를 위해 병원과 간호조직 차원의 제도 개선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중소병원 간호사의 심리적복지감 예측요인: 감성지능의 조절효과 (Predictors of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Nurses in small-and Medium-sized Hospital: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 신소홍;김유정;김창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162-174
    • /
    • 2017
  • 이 연구는 중소병원에 종사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우울, 감성지능, 심리적복지감 수준을 알아보고 이들 변인 간 상관성 파악과 심리적복지감 영향요인 예측, 그리고 감성지능의 조절효과를 검정하고자 실시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이를 위해 대구 경북지역에 소재한 중소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2016년 12월 17일부터 2017년 1월 8일까지 336명의 자료가 편의 표집 되었다. 연구결과, 우울의 평균은 1.55점으로 보통수준을 보였으며, 감성지능은 3.05점, 심리적 복지감은 3.51점으로 보통이상의 수준으로 나타났다. 우울은 감성지능과 심리적복지감에 음(-)의 상관성을 나타내었고, 감성지능은 심리적복지감과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 심리적복지감 예측요인으로는 수면시간(${\beta}=.111$), 근무부서(${\beta}=.236$), 우울(${\beta}=-.245$)이 유의미하게 예측되었다. 그리고 감성지능의 조절효과 검정에서 우울${\times}$감성조절(${\beta}=.527$)과 우울${\times}$감성활용${\beta}=.167$)이 유의미하게 예측되었다. 결론적으로 심리적복지감에는 근무부서와 우울이 주요한 영향요인으로 예측되었으며, 감성지능은 부분적인 조절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우울완화와 감성지능 향상은 간호사 개인의 행복한 삶뿐만 아니라 병원조직 활성화에 매우 긍정적인 대처요인의 하나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심리적복지감 향상을 위한 근무여건 개선과 우울완화를 위한 중재방안이 요구된다.

소규모 중소병원 간호사의 직무착근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Job Embeddedness Toward Nurses in Small-and Medium-Sized Hospitals)

  • 현일선;이소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425-431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200병상 미만 중소병원 간호사의 직무착근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자료수집은 2018년 11월 1일부터 2019년 2월 28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설문조사 전 기관장의 승인을 받고 D시와 K도에 위치한 200병상 미만 중소병원 7곳에서 본 연구 목적으로 이해한 간호사 182명을 편의추출하여 시행하였다. 미기재 혹은 불충한 설문지를 제외한 170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을 이용하였고, 직무착근도는 일반적 특성에서 직급(t=3.53, p<.001), 총 경력(F=3.46, p=.034), 현 경력(F=5.59, p=.004), 이직경험(t=-1.72, p=.008)에서 차이를 보였다. 직무착근도는 소진(r=-.570, p<.001)과 직무스트레스(r=-.349, p<.001)에서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직무착근도의 영향요인으로는 소진(β=-570, p<.001), 직무스트레스(β=-552, p<.001)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직무착근도에 대한 회귀분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고(F=46.21, p<.001), 설명력은 34.9%였다. 즉 200병상 미만의 규모가 작은 병원간호사는 소진이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를 많이 경험하고 있었고, 이는 현 조직에 남으려는 의도인 직무착근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어, 규모가 작은 병원간호사에 적합한 소진과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

An Analysis of Actual States of the Nursing Grade of Medical Institutions

  • Park, Hyun-Suk
    •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158-166
    • /
    • 2014
  • Purpose. This study pursued the way for the effective application of the differentiated charge (Nursing grading system) by the nursing manpower which is performed for the nursing service quality improvement to the in-patients in Korea and the minimum employment problem solution of nurses. Methods. For this matter, the status of the nursing grade for 1,452 hospitals (44 high class general hospitals, 259 general hospitals, 265 hospitals, 59 oriental medicine hospitals and 825 recuperation hospitals) was identified which were registered in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in March 2011 status quo. Results. In the most nursing grade by the kind of medical institutions, 70.5% of the nurses were third-graded in upper general hospitals, 38.1% were sixth graded in general hospitals, 62.7% were seventh-graded in oriental medicine hospitals and 40.4% were first-graded in recuperation hospitals. In the nursing grade by the scale of hospitals (in terms of the number of bed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eral hospital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oriental medicine hospitals and recuperation hospitals. In the nursing grade by the location of hospitals and the foundation type of hospital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eneral hospitals and recuperation hospitals. Conclusion. For the effectiveness of applying differentiated nursing fees by the number of nurses, it seems necessary to consider adjusting the present differentiated inpatient-charge system for the better so that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may induce more nurses.

근거기반 정맥주입요법 간호실무지침 실무적용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 중소병원을 대상으로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Practice Application Program of Intravenous Infusion Evidence-Based Nursing Practice Guideline - for Small and Medium Sized Hospitals)

  • 홍인화;은영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0권6호
    • /
    • pp.863-875
    • /
    • 2020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d test the effects of a program for practice application of intravenous infusion evidence based nursing practice (EBP) guidelines in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Methods: A mixed method research design was used, combining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design with qualitative study analysis. The subjects consisted of 55 nurses. The practice application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the Advancing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through close Collaboration (ARCC) model. Data were collected for analysis in the following areas: nurses' EBP organizational culture and readiness, EBP beliefs, EBP implementation, importance about intravenous infusion, and performance about intravenous infusion, with data assessed using valid and reliable instruments. Patient outcomes were collected from the hospital's medical records.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χ2-test, and Shapiro-Wilk test, with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used for interview data. Results: Following the intervention, nurses' EBP organizational culture and readiness, EBP beliefs, EBP implementation, and performance of intravenous infusion and perceptions of its importance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experimental group. Phlebitis rates de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is program is effective to improve nurse's perception and practice of evidence based nursing. Therefore we recommend to use this program at same levels of hospit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