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te Suitability Analysis

검색결과 115건 처리시간 0.032초

예산 정동호가옥의 입지와 공간배치에 대한 연구 - 풍수 형세론을 중심으로 - (A Study on Location and Space Layout of Traditional House of Jeong Dong-Ho - Focused on the Hyungsei-ron of Pungsu(Fengshui) -)

  • 한종구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1권2호
    • /
    • pp.19-26
    • /
    • 2019
  • Pungsu theory is important one in the site selection and lay-out of traditional Korean village and house. In this aspect, Study with a view of Pungsu theory might be used as a proper method for understanding the traditional architecture in Korea. In this context, this study analyzes the Jeong, Dong-Ho's house which is designated no. 19 as an important folk cultural heritage, located in Jigok Ochu-gil 133-62, Godeok-myon, Yesan-gun, Chungnam province. The analysis of the site and space lay-out is carried out by Yong(Dragon), Hyoel(Auspicious Spot), Sa(Sands), Su(Water) aspects of the Pungsu(Fengshui) Hyungsei-ron. The house is depending upon soft dragon vein connecting with a earth type rear mountain. It looks southeast direction, Gonjwasonhyang(乾坐巽向). The hyeolseong(穴星) has classical venus shape, and there is no faults relatively. The Sasinsa condition is almost perfect that right blue dragon and left white tiger surround the hyeol with 3-4 layers and the facing mountain covers the front open area. The water flowing from inside of left and right mountain is joined in front of the house so it could stop flowing out of vital energy. Bibo forest(裨補樹) is placed properly to protect the easy disclose of water outlet. The house is well organized western house(西四宅) by analysis of Dongseosataek-ron(東西四宅論). Through the analysis, I found that the house has good Pungsu(Fengshui) environment fitted with Pungsu Hyungsei-ron. The house composed of small thatched roof is enclosed several times by low hills of back, left and right side. So it is believed that the site might be carefully evaluated by Yong, Hyoel, Sa, Su of Hyeongsei-ron for knowing whether the site condition could minimize the demage by strong winds and protect from the winter cold wind and secure water for drinking and farming and then selected. The method of Pungsu for evaluating the geographical condition of surrounding of a site is used as a traditional site analysis method for evaluating the suitability of long-term well and safe residence.

GBAS 지상시스템 설치후보지 선정을 위한 김포국제공항의 GPS 신호환경 분석 (Analysis of GPS Signal Environment for GBAS siting in Gimpo International Airport)

  • 정명숙;최철희;고완진;고유리;배중원;전향식;김동민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70-78
    • /
    • 2013
  • GBAS 지상시스템을 공항 내 설치하기 위해서는 장비 설치시 요구되는 각종 요구조건을 최대한 충족시키는 최적의 후보지 선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공항 내 GBAS 지상시스템 설치후보지에 대한 GPS 위성신호 수신환경 분석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김포공항 내 GBAS 지상시스템 설치후보지에서 미국 Honeywell사의 PortaSAT 장비를 이용하여 수집한 GPS 데이터에 대해 가시위성수, GPS 신호세기, 다중경로오차, 신호간섭, GBAS 시스템 가용성 등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남생이 서식처 복원을 위한 서식처 모형 연구 (A Study on the Habitat Restoration Model for Chinemys reevesii)

