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te selection

검색결과 1,004건 처리시간 0.025초

폐기물처리 시설 입지선정 효율화 방안을 위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Simplified Assessment Method for Site Selection of the Waste Treatment Facilities)

  • 장성호;손영일
    • 환경위생공학
    • /
    • 제15권2호
    • /
    • pp.85-94
    • /
    • 2000
  • The comparative evaluation is the most effective method for site selection because the selection of waste treatment facility is to determine the optimum site out of limited candidate sites. This study adopted the ordinal scale evaluation, one of methods of comparative evaluation. The ordinal scale evaluation aims to determine the investigating items referring to the character of sites, to determine the importance factors for investigating items, and to determine the optimum site according to the quantitative evaluation. This study has focussed on reflecting the opinion of residents to the maximum extent with a weight on social and economic aspects, considering the state of confrontation against each other between the autonomous government organization and local residents, which is being emerged as a social issue relating to the evaluation rating on each item of site selection of an optimum site. Therefore, rational, and clear validity investigations and proper reduction of both time and expenses in site selection as well through this a study.

  • PDF

해상풍력 입지 선정 과정에서 복합적 갈등의 제도적 해결방안 - 다층적 거버넌스 관점에서 (Institutional Solution to Complex Conflicts in the Site Selection Process of Offshore Wind Power - from a Multi-level Governance Perspective)

  • 안승혁;소윤미;류호재;한민호;윤순진
    • 신재생에너지
    • /
    • 제19권2호
    • /
    • pp.40-58
    • /
    • 2023
  • Several offshore wind power conflicts occur due to the problems in which the site selection process led by private operators is improperly managed. To review the institutional improvement measures that solve this problem, domestic and foreign institutions and operational cases were comparatively analyzed, focusing on key actors from the multi-level governance perspective. First, the status of the site selection process in the Republic of Korea, major issues in stakeholder conflicts, and discussions on the planned site system-related laws (draft) were reviewed. Next, the site selection process and relevant cases in Germany, the Netherlands, and Japan were analyzed. In all these countries, site selection is done by the central government. In Germany and the Netherlands, maritime-related ministries establish overall offshore wind power site plans and conduct strategic environmental assessments for these plans. Futhermore, in the process of determining each individual site, extensive site investigation including environmental assessments are conducted. This aspect needs to be supplemented in the discussion on the direction of institutional improvement in the Republic of Korea.

캠핑동기에 따른 캠핑장 선택속성 의사결정의 프레임워크 구축에 관한 연구 (The Framework of Decision Making for Choice of Camping Site Selection Attributes according to Camping Motivation)

  • 추승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0호
    • /
    • pp.225-234
    • /
    • 2015
  • 본 연구는 캠핑장 선택속성의 의사결정 융복합 프레임워크 구축을 위해 의사결정의 세부단계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첫째, 캠핑참여동기 및 캠핑장 선택속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요인분석이 수행되었고, 둘째, 캠핑참여동기 유형에 따른 캠핑장 선택속성에 미치는 영향관계 분석, 셋째, 캠핑장 선택속성이 만족과 행동의도에 어떠한 영향관계를 미치는지를 검정하기 위해 회귀분석이 수행되었다. 캠핑참여동기로 5개 요인이 도출, 캠핑장 선택속성은 4개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이 캠핑참여동기의 유형에 따라 캠핑장 선택속성에 미치는 영향력이 다르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캠핑장 선택속성은 캠핑객의 만족 및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캠핑장 운영자들은 세분화된 캠핑참여동기를 바탕으로 운영하고 있는 캠핑장이 반드시 갖추어야할 속성들에 대해 알게 해 주었고, 실제 캠핑객의 만족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선택 속성들을 파악함으로써 캠핑 사이트 개발자들의 개발계획 수립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준다.