  • 김수련;이지현;송재영;장민호;성현찬;조동길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15-125
    • /
    • 2013
  • In this research, a habitat model for Chinemys reevesii is suggested based on the components and variables of the Habitat Suitability Index which was determined through a series of literature researches, site surveys, and behavioral analysis. After reviewing the general habitat requirements, the site surveys(9 reservoirs) from July to December 2010, and the behavioral analysis of five Chinemys reevesii,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ehavioral and habitat use pattern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site surveys and behavioral analysis, the ecological core area(FK 50%) was about 0.96ha on average, the influence area(FK 90%) 4.22ha, and the home range was about $37.75{\pm}17.26m$ on average. As for the habitat use pattern of Chinemys reevesii, it travels through canals, and is influenced by the surrounding land uses. Also when there is a lack of food, the home range increases, and during hibernation, Chinemys reevesii prefers to be in an area within 1~2m range of water shores of fine textured soil and aquatic plants. After analyzing the information, the HSI standard was set and its components were determined as food, sunbathing and cover, aquatic environment, and spatial relationships. And the variables and the ranges of the components was determined as aquatic plant cover(0~49.81%), sandy area($3{\sim}13m^2$) and water velocity(0~60cm/s) etc. Lastly, plans and sections of the habitat model is provided designed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from the researches, and problems to consider during habitat restoration was suggested in order to help understand about Chinemys reevesii habitat.

핵폐기장 유치에 대한 텔레비전 뉴스 프레임 분석 -KBS, MBC의 전국 및 지역(전북지역) 뉴스를 중심으로- (Framing an Issue of Building a Nuclear Waste Site on Television News)

  • 나미수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26권
    • /
    • pp.157-208
    • /
    • 2004
  • 본 연구는 2003년도 중요란 국책사업의 하나로서 첨예한 사회적 갈등이 나타났던 핵폐기장 유치 이슈를 텔레비전 뉴스보도가 어떠한 시각에서 다루고 해석, 평가함으로써 이슈에 대한 성격을 어떻게 규정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핵폐기장 유치선언이 있던 2003년 7월 11일부터 유치 재검토가 발표된 12월 10일까지 5개월 동안 보도된 핵폐기장 유치이슈에 대한 KBS, MBC 저녁종합뉴스의 전국 및 지역(전북지역) 뉴스에 대한 프레임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중요한 국책사업으로서 사회적 논란이 많았던 핵폐기장 유치 이슈는 길 등의 원인과 해결보다는 주민들의 시위와 사회적 혼란만 부각시키는 양상을 보였다. 따라서 갈등의 근본원인이자 이슈의 보다 본질적인 사안이라 할 수 있는 선정 절차상의 정당성 문제라든가 위도지역의 지질 적합성, 안전성 문제, 에너지 정책 등의 문제는 제대로 다루어지지 않았다. 결국 텔레비전 뉴스보도에서 핵폐기장 유치이슈는 국가정책적 이슈라기보다는 지역 내 집단간 분쟁으로 그 성격이 규정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휴양림 조성 대상지 선정을 위한 타당성 평가 연구 - 경기도 광주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Feasibility Assessment for Selecting Recreation Forest Sites: The Case of Gwangju-si in Gyeonggi-do)

  • 서정영;염성진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8권11호
    • /
    • pp.959-969
    • /
    • 2019
  • This study sought to contribute to the revitalization of local economy by developing a natural recreation forest, which is the base of ecotourism recreation, through utilizing forest resources and the natural environment of Gwangju-si. The study conducted a feasibility assessment through on-site surveys such as the suitability of the candidate sites, location analysis, and possibility of damage to the forest, before developing recreation forest sites in Gwangju-si and, based on the result, selected appropriate subject sites. The candidates for this study were 5 forest sites such as one site in the Mokheon-dong area, two in the Docheok-myeon area, and one in the Toechon-myeon area. For this study, the current status of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was surveyed, its feasibility index and assessment process were investigated, and the local status and related regulations of Gyeonggi-do and Gwangju-si were reviewed. The final subject sites were selected after feasibility assessment utilizing assessment index in order to evaluate the candidate sites. The feasibility assessment was conducted after three separate on-site surveys for each candidate site between October 2018 and January 2019 utilizing "The Feasibility Assessment Criteria for Natural Recreation Forest (Notification 2018-71)" of the Korean Forest Service. The items instrumental to the feasibility assessment were classified into landscape, location, water system, induction of recreation, and development condition; the assessment was made after redefining each item into detailed items. Through this process, the Usan-ri area was selected as the final site for developing natural recreation forest, having obtained more than 100 points according to "The Feasibility Assessment Criteria for Natural Recreation Forest" of the Korean Forest Service. In order to develop natural recreation forest in the Usan-ri area in the future, further discussion is necessary with the relevant departments in consideration of the degree of ecological zoning map.

GSIS를 이용한 입지선정에 있어 퍼지공간중첩기법의 적용에 관한 연구 (The application of fuzzy spatial overlay method to the site selection using GSIS)

  • 임승현;조기성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77-187
    • /
    • 1999
  • 현재까지 GSIS를 이용하는 많은 응용분야에서 각종 공간자료의 추출 및 분석을 위해 벡터형 공간중첩(spatial overay)이나 격자형 공간연산(spatial algebra)기능이 주로 사용되었다. 하지만 이런 방법에 내재하고 있는 개념은 전통적인 보통집합이론에 근거하고 있기 때문에 많은 종류의 공간자료들이 구간설정에 있어서 예리한 경계로 분할되는 것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이것은 현실 세계에 존재하는 실제 자료들의 공간분포패턴과 일치하지 않는다. 즉, 공간상에 일정영역이나 실체들이 오직 한가지 속성으로 한정되는(one-entity-one-value)오류를 그대로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보통집합의 개념하에서 공간자료를 다루어 왔던 종래의 방식을 개선하기 위해서 공간자료가 지니는 모호함 내지 경계의 애매성을 잘 표현할 수 있는 퍼지집합의 개념을 두 가지 방법을 통해 공간중첩과정에 도입하였다. 첫 번째 방법은 공간적으로 연속성을 갖는 자료에 대해서 퍼지부분집합에 의한 퍼지구간분할법이며, 두 번째 방법은 범주형 자료에 대해서 적용한 퍼지경계집합법이다. 사례연구로서 신시가지 개발입지선정을 위한 적지분석을 수행을 함으로서 기존의 부울분석방법과 퍼지 공간 중첩법의 결과를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 퍼지공간중첩법에 의한 적합도면이 신시가지 개발입지에 대한 보다 타당성 있는 정보를 제공하며, 더불어 정보표현측면에서도 더욱 적절한 형태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생태축 연결을 고려한 하천습지의 적정 후보지 선정 방안 (A Selection Methodology of the Appropriate Candidate Sites of Riverine Wetlands for Ecological Connection)

  • 강유진;왕원준;이하늘;이준형;이승민;김형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11-120
    • /
    • 2023
  • 현재 국내에서는 전국내륙습지 일반조사 및 습지보전기본계획 등의 장기적인 계획을 통해 습지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정책은 습지의 면적, 분포 및 생물다양성 등 현황 파악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습지 생태계를 하나의 유기체로 보존 및 관리하는 것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홍수터, 생물다양성, 서식지 제공, 관광자원 등의 기능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생태축 연결이 가능한 하천습지 후보지 선정을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수계에 있는 우포늪, 화포천습지, 주남저수지 3개의 습지와 생태축 연결이 가능한 후보지를 선정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수계의 15개 표준유역 내에 존재하는 63개의 습지와 7개의 후보지를 대상으로 적지 분석을 수행하였고, 산정된 점수를 이용하여 생태축 연결에 가장 적합한 하천습지 후보지를 선정하였다. 후보지 평가를 위해 9개의 평가요소를 선정하고, 해당 평가요소들에 분위수를 이용한 점수화 기법을 적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적으로, 우포늪2(호포)가 36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아 생태축 연결 가능성이 가장 높은 후보지로 선정되었다. 따라서 우포늪2(호포)가 홍수터, 서식지, 생물다양성 증진 및 관광자원으로서 역할이 가능한 동시에 생태축 연결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방사능 확산 검증을 위한 악기상 조건에서의 추적자 야외확산 실증실험 (Field Tracer Experiments under Severe Wether Conditions for the Validation of the Dispersion of Radioactive Materials)