LNG 특성을 고려한 저장기지 입지선정 모델 개발 (Model development for site selectio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LNG receiving terminal)

  • 정남훈;유안기;황건욱;장우식;한승헌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82-91
    • /
    • 2015
  • 최근 전 세계적으로 친환경 및 저탄소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대표적인 친환경연료인 천연가스의 사용량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국내에서도 산업용, 발전용, 가정용으로 사용되는 천연가스 수요증가에 대비하여 도입 물량을 확대하기 위한 전략을 수행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LNG 저장용량의 확보를 위해 저장기지 증설을 계획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LNG 저장기지의 입지선정은 기업의 내부적인 절차나 용역을 통해 수행되어 LNG 및 LNG 저장기지의 특성을 반영하는 데는 미흡하였다. 또한 해외에서도 LNG 저장기지의 입지선정과 관련하여 주요 요인들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으나 프로세스 및 모델 등 체계적인 분석은 미흡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LNG 저장기지의 특성을 고려한 입지선정 모델을 구축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관련기업의 과거 사례를 분석하여 저장기지 입지선정 과정에서 요구되는 요인들과 기존에 연구되어온 플랜트시설, 공장, 산업단지, 관청청사 등의 입지선정에 대한 요인들을 취합하여 전문가 인터뷰를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47개의 입지선정요인을 도출하였다. 이후 기 수행된 5개 지역(PT지역, IC지역, TY지역, SC지역, BR지역)의 사례에 대한 설문을 기반으로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지역별 입지선정에 대한 우선순위를 도출하였고 이를 토대로 LNG 저장기지 후보지에 대한 입지선정 모델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향후 LNG 저장기지의 추가 건설과정에서 본 연구를 기초자료로서 활용한다면, 보다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입지선정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AHP기법을 이용한 최적의 웹사이트 선정 및 품질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ptimal Web Site Selection and Quality Evaluation Using AHP)

  • 오기성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1D권2호
    • /
    • pp.381-386
    • /
    • 2004
  • 인터넷 사용자의 급속한 증가로 여러 종류의 인기 웹사이트들이 생겨나고 있으나, 웹사이트의 품질을 사용자 관점에서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비교 및 평가하는 선정기법에 대한 연구는 미약한 상황이다. 일반적으로 웹사이트 품질을 평가하는 관점은 블랙박스, 화이트박스, 그레이박스 관점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최적의 웹사이트를 선정하기 위해 사용자 입장에서 블랙박스 관점으로 AHP(Analysis Hierarchy Process)기법을 사용하였고, 웹사이트의 품질은 국제표준 IS0/1EC 9126에서 규정하고 있는 6가지 소프트웨어 품질 특성 중에서 효율성, 사용성, 호환성을 고려하였다. 현재 인터넷상에서 운영하고 있는 웹사이트들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통하여, 본 논문에서 제시한 웹사이트 선정기법 및 품질 평가에 관한 연구가 최적의 웹사이트를 선택하는데 적용 가능한 것임을 보여준다

어류양식장의 입지선택을 위한 계층분석과정(AHP)모형 (AHP Model for Selecting a Fish Farm Site)

  • 이강우
    • 수산경영론집
    • /
    • 제38권1호
    • /
    • pp.19-45
    • /
    • 2007
  • There have not been many studies which considered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location factors on the issues of site selection problems for a fish farm. This study develops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model to resolve site selection problem for a fish raising farm by us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factors. In order to evaluate the validity of the location factors found in the literature review, the study used advice from fish raising farmers and related academic experts. Four major factors have been selected as economic factors, social factors, natural environmental factors and infrastructures. An AHP structural diagram has developed by considering the factors and potential sites proposed for fish farming. Through the survey on the preference of factors and potential sites, pairwise comparison matrices have been estimated and used to calculated the relative weights of each potential site. The AHP model process shown in the study can be applied to resolve site selection problems for fish raising farmers.