  • 한문희;김은한;정효준;정해선;박미선;황원태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38권4호
    • /
    • pp.208-213
    • /
    • 2013
  • 원전의 안전성분석보고서에는 운영기간중 만일의 사고에 따른 방사선안전성 확보를 위해 부지의 적합성 평가가 요구된다. 부지 적합성은 극히 보수적인 가정을 적용하여 제한구역경계에서 방사선 피폭영향을 평가하여 판단하게 된다. 이들 평가는 방사선영향평가 모델을 보수적인 기상조건 등에 적용하여 수행된다. 본 연구에서는 보수적인 평가 결과의 타당성 검증을 목적으로 확산에 양호하지 못한 악기상 조건에서 추적자확산실험을 실시하였다. 원전부지 실험에 앞서 대전시 인근 유성구 학하리 평지에서 추적자 확산실험을 실시하였다. 확산실험의 분석결과 기존의 확산조건이 좋은 경우의 실험결과와 비교할 때 크게 두 가지 큰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하나는 풍속이 매우 낮고 풍향의 변화가 심해 주 풍하 방향에서 나타나는 최대 농도를 찾기 어렵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대기가 매우 안정하여 지상 10 m 낮은 높이에서의 방출임에도 불구하고 방출점에서 수 백 m 떨어진 지점에서 처음으로 상대적으로 높은 농도 분포가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는 것이다.

Study on Decomposition Gas Characteristics and Condition Diagnosis for Gas-Insulated Transformer by Chemical Analysis

  • Kim, Ah-Reum;Kwak, Byeong Sub;Jun, Tae-Hyun;Park, Hyun-Joo
    • KEPCO Journal on Electric Power and Energy
    • /
    • 제6권4호
    • /
    • pp.447-454
    • /
    • 2020
  • Since SF6 gas was discovered in the early 1900s, it has been widely used as an insulation material for electrical equipment. While various indicators have been developed to diagnose oil-immersed transformers, there are still insufficient indicators for the diagnosis of gas-insulated transformers. When necessary, chemical diagnostic methods can be used for gas-insulated transformers. However, the field suitability and accuracy of those methods for transformer diagnosis have not been verified. In addition, since various types of decomposition gases are generated therein, it is also necessary to establish appropriate analysis methods to cover the variety of gases. In this study, a gas-insulated transformer was diagnosed through the analysis of decomposition gases. Reliability assessments of both simple analysis methods suitable for on-site tests and precise analysis methods for laboratory level tests were performed. Using these methods, a gas analysis was performed for the internal decomposition gases of a 154 kV transformer in operation. In addition, simulated discharge and thermal fault experiments were demonstrated. Each major decomposition gas generation characteristics was identified. The results showed that an approximate diagnosis of the inside of a gas-insulated transformer is possible by analyzing SO2, SOF2, and CO using simple analysis methods on-site. In addition, since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types of decomposition gas generation patterns with various solid materials of the internal transformer, a detailed examination should be performed by using precise analysis methods in the laboratory.

GIS를 이용한 원등일대의 기반암품질과 골재개발적지 분석 (Survey of Bedrock Quality and Suitable Site for Crushed Stones using GIS in the Wondeung Area)

  • 이진영;양동윤;김주용;홍세선;윤현수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47-58
    • /
    • 2005
  • 전라남도 곡성군 남부에 위치한 원등지역에서 기반암의 품질을 검토하고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이용하여 개발난이도를 분석하였다. 기반암의 품질을 알기 위하여 야외조사를 수행하였고, 실내에서 물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GIS를 이용한 개발난이도 분석에서 가시권분석과 거리분석을 통해 법적개발제한지역을 분석하였다. 원등일대 연구지역의 기반암 품질과 개발난이도를 분석한 결과, 모두 개발이 가능한 품질을 가지고 있으며, 개발제한사항에 해당되는 정도에 따라 개발난이도가 구분되었다. 또한 개발 난이도가 가장 낮은 조사지역의 약 30 % 지역이 개발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