  • PDF

부석사의 입지선정배경과 배치변화특성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Background of the Site Selec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Arrangement Change of Bu-Seok Temple)

  • 진경돈;이강업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7-20
    • /
    • 1989
  • ^x This paper aims to grasp the basical things of the architectural meaning of Bu - Seok Temple through the background of site selection and the analysis of arrangement change of it. For this purpose, I try to examine the process of folk- belief adhesion of Buddism and Feng - Shui as the choice factor of site when the temple was established, the spatial characters of the changing stage in arrangement. These characters of Bu - seok temple have significance for the basic study on the site selection and the spatial analysis of a mountainous district Temple in Shilla.

  • PDF

Survey on Nucleotide Encoding Techniques and SVM Kernel Design for Human Splice Site Prediction

  • Bari, A.T.M. Golam;Reaz, Mst. Rokeya;Choi, Ho-Jin;Jeong, Byeong-Soo
    • Interdisciplinary Bio Central
    • /
    • 제4권4호
    • /
    • pp.14.1-14.6
    • /
    • 2012
  • Splice site prediction in DNA sequence is a basic search problem for finding exon/intron and intron/exon boundaries. Removing introns and then joining the exons together forms the mRNA sequence. These sequences are the input of the translation process. It is a necessary step in the central dogma of molecular biology. The main task of splice site prediction is to find out the exact GT and AG ended sequences. Then it identifies the true and false GT and AG ended sequences among those candidate sequences. In this paper, we survey research works on splice site prediction based on support vector machine (SVM). The basic difference between these research works is nucleotide encoding technique and SVM kernel selection. Some methods encode the DNA sequence in a sparse way whereas others encode in a probabilistic manner. The encoded sequences serve as input of SVM. The task of SVM is to classify them using its learning model. The accuracy of classification largely depends on the proper kernel selection for sequence data as well as a selection of kernel parameter. We observe each encoding technique and classify them according to their similarity. Then we discuss about kernel and their parameter selection. Our survey paper provides a basic understanding of encoding approaches and proper kernel selection of SVM for splice site prediction.

폐기물 처리시설 입지선정의 효율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여주군 폐기물 매립지 입지선정 사례를 중심으로 - (A Case Study on Simplified Assessment Method for Site Selection of the Waste Treatment Facilities in Korea)

  • 이무춘;구자건;김기철;권연정
    • 환경영향평가
    • /
    • 제8권1호
    • /
    • pp.71-79
    • /
    • 1999
  • The comparative evaluation is the most effective method for site selection because the selection of waste treatment facility is to determine the optimum site out of limited candidate sites. This study adopted the ordinal scale evaluation, one of methods of comparative evaluation. The ordinal scale evaluation aims to determine the investigating items referring to the character of sites, to determine the importance factors for investigating items, and to determine the optimum site according to the quantitative evaluat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defects of the former reports on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such as obscurity of meaning and subjective statement, were reduced by the ordinal scale evaluation which is one of the quantitative evaluation methods. This ordinal scale evaluation method has some valuable advantages, such as, to be able to consider the cost-effect efficiency, to consider the objectiveness and the clearness of the reports on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Therefore the reducement of social complications about site selection of the indisposed facilities could be expected by this study.

  • PDF

해양레저용 플로팅 건축물 입지선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ite Selection for Marine Recreational Floating Architecture)

  • 이한석;조형장;강영훈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27-34
    • /
    • 2012
  • 레저용 플로팅 건축물은 구조물 안전성, 건축물 용도, 건설 및 관리 경제성, 주변 지역이나 도시와 개발 연계성, 해양환경에의 영향 등을 고려할 때 입지선정에 대한 체계적 지침과 합리적 기준이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에는 레저용 플로팅 건축물이 많이 계획되고 설치되는 시점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입지선정에 관한 연구나 지침이 전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레저용 플로팅 건축물의 입지선정을 위해 체계적 입지선정프로세스. 합리적 입지선정기준 및 입지평가지침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자체나 민간 기업에서 레저용 플로팅 건축물을 계획할 경우 체계적이고 합리적 입지선정에 활용할 수 있도록 입지선정과정, 입지선정기준, 입지평가항목 및 요인을 그림과 표로 알기 쉽게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